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움증권, '믿을맨' 기업금융2팀 IPO 첫 테이프 끊나 디티앤씨알오 예심 승인, 올해 첫 주관 실적 유력…최대 1580억 밸류, 프리 IPO 엑시트 준비
남준우 기자공개 2022-09-19 11:00:46
이 기사는 2022년 09월 13일 15시3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올해 IPO 시장에서 힘을 못 쓰던 키움증권이 첫 트랙레코드를 쌓을 채비를 마쳤다. 구본진 이사가 이끄는 기업금융 2팀 담당의 디티앤씨알오(Dt&CRO)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승인을 받았다.작년부터 키움증권의 IPO 대부분을 담당한 팀인 만큼 기대가 크다. 프리 IPO 때 투자한 우선주의 전환가액 등을 고려하면 IPO 엑시트로 약 두 배 이상의 수익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올해 스팩 두건 제외하면 IPO 트랙레코드 '전무'

키움증권은 작년까지만 해도 IPO 시장에서 괜찮은 성과를 거뒀다. 2018년 약 2000억원의 주관실적을 기록한 이후 2019년 1854억원을 기록했다. 작년에는 5건의 IPO를 주관하며 1280억원의 실적을 쌓았다.
올해는 상황이 여의치 않다. 13일 기준으로 올해 6호스팩과 7호스팩 외에 단 한 건의 IPO도 성사시키지 못했다. 6·7호스팩의 상장 총액은 각각 68억원, 82억원이다. 공모액 기준으로는 두 건을 합쳐도 144억원에 불과하다.
기업금융 1팀이 담당한 네오랩컨버전스는 지난 4월 청구서를 접수한 이후 약 4개월 만에 자진 철회했다. 현재 IPO 시장에서 흑자를 실현하지 못한 채 상장에 도전하는 특례상장사에 대해 냉혹한 평가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비슷한 기간에 쓰리빌리언, 메를로랩 등 특례 상장을 추진하던 곳 모두 자진 철회했다. 기업금융 1팀의 경우 최근 담당 기업 중 샌즈랩이 예비심사 청구서를 제출한 상태다. 공동 주관사로 참여한 세븐브로이맥주는 내년을 향해 준비 중이다.
이번 디티앤씨알오 IPO는 기업금융 2팀이 담당한다. 비상임-분석-생동-임상, RA 등 원스톱 임상수탁(CRO)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업이다. 작년 1월 신약 효능평가 전문기업 이비오를 인수하면서 덩치를 키웠다.
◇공모가밴드 '2만2000~2만5000원' 예상

작년에 이어 기업금융 2팀이 활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키움증권은 작년에 오로스테크놀로지, 나노씨엠에스, 싸이버원, 브레인즈컴퍼니, 바이오플러스 등 총 5곳의 IPO에 대표주관사로 참여했다.
기업금융 2팀은 이중 오로스테크놀로지, 나노씨엠에스, 바이오플러스 등 세 곳을 담당했다. 전체 IPO 대표 주관실적 가운데 1000억원을 담당했다. 수수료 기준으로는 전체의 96%에 해당하는 52억원을 벌었다.
디티앤씨알오의 경우 기업금융 2팀이 프리 IPO부터 참여하면서 수익 실현에 나섰다. 2020년경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등과 함께 프리 IPO에 참여했다. 디티앤씨알오는 2019~2020년 네 차례에 걸쳐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127만2631주는 작년 7월경 전액 보통주로 전환했다.
엑시트를 위한 절차를 사전에 밟은 셈이다. 증권정보포털(SEIBro)에 따르면 해당 RCPS의 전환가액은 주당 7800~9500원이다. 프리 IPO 당시 인정받은 밸류에이션이 1000억원인 점을 고려하면 이번 IPO 몸값은 이보다 높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디티앤씨알오는 이번 IPO 공모가밴드를 '2만2000~2만5000원'으로 설정했다. 공모 예정 주식 수와 상장 예정 주식 수를 고려하면 공모액은 '308억~350억원', IPO 밸류에이션은 '1390억~1580억원'으로 예상된다. 다만 증권신고서 제출일까지 변동될 여지는 있다.
키움증권은 디티앤씨알오 지분 2.16%(10만5263주)를 취득했다. IPO로 회수할 수 있는 자금은 투자 원금을 포함해서 '23억~26억원'으로 추정된다. 작년에도 나노씨엠에스 IPO를 성사한 이후 신주인수권을 행사해 30억원이 넘는 수익을 올린 경험이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프리 IPO부터 시작해서 오랜 기간 지켜본 회사"라며 "프리 IPO 때 1000억원 밸류를 인정받았는데 이번 IPO를 통해서 더 높은 몸값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SAMG엔터, 현대차와 대규모 유스 마케팅 '맞손'
- [지배구조 분석]율호 지분 또 매각한 이엔플러스, 경영권 행사 '계속'
- [Korean Paper]하나증권, 관세·탄핵 불확실성 속 데뷔전 나선다
- [원일티엔아이 IPO]수소 투자 드라이브, 후계자 입지 강화 계기될까
- [대한조선 IPO]조선업 슈퍼사이클 진입…실적 호조까지 더했다
- [Company & IB]파트너 새판짜는 LX하우시스, 은행계 '포용'
- [SK엔무브 IPO]아시아·미국 'NDR' 마무리…밸류 눈높이 '사전 점검'
- [코스닥 신사업 '옥석가리기']서부T&D, 오너가3세 주축 시설관리 법인 출범
- [코스닥 CB 만기도래]200억 상환 앞둔 흥국에프엔비, 추가 조달 추진
- [2025 서울모빌리티쇼]'UAM 낙점' 삼보모터스, 종합 모빌리티 그룹 목표
남준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인프라 강자' 스톤피크, 아시아 2호 펀드 조성 추진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형님 잘 둔' 대한항공씨앤디서비스, 한앤코도 웃는다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지급 보증' 테스코, 임대료 미지급 점포 구세주될까
- [thebell League Table]'난공불락' 삼일PwC, 이번에도 산뜻한 선두 출발
- [PE 포트폴리오 엿보기]'FI·SI 다수 접촉' 티오더, 신규 투자 유치 추진
- 홈플러스에 대한 LP들의 자성
- 웰투시, '화장품 전문 기업' 엔코스 투자 추진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세일앤리스백 점포 부지' HUG 매각, 실현 가능성은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담은 'LP·자산운용사', HUG 매각 카드 '만지작'
- [LP Radar]'적대적 M&A 안된다' 국민연금, 정관 추가 내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