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 프렌드십 포커스]기아, 사외이사 주주추천제도 눈길...주주권익 활동①현대차보다 7년 앞서 '윤리위' 설치, 남상구 이사 후임으로 신현정 교수 선임
김서영 기자공개 2022-03-11 07:40:08
[편집자주]
바야흐로 '주주 전성시대'가 열렸다. 지금까지 투자 규모가 작은 소액주주를 소위 '개미'로 불렀지만 지금은 상황이 180도 달라졌다. 이들은 기업 경영에 크고 작은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다. 기업들은 기업공개(IR), 배당 강화, 자사주 활용 등 주주가치를 높이기 위한 정책에 힘주고 있다. 더벨이 기업의 주주 친화력(friendship)을 분석해봤다.
이 기사는 2022년 03월 07일 15시1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아의 주주 친화 시스템은 지속가능경영위원회와 주주추천 사외이사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자동차와 닮은꼴이다. 오히려 현대차보다 7년가량 먼저 윤리위원회(현 지속가능경영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앞서 가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올해 신현정 카이스트 교수를 두 번째 주주추천 사외이사로 선임할 예정이다.◇지속가능경영위 전신 '윤리위원회', 2007년 신설...규모·역할 '확대'
지난해 3월 기아 이사회 내 소위원회 가운데 하나인 투명경영위원회는 명칭을 바꿔 지속가능경영위원회로 재탄생했다. 그간 투명경영위원회는 내부거래 투명성 및 주주권익의 보호를 위한 경영 사항을 검토하고 의결해왔다. 여기에 최근 재계에서 ESG 역량 강화가 화두로 떠오르면서 역할이 추가됐다. 기존 사외이사 5명으로 구성됐던 지속가능경영위원회는 대표이사도 위원으로 추가돼 규모가 커졌다.
기아는 현대자동차그룹 내 어느 계열사보다 주주 친화 시스템을 발 빠르게 도입한 곳이다. 지속가능경영위원회의 초기 모델은 바로 윤리위원회다. 기아는 지금으로부터 15년 전인 2007년 3월 윤리위원회를 신설했고, 정관 변경을 통해 이사회 내 소위원회로 자리매김했다.

2016년 기아 윤리위원회에 변화의 바람이 불었다. 명칭을 윤리위원회에서 '투명경영위원회(Corporate Governance & Communication Committee)'로 변경한 것이다. 투명경영위원회는 기존 윤리위원회의 역할인 △특수관계인 간의 거래 △공정거래 자율준수 이행점검 △윤리경영 및 사회공헌 정책 점검 △윤리규범 제·개정 및 이행실태 평가 등 4개 항목에서 '주주권익 보호'가 추가됐다.
그로부터 2년 뒤 기아의 주주 친화 시스템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했다. 바로 '사외이사 주주추천제도'를 도입한 것이다. 주주들이 자신을 대리해 주주권익 보호에 나설 사외이사를 직접 선임하는 제도다. 주주추천으로 선임된 사외이사는 투명경영위원회 위원으로 속해 주주권익 보호 활동을 펼치게 된다.
◇주주추천 이사 '세대교체', 남상구 이사에서 신현정 교수로
이듬해인 2019년 기아는 주주추천 사외이사로 남상구 이사를 선임했다. 2018년 말 사외이사 외부평가 자문단을 꾸리고 주주로부터 직접 사외이사 예비후보를 추천받았다.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후보자 확정을 거쳐 남 이사로 최종 결정됐다.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기보다는 기존에 주주권익 보호 담당으로 활동해왔던 인물이 그대로 자리를 맡게 됐다.
남 이사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8년간 기아에서 투명경영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해왔다. 1946년생인 그는 재계에서 '기업 지배구조' 전문가로 통한다. 2005년부터 2008년까지 한국기업지배구조원 2대 원장을 역임했다. 1998년부터 2006년까지 SK텔레콤 사외이사로 재직할 당시 SK그룹은 소버린과 경영권 분쟁을 겪은 바 있다. 당시 최태원 SK그룹 회장과도 지배구조 개선에 대해 여러 의견을 교환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남 이사는 주주추천 사외이사로 선임되기 3년 전인 2016년부터 주주권익 보호 활동을 전담해왔다. 기아는 해외 투자자를 대상으로 매년 거버넌스 NDR(기업설명회)을 개최해 거버넌스 정책을 설명하고, 해외 투자자 의견에 귀를 기울였다. 이를 담당한 남 이사는 싱가포르, 홍콩, 영국, 미국 등지를 오가며 NDR을 이끌었다.
이달 말 남 이사는 임기가 만료되며 지난 10년간 이어온 기아 사외이사 자리에서 내려오게 됐다. 남 이사의 바통을 이를 사람은 바로 신현정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사진)가 낙점됐다.
1974년생인 신 교수는 미국 MIT 기계공학과에서 학사부터 박사 과정까지 밟았다. 한국으로 돌아와 2005년부터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 교수는 학술 활동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2016년부터 2년간 한국여성공학기술인협회 이사를 지냈다. 2020년부터 지금까지 미래인재 특별위원회 위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비상임이사를 맡고 있다.
기아 관계자는 "지난해 12월부터 주주추천 사외이사 선임 절차에 돌입했다"며 "이를 통해 지난달 말 신현정 교수를 주주추천 사외이사로 최종 결정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서진시스템 "베트남 대상 상호관세 부과 영향 제한적"
- [저축은행경영분석]굳건한 1위 SBI저축, 돋보인 '내실경영' 전략
- [보험사 자본확충 돋보기]iM라이프, 4달만에 후순위채 또 발행…힘에 부치는 자력 관리
- [저축은행경영분석]J트러스트 계열, 건전성 개선 속 아쉬운 '적자 성적표'
- 한국소호은행, 소상공인 금융 혁신 이뤄낼 경쟁력 세가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하나은행, 함영주 회장 2기엔 글로벌 사업 힘 싣는다
- [여전사경영분석]현대캐피탈, 친환경차 리스 중심 영업수익 확대…순익은 감소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NH농협캐피탈, 부실위험 사전 통제 중점…그룹과의 협업은
- [이사회 분석]신한카드, 일본계 주주 영향 속 사외이사 2인 교체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
- [건설사 인사 풍향계]이종원 회장의 '선택', 임기영 HS화성 신임 대표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GS건설, 브릿지론 '2조' 돌파…연내 본PF 전환할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조성한 부사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할 '토목 전문가'
- 허윤홍 GS건설 대표 "선별 수주로 리스크 관리 강화"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김동욱 부사장, 플랜트사업 '외형 성장' 드라이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남경호 부사장, 건축·주택사업 '혁신' 꾀할 적임자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코오롱글로벌, 대전 선화3차 본PF 전환에 '안도'
- [이사회 분석]금강공업, '사추위' 통해 신임 사외이사 선임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이태승 부사장, 중대재해 예방하는 현장총괄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