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 인니법인에 5000만달러 증자…기업 지원 확대 인니 진출한 한국 기업 수요 증가… 현지 금융당국 규제 대응 차원도
이재용 기자공개 2023-09-26 08:20:55
이 기사는 2023년 09월 22일 07시4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이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 수은인니금융에 대한 자본확충에 나섰다. 현지 진출 한국 기업의 인도네시아 투자 증가와 자금 소요에 따라 지원 규모를 확대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수은 이사회는 지난달 30일 열린 제9차 회의에서 5000만달러 규모의 자금을 수은인니금융에 증자하기로 했다. 내달 중 증자를 마무리하는 것을 목표로 기획재정부 승인과 외국환 신고를 준비 중이다.

이번 수은의 수은인니금융 증자는 두 가지 이슈에 대응하기 위해 결정됐다. 우선 인도네시아에 대한 한국 기업의 투자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다. 더불어 동일 차주 여신 한도 제약 등 인도네시아 현지 금융당국 규제를 맞추기 위해 자본력을 키우는 것이다.
실제로 인도네시아는 저렴한 인건비와 토지 임대료를 앞세워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생산 거점으로 급부상했다. 1973년 수교 당시 1억8500만달러였던 교역액은 지난해 기준 140배 이상 증가한 260억 달러를 넘어섰다.
무엇보다 올해부터는 한-인니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으로 교역 품목 약 95%의 관세가 철폐돼 한국 기업들의 현지 진출이 가속화하고 있다. 이미 현대차그룹을 포함해 LG그룹, 포스코그룹 등이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거점을 넓히고 있다.
수은은 이에 발맞춰 인도네시아 국영은행 BNI와 MOU를 맺는 등 한국 기업 진출을 독려하고 있다. 이번 증자로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의 자본 여력을 늘린 만큼 현지 진출 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수은 관계자는 "자본금이 증자되면 그만큼 우리나라 기업에 더 지원할 수 있고 우량 자산을 담을 수 있는 여력이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수은인니금융은 수출입은행이 인도네시아 국영상업은행(현 만다리은행)과 1991년 12월 설립한 합작회사다. 인도네시아 현지에서 리스와 팩토링 금융을 중심으로 종합금융 영업을 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Sanction Radar]기업은행, 개선 의지 읽히는 '쇄신위' 조기 구성
- 새마을금고 정부합동감사 개시…대출 적정성 따져본다
- 산은, NPL 매각 시동…올해 2000억 규모
- [Policy Radar]AML 내부통제 내실화…FIU, 업무규정 5월 시행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신한금융, 거버넌스 구축 막바지…협의회도 만든다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우리금융, 최고의사결정기구 부재 '옥의티'
- IBK기업은행, 내부통제 '환부작신'한다
- [우리금융 동양생명 M&A]예외 승인, 내부통제·조직문화 개선에 달렸다
- [Sanction Radar]기업은행, 900억 부당대출 '축소·은폐' 덜미
- '유명무실' 금융권 이해상충 방지 실효성 높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