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지연 대표, 대대적 지분보강…빗썸 인수 준비 '속도' 버킷스튜디오·인바이오젠·비덴트 연쇄 유증…외부 자금 300억 유입 추정
성상우 기자공개 2021-11-22 08:21:41
이 기사는 2021년 11월 19일 15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강지연 ㈜이니셜 대표가 대대적인 지배력 보강에 나섰다. 그는 5단계로 이어진 '이니셜1호→비덴트' 지배구조의 실소유주다. 지배구조의 취약점으로 지적돼 온 각 지분 연결고리의 낮은 지분율을 이번에 큰 폭으로 높였다. 비덴트의 숙원사업인 빗썸 경영권 인수를 앞두고 내부 지배구조부터 다지기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19일 회사측에 따르면 버킷스튜디오는 최대주주인 이니셜1호 투자조합을 대상으로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결정했다. 486만6180주 규모의 전환우선주를 발행하며 발행 후 이니셜1호의 지분율은 14%에서 22.75%로 높아진다.
같은날 인바이오젠은 최대주주인 버킷스튜디오를 상대로 동일한 300억원 규모 유상증자 결정 공시를 냈다. 전환우선주 931만6771주를 발행하며 발행 후 버킷스튜디오의 지분은 32.41%에서 41.49%로 늘어난다.
동시에 비덴트 역시 최대주주인 인바이오젠을 상대로 300억원 규모 유증을 하기로 했다. 전환우선주 193만6734주 발행이 이뤄지면 인바이오젠의 비덴트 지분율은 13.39%에서 16.69%가 된다.
강지연 대표를 꼭대기로 한 5단계 지배구조의 주요 연결고리 보강이 한번에 일어난 셈이다. 이 지배구조는 '강 대표→㈜이니셜→이니셜1호투자조합→버킷스튜디오→인바이오젠→비덴트' 순서로 이어진다. 그 아래에 있는 '비덴트→빗썸홀딩스→빗썸코리아' 연결고리까지 합치면 총 7단계다.

이 지배구조의 핵심은 이니셜1호 투자조합이다. 강지연 대표는 본인이 70% 지분을 갖고 있는 ㈜이니셜을 통해 이 펀드를 지배하고 있다.
펀드 전신은 김재욱 전 비덴트 대표가 만든 '비트갤럭시아 1호' 펀드다. 김 전 대표는 이 펀드를 활용해 비덴트까지 이어지는 3단계 연결고리를 만들어 빗썸 인수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 실패 후 펀드는 강 대표측에 넘어가 이니셜1호 투자조합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번 연쇄 유증을 통해 각 연결고리의 낮은 지분율을 한번에 보강했다. 낮은 지분율로 길게 늘어져있는 5단계 고리는 강 대표 지배구조의 취약점이었다. 누구라도 고리 중 한 곳에 10%대의 지분을 매입해 들어오면 전체 지배력이 끊어질 수 있는 구조였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 실질적으로 들어간 자금은 단 300억원이다. 버킷스튜디오가 이니셜1호로부터 받은 자금이 그대로 자회사의 자회사를 타고 비덴트까지 내려간 구조다. 각 고리의 자회사들이 모두 증자를 했지만 실제 자금을 수혈받은 곳은 비덴트 뿐이다.
이 자금이 어디서 나타났는지는 이니셜1호펀드측에 공시 의무가 없기때문에 파악할 수 없다. 확실한 건 비덴트에 대한 외부의 자금 지원이 이뤄졌다는 점이다.
비덴트는 빗썸 지주사인 빗썸홀딩스 최대주주지만 실질 지배력에선 이정훈 전 의장측에 밀린다. 비덴트는 그동안 지분 추가 매입을 통해 빗썸홀딩스 경영권을 가져오기 위해 준비해왔다. 최근 이뤄진 공격적인 자분 확충도 그 일환이다.
이번 유증으로 300억원 자금 추가 수혈이 이뤄짐과 동시에 내부 지배구조 연결고리도 더 단단해졌다. 빗썸 경영권 인수를 위한 준비작업이 막바지로 들어선 것 아니냐는 관측에 힘이 실린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호반 견제' 연대 본격화…㈜LS-대한항공 '지분동맹'
- 되찾은 12%…한진칼, 정석기업 지배 구조 '공고히'
- 현대로템, K2가 끌고간 디펜스솔루션…추가동력도 '탄탄'
- '남은 건' STS뿐…현대비앤지스틸, '외연 축소' 현실화
- [이사회 분석]포스코GS에코머티리얼즈, 포스코 지분율 70%로 '급증'...이사회 구조는 유지
- [i-point]미래컴퍼니, 북아프리카 신시장 개척 본격화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744억 기록
- [i-point]더바이오메드, 치주질환 조기진단 플랫폼 공동개발 MOU
- 채비, 인도네시아 Helio와 전기차 충전 인프라 MOU
- [i-point]엔에스이엔엠, FMC 만찬회서 '어블룸' 글로벌 비전 선포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엔젤로보틱스, ‘2025 한+노르딕 혁신의 날’에 웨어러블 기술 발표
- [i-point]딥노이드, KMI와 ‘검진 결과판정 AI 모니터링’ MOU
- [파인원 road to IPO]LGD 출신 포진, 8.6G 고객사 선점 우위 기대감
- [노머스 줌인]영업이익률 20% 상회, 실적 성장세 '뚜렷'
- [나우로보틱스 줌인]글로벌 Z사향 매출 추정치, 공모가 40%만 반영
- [파인원 road to IPO]FI 지분 62%, 오버행 물량 ‘1·3·6개월’ 분배
- [노머스 줌인]오버행 대부분 해소, 마지막 해제 물량 ‘예의주시’
- [i-point]바이오솔루션, 200% 무상증자 결정
- [i-point]신테카바이오, 1분기 매출 9억 '턴어라운드'
- [i-point]케이쓰리아이, 로봇 시뮬레이션 개발 "피지컬 AI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