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행, 퇴직연금 전담센터로 연금 사업 강화 연금 업무지원센터에 업무 이관…비이자이익 개선 전략
이재용 기자공개 2023-09-25 08:14:26
이 기사는 2023년 09월 22일 16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기업은행이 영업점에서 수행 중인 퇴직연금 지급·관리 업무를 퇴직연금 전담센터로 이관하기로 했다. 영업점의 업무 과부하를 해소하고 퇴직연금 관리 업무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다.퇴직연금 사업 역량 강화는 비이자이익 부문 개선 전략의 한 축이다. 앞서 기업은행은 하반기 조직개편에서 비이자 사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연금사업그룹을 신설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노사협의회에서 노동조합이 제시한 퇴직연금 전담센터 개설 안을 수용하고 '연금 업무지원센터'를 만들었다.
연금 업무지원센터는 내년 상반기 이관 시작을 목표로 영업점 퇴직연금 업무 이관 준비에 착수했다. 이관 준비를 마치면 지급, 관리 등 영업점에서 하는 퇴직연금 업무를 단계적으로 이관받을 예정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연금 업무지원센터로의 퇴직연금 업무 이관은 영업점의 과도한 퇴직연금 업무 부담을 낮추는 한편 퇴직연금 고객관리 전문성을 더 확충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연금 업무지원센터는 연금사업그룹 산하 조직으로 본점 내 개설됐다. 기업은행은 앞서 비이자사업 고도화를 위해 연금사업그룹을 만들고 신임 그룹장으로 김태형 부행장을 선임했다.
김 부행장은 전략기획부장을 역임한 기업은행 내 대표적인 '전략통'이다. 기업은행의 기업 중심 퇴직연금 자산구조를 개인 부문으로 확장하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 수립 적임자로 평가됐다.
기업은행이 퇴직연금 등 연금사업 강화에 공을 들이는 것은 비이자 부문의 수익성 개선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김성태 기업은행장도 창립 62주년 기념식에서 "조직이 강화된 카드와 연금 부문의 경쟁력과 혁신성을 높여 비이자 부문의 시장경쟁력을 조속히 반등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지난 2019년 5502억원이던 기업은행의 비이자이익은 2020년 4739억원, 2021년 4738억원, 지난해 2535억원으로 해마다 줄었다. 지난 상반기 비이자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53% 증가했으나, 분기별로 보면 2분기 1364억원으로 전 분기 2734억원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쳤다.
퇴직연금 시장은 비이자이익 개선이 필요한 기업은행으로선 놓칠 수 없는 시장이다. 금융감독원 통합연금 포털에 따르면 국내 퇴직연금 시장 규모는 지난 2분기 말 기준 345조7131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말 300조원을 넘어선 이후 올해 상반기에만 적립금 10조원이 불어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KGC인삼공사, 혈당 케어 브랜드 ‘GLPro’ 확장
- [i-point]원영식 오션인더블유 회장, 산불 피해 장애인·주민 후원
- [thebell note]WM의 IB화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ETF 포트폴리오 추가…삼성·미래에셋운용의 '고민'
- [Product Tracker]IMM로즈골드5호 GP커밋, 유동화 펀드 구조는
- 전진건설로봇 기초자산 EB…운용사 우려에도 700억 매듭
- 엘엑스운용 'NPL펀드' 론칭…패밀리오피스 자금 확보
- [스튜어드십코드 모니터]마이다스에셋운용, 적극적 행사기조 '현재진행형'
- ACE 미국500타겟커버드콜, 월배당 매력 '눈길'
- [연기금투자풀 지각변동]하위운용사도 눈치싸움…"증권사 무방 vs 기존 선호"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R Briefing]삼성생명, 자본비율 감소에도 주주환원 목표 '이상 무'
- [Policy Radar]금융사 부당 성과보수, 경영진 책임 묻는다
- DB손보, 수익성 감소폭 만회한 투자이익
- [FIU 위험평가]내부통제 구축 및 실질 운영에 쏠린 무게중심
- [Policy Radar]MG손보, '가교보험사' 거쳐 정리한다
- [thebell interview]"수탁고·수수료수익 '200-200클럽' 조기달성할 것"
- [FIU 위험평가]핵심 양대 지표, 운영위험과 고유위험
- 인니 KB뱅크, 이우열 행장 '유종의 미'…후임은 현지인
- [FIU 위험평가]자금세탁 노출·통제 수준 측정…등급별 관리 '차등화'
- [Policy Radar]'1거래소-1은행' 원칙 폐기 짚어볼 두 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