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제회는 지금]역대 최대 순익냈지만, 투자 성적표 신뢰도 '글쎄'④작년 순익 608억 기록…시가 반영 아닌 '장부가 방식' 활용
남준우 기자공개 2025-04-24 07:55:05
[편집자주]
6조원 이상의 자산을 굴리는 경찰공제회는 전 이사장 해임 이후 2년 가까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했다. 이사장 뿐만 아니라 CIO를 포함한 주요 임원들도 1년 이상 공석이었다. 최근 이영상 신임 이사장이 취임하면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자본시장에서는 CIO 선임 여부가 최대 관심사다. 더벨에서 이영상 이사장 체제 아래 벌어지고 있는 경찰공제회 변화에 대해 들여다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4월 18일 10시4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경찰공제회는 지난해 608억원의 당기순이익과 약 5.5%의 투자 수익률, 109.9%의 지급준비율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공제회는 조만간 해당 내용을 담은 2024년도 투자 성적표를 홈페이지에 공개할 예정이다.9년 연속 흑자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다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수장없이 운영되고 있는 경찰공제회에 대한 걱정어린 시선이 존재한다. 급여율 대비 낮은 수익률과 더불어 '장부가'로 평가하는 대체투자 자산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는 지적이다.
◇9년 연속 흑자 달성, 지급준비율도 '109.9%' 양호
경찰공제회는 지난해 608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1989년 경찰공제회 설립 이래 역대 최고 수준이다. 경찰공제회는 조만간 홈페이지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4년 전체 투자 성적표를 공개할 예정이다.
총자산도 6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공제회는 2021년 총자산 4조원을 돌파하더니 2023년 5조1505억원을 기록하면서 5조원을 돌파했다. 이후 1년 만에 6조원을 돌파한 셈이다.
작년까지 9년 연속 흑자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경찰공제회는 2020년 당기순이익 222억원을 기록하며 5년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총자산이 4조6823억원이었던 2021년에는 607억원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2023년에는 251억원으로 전년 대비 감소했지만 지난해 곧바로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지급준비율 역시 우수한 수준으로 관리하고 있다. 지급준비율은 회원에게 지급해야 할 미래 급여에 대비해 현재 공제회가 얼마나 자금이 준비가 돼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경찰공제회는 작년 0말 기준으로 109.9%의 지급준비율을 기록한 것으로 전해진다. 목표치였던 110.4%에는 소폭 미치지 못했지만 상당히 양호한 수준이다.
작년 수익률은 약 5.5%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목표 투자수익률로 제시한 5%를 넘어선 기록이다. 2016년 이후 지금까지 2018년 한 해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5% 이상 수익률을 유지하고 있다.

◇급여율 5%, 투자 수익률과 큰 차이 없어
다만 다른 공제회들과 비교하면 다소 아쉬운 모습이다. 통상적으로 공제회들은 회원들에게 지급해야할 급여율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해야 한다. 보통 지급해야하는 급여율 대비 1~3%p 차이를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찰공제회의 경우 급여율과 목표 투자수익률 간의 간극이 거의 없다. 경찰공제회의 급여율은 연복리 5%(세전)다. 분할지급퇴직급여율 기준으로는 4.7%다. 5.5% 내외 수익률을 기록한다 하더라도 다른 공제회들에 비해 크게 남는 장사가 아니라는 의미다.
수익률 자체에 의문을 품는 이들도 존재한다. 경찰공제회가 대체투자 자산 가치 평가를 장부가로 한다는 점이 주된 이유다. 외부 평가기관에 의뢰해 투자 자산의 시가를 주기적으로 메기는 '공정가치 평가'와 달리 '장부가 평가'는 투자 시점을 기준으로 한 원가 평가 방식이다.
이에 금리 상승 등 시시각각 변하는 시장 상황을 가격에 반영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0억원에 부동산을 취득했을 경우, 장부가로 평가하면 시장 가격이 떨어져도 회계상 자산 가치는 여전히 10억원으로 기록된다. 경찰공제회의 경우 2014년부터 장부가 평가 방식에 대해 감사원이 지적해왔으나 특별한 조치는 없었다.
한 시장 관계자는 "경찰공제회의 경우 오랜 기간 동안 대체투자 자산 평가를 장부가 평가로 기입해왔는데 이에 현재 공표한 수익률이 실제와는 괴리가 클 공산이 크다"며 "작년에 감사원도 이 점을 지적했던 만큼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재도약 GP 낙점' 동문파트너즈, 펀드결성 이력 통했다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창업초기 소형, 5곳 중 4곳 '액셀러레이터' 우위 점했다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기업승계 M&A, 결국 사모펀드 품에 안겼다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스케일업 분야, 컴퍼니케이 선정…1000억 결성 '눈 앞'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루키리그, 10곳 중 4곳 재수생…오엔벤처 '막차' 탔다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청년창업, 대형사 '전멸' 이변…컴퍼니케이·TS인베 고배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라이콘 분야, 'LIPS 운영사' 다수 승선…GP 덜 뽑았다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출자 몰아준 바이오…보건계정보다 더 매력적?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창업초기 일반, 중대형사 부진…위벤처스만 생존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김영민호' 현대투자파트너스, 첫 펀드 결성 '청신호'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태권보이의 PE 도전기
- [경찰공제회는 지금]역대 최대 순익냈지만, 투자 성적표 신뢰도 '글쎄'
- [경찰공제회는 지금]'공석 1년 이상' 주요 임원직, 선임 최대 변수 '경찰청'
- 'SK스페셜티 인센' 본 SK실트론, 한앤코 인수 반길까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사회 역할' 운영위원회, 조직 개편 나선다
- [영상]실트론까지 인수할까…리밸런싱 나선 SK와 한앤컴퍼니 밀월관계
- [경찰공제회는 지금]이영상 이사장 선임 완료, 주요 임원 선임 속도낼까
- '매각 난항' 한양증권, 원점 재검토 가능성 높아지나
- 원동일 에스아이플렉스 대표, 웰투시에 1000억 '재투자'한다
- '글로벌 운용사' ZCG, 첫 국내 펀딩 도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