세아제강 녹색채권, 최고등급 받고 수요예측 출격 한신평 GB1 부여, 사후보고 위해 코드로 전산기록…1% 금리 기대
남준우 기자공개 2021-02-23 13:16:16
이 기사는 2021년 02월 22일 11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세아제강(A+, 안정적)이 창사 후 첫 녹색채권 발행에 도전한다. 친환경으로 평가받는 풍력발전 사업에 자금을 투입하는 만큼 사전검증을 맡은 한국신용평가는 녹색채권 최고 등급 GB1을 부여했다.녹색채권이 사용처가 친환경 투자 등에 정해져 있는 만큼 1년 뒤에 있을 사후보고가 중요하다. 자체 코드 등으로 전산 기록을 진행하는 만큼 투명성은 높다는 평가다.
연초 A급 회사채에 대한 투심과 ESG 채권에 대한 기관 투자자들의 수요로 시너지 효과도 볼 수 있을 지 주목된다.
◇하부구조물 제작 530억원, 생산설비 증설 70억원
세아제강은 오는 24일 600억원 규모의 녹색채권 발행을 위한 수요예측을 실시한다. 트렌치(만기구조)는 3년 단일물이며 신한금융투자와 NH투자증권이 대표 주관사다. 수요예측 흥행 시 최대 800억원까지 증액할 예정이다.
세아제강은 녹색채권 사전검증을 한국신용평가에 맡겼다. 한국신용평가는 녹색채권 최고 등급인 GB1을 부여했다.
세아제강은 금번 녹색채권으로 조달한 금액을 해상풍력 발전 시설 하부 구조물 제작에 사용한다. 하부 구조물 제작·납품 운영자금과 '순천 OF(Offshore Foundation)' 공장 설비 투자 등이다.
자켓(jacket) 구조 형태 해상풍력 발전 하부 구조물 핀파일(Pinpile), 자켓 렉(Jacket Legs) 생산 등에 2021년 530억원을 투자한다. 순천 OF 공장을 해상풍력 전문 공장으로 구축하기 위한 생산 설비 증설에 2021년 63억원, 2022년 7억원을 사용한다.

◇사후보고 기대감 'UP'
녹색채권은 사용처가 친환경 투자 등으로 정해진 만큼 사용 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녹색채권 조달 목적에 맞게 자금이 사용돼야 채권 발행에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사후보고 과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다.
사후보고는 녹색채권으로 조달한 자금을 적절하게 사용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녹색채권으로 배분된 금액은 얼마인지, 프로젝트를 언제 시작하고 끝냈는지 등을 연간 단위로 계산해 기재한다.
세아제강은 금번 녹색채권으로 사용되는 금액을 Project Order No, 자재 코드 등을 통해 관리할 예정이다. 프로젝트 명과 자재 관리 내역을 전산으로 처리해 사후보고를 진행하는 신용평가사가 바로 확인할 수 있게끔 했다.
◇A급 회사채 수요·ESG채권 시너지 기대
사후보고를 위한 작업까지 미리 끝낸 만큼 확실한 친환경 기업으로 발돋움하고자 한다. 최근 A급 회사채에 대한 수요와 더불어 ESG 채권에 대한 수요가 큰 만큼 발행 금리를 얼마나 낮출 수 있을지 주목된다.
세아제강은 희망금리밴드를 -20bp~+20bp로 제시했다. 가산 금리 기준은 세아제강 3년물 회사채 개별민평으로 19일 기준 1.669%다.
SK렌터카처럼 A급 공모채 수요와 더불어 ESG 채권 시너지 효과를 볼 지 주목된다. SK렌터카는 녹색채권으로 발행한 5년물 500억원 모집에서 7700억원의 수요를 모았다.
희망금리밴드 최하단 -20bp보다 훨씬 낮은 수준에서 발행했다. 5년물 개별민평 대비 -53bp였다. 발행 금리도 5년물 1.877%로 A0 등급 역대 최저 수준이었다.
A급 공모채 수요예측에 잘 참여하지 않는 연기금도 참여하며 ESG 채권에 대한 수요가 탄탄함을 증명했다. 올 초 A급 ESG 채권 발행사는 A0 등급인 SK렌터카와 롯데글로벌로지스 뿐이다.
한 노치 높은 A+ 등급 세아제강 수요예측이 기대되는 이유다. 같은 A+ 등급 한화도 3·5년물 모두 개별민평 대비 50bp 낮게 발행한 바 있다. 연기금의 ESG 채권 수요까지 겹친다면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상/Art Feed]1000억 짜리 자코메티 조각 공개…삼성 리움미술관 소장품전
- [영상]'황제주' 등극 삼양식품…불닭으로 어디까지 가나
- [i-point]대동, 새만금서 '정밀농업 솔루션' 고도화 협력 추진
- [Sanction Radar]반복된 코인거래소 전산장애…DAXA 차원 대응책 마련
- 엑스페릭스, 'ID4Africa 2025'서 초박형 광학식 지문스캐터 공개
- [thebell interview]"수익성 개선 집중, 포트폴리오 다각화 자신"
- [i-point]폴라리스오피스·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AI 기반 IP 투자 생태계 조성
- [Company Watch]삐아, 물류 법인 '삐아서비스' 설립 배경은
- [thebell interview]채이배 소장 “세금 행정 불합리 개선 노력할 것"
- [거래재개 노리는 코스닥사]'감사의견 적정'시큐레터, 1년 개선기간 행보 주목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thebell interview]허장 행공 CIO "이자 지급성 자산 확대, 사모신용 주목"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한앤코, '안정권 진입' 라한호텔 회수 속도 높인다
- 도미누스, 건화 회수 절차 실시 검토
- [LP&Earning]'8.2% 수익률' 행정공제회, 환헤지 축소 전략 빛났다
- 태권보이의 PE 도전기
- [경찰공제회는 지금]역대 최대 순익냈지만, 투자 성적표 신뢰도 '글쎄'
- [경찰공제회는 지금]'공석 1년 이상' 주요 임원직, 선임 최대 변수 '경찰청'
- 'SK스페셜티 인센' 본 SK실트론, 한앤코 인수 반길까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사회 역할' 운영위원회, 조직 개편 나선다
- [영상]실트론까지 인수할까…리밸런싱 나선 SK와 한앤컴퍼니 밀월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