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위클리]파킹상품 자금몰이…KODEX CD금리 액티브 '인기'최근 1주일 평균 거래대금 5571억 전체 ETF 1위
윤종학 기자공개 2023-07-10 11:05:47
이 기사는 2023년 07월 10일 09시4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변동장세가 지속되며 자금을 잠시 보관하는 파킹 상품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특히 삼성자산운용의 'KODEX CD금리 액티브'가 가장 많은 평균 거래대금을 기록하며 열풍을 이끌었다. 상장한지 한 달여 밖에 지나지 않았음에도 압도적인 거래대금 격차를 보이며 전체 ETF 1위를 차지했다.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7월 3일~7일) 기준 삼성자산운용의 'KODEX CD금리 액티브' 평균 거래대금은 5571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 735개 ETF 중 1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2위를 차지한 'KODEX 200선물인버스2X(2649억원)의 평균 거래대금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준이다.
KODEX CD금리 액티브는 대표적인 단기 지표 금리인 CD91물 금리를 일할해 쌓아주는 상품이다. CD금리를 활용한 ETF 중 가장 늦게 상장됐지만 낮은 보수와 거래비용 등을 앞세워 파킹 자금을 끌어모으고 있다. 이 상품은 지난달 8일 상장 이후 10영업일 만에 전체 거래대금 1위에 오르기도 했다.

현재 상장된 CD금리 ETF는 'TIGER CD금리투자KIS(2020년 7월7일 상장)', '히어로즈 CD금리액티브(2023년 5월23일 상장), KODEX CD금리액티브(2023년 6월8일 상장) 등 3종이다. 같은 기간 평균 거래대금을 보면 TIGER CD금리투자KIS는 209억원, 히어로즈 CD금리액티브는 2500만원 수준이다.
유독 KODEX CD금리 액티브의 거래대금이 몰리는 이유는 주당 단가를 높여 거래비용 부담을 줄였기 때문이다. 이 상품의 주당 단가는 100만원으로 TIGER CD금리투자KIS(5만원), 히어로즈 CD금리액티브(10만원)과 비교하면 10~20배 이상 높게 책정됐다.
주당 단가가 높으면 거래 횟수가 적어져 호가 슬리피지를 낮출 수 있다. 슬리피지는 주문한 가격과 실제 체결된 가격의 차이로 일종의 거래비용이다. 수시로 매매가 이뤄지는 파킹형 상품의 특성상 슬리피지가 적은 것이 비용절감 측면에서 유리하다.
최근 국내 증시가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대기자금들이 파킹형 ETF로 몰리고 있다. 파킹형 ETF를 이용하면 종합자산관리계좌(CMA)나 은행 예금보다 높은 이자 이익을 얻을 수 있고 거래소에 상장돼 언제든 현금화가 가능하다.
실제 KODEX CD금리 액티브 외에도 다수의 파킹형 ETF가 지난주 거래대금 상위를 차지했다. ACE 단기통안채(2552억원), KBSTAR 단기통안채(1317억원), TIGER 단기통안채(1206억원), KOSEF 단기자금(504억원), KODEX 단기채권PLUS(489억원), TIGER CD금리투자KIS(209억원), KODEX 단기채권(197억원) 등이 20위권 내에 위치했다. 단기채 ETF도 자금 파킹에 장점을 지닌다. 듀레이션이 짧아 가격 변동 리스크가 적고 추가적으로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지난주 파킹형 ETF와 함께 자금을 끌어모은 상품은 인버스ETF다. 인버스ETF는 주식관련 장내외 파생상품 투자 및 증권차입매도 등을 통해 기초지수의 일일변동률을 역방향으로 추적하는 ETF다. 즉 증시 하락에 베팅하는 상품이다. 평균 거래대금 2649억원으로 2위를 차지한 KODEX 200선물인버스2X는 코스피200 선물지수의 일별수익률을 음의 2배수로 추적한다. 7일 기준 순자산총액은 1조9900억원에 이른다.
인버스ETF들은 지난주 수익률 상위권을 휩쓸기도 했다. 수익률 10위권 내 모든 ETF들이 인버스 상품이었다. ETF수익률 순위를 보면 TIGER200선물인버스2X(7.68%), KODEX200선물인버스2X(7.51%), ARIRANG200선물인버스2X(7.50%), KBSTAR200선물인버스2X(7.10%), KOSEF200선물인버스2X(7.06%), KBSTAR차이나H선물인버스(6.03%), KBSTAR미국장기국채선물인버스2X(3.96%), KOSEF200선물인버스(3.73%) 등 순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GC인삼공사, 혈당 케어 브랜드 ‘GLPro’ 확장
- [i-point]원영식 오션인더블유 회장, 산불 피해 장애인·주민 후원
- [thebell note]WM의 IB화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ETF 포트폴리오 추가…삼성·미래에셋운용의 '고민'
- [Product Tracker]IMM로즈골드5호 GP커밋, 유동화 펀드 구조는
- 전진건설로봇 기초자산 EB…운용사 우려에도 700억 매듭
- 엘엑스운용 'NPL펀드' 론칭…패밀리오피스 자금 확보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마이다스에셋운용, 적극적 행사기조 '현재진행형'
- ACE 미국500타겟커버드콜, 월배당 매력 '눈길'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하위운용사도 눈치싸움…"증권사 무방 vs 기존 선호"
윤종학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더본코리아 거버넌스 점검]사내이사 4인 체제…'1인 리더십' 보완 과제
- [캐시플로 모니터]역대 최대 실적' 코디, 실질 현금창출력도 개선
- [더본코리아 거버넌스 점검]성장엔진이자 구조적 한계 '백종원'
- [thebell note]에이피알의 두 번째 엔진
- 아모레퍼시픽, 제이투머로우 기업집단 편입 까닭은
- 쿠팡, 포천 물류센터 투자…'3조 로켓배송 확장' 속도
- [변곡점 선 콜마비앤에이치]속절없는 주가 하락 '트리거', 주가 부양 의지 없었나
- [비상장사 재무분석]본아이에프, 외형 키우며 줄어든 현금곳간
- [퍼포먼스&스톡]아모레퍼시픽, 호실적에도 조정…글로벌 성장 '유효'
- [지앤푸드는 지금]오너가 지배력 확고, 배당성향 확대 지속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