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도 바꾼 LG화학...LG엔솔 소수지분 매각 배경은 차동석 CFO "조만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 있을 것"
이호준 기자공개 2023-06-20 07:32:38
이 기사는 2023년 06월 19일 14시0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 지분 2조원 어치를 내다 팔기로 한 LG화학의 선택에 시장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매각하기로 한 지분이 소수에 불과할지라도 약 5개월 전 직접 지분매각설을 일축했던 차동석 최고재무책임자(CFO)의 말이 뒤집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일각에서는 최근 비핵심 자산 매각을 연달아 추진하고 있는 LG화학이 자회사 지분을 조금씩 처분하며 속도를 합리적으로 조절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을 전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 대해 차동석 CFO는 "조만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1~2% 수준...사업부 매각도 계속 추진
1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 지분 약 2조원 어치를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LG화학이 보유하고 있는 지분 81.84% 중 1~2% 수준에 해당한다. 현재 주관사 선정이 끝났고 계약을 최종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LG화학은 LG에너지솔루션 지분 매각설을 일축해 왔다. 기존 주주들의 지분가치 희석 등 쪼개기 상장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초 LG에너지솔루션 상장 당시에도 70~80%대의 지분을 유지하겠다고 주주들과 약속한 바 있고 올해 초 컨퍼런스콜에서는 차 CFO가 직접 "자회사 지분 매각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 대신 신규 투자는 비핵심 자산을 매각해 조달할 계획이었다. LG화학은 현재 석유화학 부문 대신 성장 가능성이 높은 양극재·분리막 사업 등 '첨단소재 부문'에 올인하고 있다. 첨단소재 부문의 경우 지난해 미국 테네시주에 4조원 규모 양극재 공장 설립 계획을 밝힌 데다 분리막 사업의 북미 진출도 얘기가 나오고 있다.
이에 올해 초 글랜우드프라이빗에쿼티(PE)에 진단사업부를 약 1500억원에 넘겼다. 체외진단키트 관련 장비를 취급하는 진단사업부는 기술적 차별성이 크지 않아 비핵심 자산으로 분류돼 왔다. 이밖에 LG화학은 백신사업부와 팜한농 등도 비핵심 자산으로 분류하고 내부적으로 매각 시점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IB업계 관계자는 "물밑에서 매각을 타진 중인 사업부만 여러 곳으로 알고 있다"라며 "크게 보면 자산 효율화 차원의 접근"이라고 설명했다.
◇숨 고르기가 핵심...차 CFO "조만간 확인할 수 있을 것"
하지만 최근 LG에너지솔루션 지분까지 유동성 확보 카드로 꺼내며 돌연 태도를 바꿨다. 이에 대해 시장 관계자들은 '숨 고르기'가 이번 거래의 핵심이라는 설명을 내놓고 있다. 사업부 매각에 따른 피로감, 기업가치 산정 작업 등을 시점을 조절하기 위한 전략적인 수단으로자회사 지분을 매각하기로 했다는 설명이다.
이미 LG화학이 자회사 지분 매각설을 여러 차례 부인해왔지만 '시간 문제'라는 관측이 대두돼 왔다. 당장 70%만 넘어가도 지배력이 높다고 여겨지는 상황에서 보유 중인 81%를 애써 외면할 필요성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 기업가치 상승효과도 볼 수 있는 만큼 지분 매각은 최적의 선택으로 여겨져 왔다.

일각에서는 LG화학의 소수 지분 매각이 향후 본격적인 지분 매각을 위한 전초전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할인율과 주당 가격 등에 대한 적정선을 파악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우량 투자자 접촉에 나섰다는 설명이다.
차동석 LG화학 CFO(사진)는 이날 더벨과의 통화에서 "향후 이러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시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이수진 야놀자 대표 "글로벌 AI 기업과 협업 확대"
- [LP Radar]시작된 '혁신산업' 출자, 성장지원 '패자부활전' 주목
- [i-point]국떡, 기업 복지 서비스 '국떡 라면바' 신규 론칭
- 세라젬, 안전보건 국제 표준 인증 'ISO 45001' 획득
- [i-point]TKENS, 전장 램프 제습 모듈 글로벌 공급사 확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VC 투자기업]자비스앤빌런즈, AI 개인화 서비스 강화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매각대금 수령 '난항', 채무 상환 차질로 이어질까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이호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단기금융상품 '두배 늘린' KG스틸, 유동성 확보 총력
- CJ대한통운, 신사업 ‘더운반’ 조직개편 착수
- ㈜LS, 배당 확대 시동…2030년까지 30%↑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제철소 4.25조 조달 '안갯속'…계열사 ‘책임 분담’ 주목
- 고려아연, 경영권 수성…MBK와 장기전 돌입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미 일관 제철소 '승부수' 현대제철, 강관 동반 '미지수'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현대제철 첫 해외생산 '루이지애나'...무게중심은 여전히 국내
- 포스코퓨처엠 '흔든' UBS 보고서 "집중이 성장 막는다"
- 장세욱 동국홀딩스 부회장 "대미 투자 신중하게"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철강'이 이끄는 생태계…현대제철, 조연 아닌 '주연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