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마 투자 '알파타우', FDA 승인 '알파다트' 韓 임상 췌장암 소화기 질병 대상 알파 방사선 활용 의료기기…우지 소퍼 CEO "병원·기업 협업"
신상윤 기자공개 2022-08-04 09:12:28
이 기사는 2022년 08월 03일 13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요즈마그룹이 투자한 이스라엘 의료기기 전문기업 '알파타우메디컬(Alpha Tau Medical·이하 알파타우)'이 한국 의료시장에서 임상을 추진한다. 올해 초 미국 나스닥 시장에 입성한 알파타우는 최근 FDA 조건부 승인받은 의료기기 '알파다트(Alpha DaRT)'의 글로벌 임상 국가 중 한 곳으로 한국을 낙점했다.우지 소퍼 알파타우 창업자겸 CEO는 3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한국에서 췌장암을 비롯해 소화기 관련 암종에 대한 임상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한국의 규제기관 및 절차에 맞춰 진행할 수 있도록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2016년 설립된 알파타우는 고형암을 치료하기 위한 알파다트 연구개발 및 상용화에 나선 의료기기 전문기업이다.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교 이츠하크 켈손 천제물리학과 교수와 요나 케이사리 의대 교수에 의해 개발된 알파다트는 알파(α) 방사선을 활용해 암 등 질병을 치료하는 의료기기다.

/사진제공:요즈마그룹코리아
알파타우는 이 특성을 활용해 의료기기 알파다트를 개발했다. 알파다트는 종양 내 알파 방사선을 지닌 시드(Seed)를 삽입해 방출된 방사선으로 암 세포 등을 제거한다. 치료에 사용된 시드는 제거 혹은 체내 비활성 상태로 남아 인체엔 무해하다는 설명이다.
알파타우는 이날 간담회에서 지난달 미국에서 치료 효과를 보인 편평세포암(SCC) 환자 사례도 공개했다. 미국 텍사스주에 거주하는 66세 남성 씨릴(Cyrill)씨의 사례다. 그는 왼쪽 눈 아래 국소 부위에 알파타우의 알파다트를 적용한 치료법으로 효과를 봤다.

이와 관련 알파다트는 최근 미국 FDA로부터 완치에 대한 기준이 없는 피부 및 구강 SCC와 재발성 다형성 교모세포암(GBM)에 대해 각각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방사선 치료 혹은 재발 환자 대상 임상에서 79% 완전관해와 100% 반응률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알파타우는 올해 6월 FDA로부터 알파다트의 임상용 의료기기 적용 면제 신청에 대한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이로써 미국 외 글로벌 임상에선 참여 제한이 없는 상황이다. 이번 방한도 미국 내에선 한계가 있는 임상 규모를 한국을 비롯해 전 세계로 확장하기 위함이다.
자금력은 충분하다는 게 알파타우 입장이다. 특히 올해 3월 나스닥시장에 입성하면서 9000만달러(원화 11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조달했다. 라피 레비 알파타우 CFO는 "나스닥 상장으로 자금을 조달해 한국을 비롯해 글로벌 임상 자금은 충분한 상황"이라며 "특히 한국은 이스라엘과 협약을 통해 지원금도 받을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국 내 임상 규모는 암종마다 다르지만 전체 모집 인원은 30~50명 수준을 예정하고 있다. 알파타우는 이번 방한 기간에 국내 병원 및 헬스케어 기업들과 임상 관련 논의를 할 계획이다.
우지 소퍼 CEO는 "알파다트는 국소 부위를 치료할 뿐 아니라 전이성 암을 비롯해 다양한 질병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한국 내 다양한 파트너들과 만나 활동을 넓혀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지배구조 분석]건설사 KD 대주주, 채무 부담에 지분 매각 '결단'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대우건설, 해외 토목 현장 관리에 달렸다
- [디벨로퍼 프로젝트 리포트]넥스플랜, '에테르노 압구정' 옆 '효성빌라' 추가 취득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SK에코플랜트, 하이닉스발 수주 효과 '기대감'
- [디벨로퍼 리포트]엠디엠그룹, '서리풀·해운대' 앞두고 숨 고르기
- [이사회 분석]동신건설, 베일에 가린 오너3세 대표로 등장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삼성물산 건설부문, 수익성 견인한 공사비 협상력
- [디벨로퍼 리포트]빌더스개발원, 첫 매출 '이천 부발역 에피트' 촉진 관건
- [건설사 추정 수익·원가 분석]현대건설, 발주처 증액 협상 난이도 높아졌다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특수건설, 2세 경영 안착 속 후계구도 '안갯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