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보의 SGI 상장 전략]목표는 6조 '자금 회수', 배당 축소 없다②상장이 끝 아냐, 주가 상승 필요성 크다…배당주 주가 약진 '기대'
김서영 기자공개 2023-10-13 08:12:16
[편집자주]
예금보험공사는 서울보증보험(SGI)의 지분 93.85%를 보유하고 있는 대주주다. SGI 기업공개(IPO)가 본격화되며 예보의 전략에도 관심이 쏠린다. 예보 입장에선 이번 IPO에 공적자금 회수 여부가 걸려 있다. 예보는 IPO 오버행 우려나 성장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궁금증을 털어내기 위해 주력하고 있다. 더벨은 SGI 상장을 추진하는 예보의 전략을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3년 10월 12일 07시3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서울보증보험(SGI)의 최대주주 예금보험공사(예보)가 배당성향 축소 우려에 대해 선을 그었다. 로드맵에 따라 경영권을 매각하게 되면 배당이 줄어드는 것 아니냐는 시장의 의심을 일축한 것이다. 예보는 궁극적인 목표는 자금 회수라며 남은 6조원을 거둬들이기 위해 고배당을 유인으로 한 주가 상승에 힘쓰겠단 입장이다.SGI 상장에 있어 고배당 성향은 투자자를 유인할 메리트로 여겨져 왔다. 동시에 SGI 상장은 최대주주 예보의 엑시트, 나아가 경영권 매각으로 이어지는 것이 수순이다. 예보가 SGI 경영에 손을 떼게 되는 것을 두고 일각에선 배당성향을 줄여나가는 것 아니냐는 시각이 제기됐다.
SGI의 배당성향은 금융권 전반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단연 눈에 띈다. 2012년부터 2021년까지 10년간 SGI의 배당성향은 평균 54%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비슷한 업권으로 분류되는 손해보험사들은 10년 평균 30% 배당성향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예보는 이번 SGI 상장 이후에도 배당성향이 줄어들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예보가 고배당 정책을 이어갈 수밖에 없는 이유는 바로 '공적자금 회수'에 있다. 정책금융기관인 예보의 최우선 과제는 SGI에 투입된 공적자금을 회수하는 것이다. 상장을 통한 구주매출은 자금 회수를 위한 수단 중 하나다.
현재 자금 회수율은 약 45%로 절반도 채 회수하지 못한 실정이다. 예보는 SGI에 10조2500억원을 투입했고, 지분 매각을 통해 이를 다 거둬들이려면 긴 시간이 걸린다. 지분 매각이 아니고서는 대규모 공적자금을 회수할 방법은 배당을 통한 회수밖에 없다. 6조원 가까이를 더 회수해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고배당 기조에 변화를 줄 이유가 없다.
예보 관계자는 "회수해야 할 공적자금이 반도 더 남은 상황으로 이를 위해서라도 지속해서 경영권을 가진 모회사로서 배당성향을 높은 수준으로 유지할 계획"이라며 "회수 측면에서 SGI 주가가 상승하는 것도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오버행 이슈도 해소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예보는 SGI 상장 타이밍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앞서 예보는 9월 12일 SGI의 증권 신고서를 제출했다. 금융지주사나 삼성화재, DB손해보험 등 보험사, 해외 2개사 등이 피어그룹으로 꼽혔으며 희망공모가밴드(3만9500원~5만1800원) 산정을 위해 적용된 이들의 주가는 9월 초를 기준으로 고정됐다.
예보는 배당주에 올라타지 못한 투자자들을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연말 들어 배당주로 꼽히는 피어그룹 주가가 오르는 것에 주목했다. 10월, 11월 들어서 배당주 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SGI 주식 가격은 비교적 낮게 고정됐다는 설명이다. 배당주에 관심 있는 투자자들이 SGI 상장에 참여해 배당주 수혜를 노릴 수 있다고 분석한 것이다.
배당주의 주가 상승세뿐만 아니라 IPO 시장이 다시 살아나는 것도 호재로 풀이된다. 미래에셋증권이 주관하는 밀리의 서재와 두산로보틱스 IPO가 연달아 성공했다. 미래에셋증권은 SGI 상장도 공동 주관하고 있다. 또 에코프로그룹의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상장도 출격 대기 중이다. SGI까지 3연속 성공 기록을 세울지 주목된다.
예보 관계자는 "예보는 우리금융을 민영화해 회수율 100%를 넘긴 경험이 있다"며 "경영권도 일정 부분 유지해나가며 배당이나 주가 관리에 매진하겠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사회 분석]GS건설, 다시 여는 주총…사외이사 '재선임' 카드
- [건설사 인사 풍향계]이종원 회장의 '선택', 임기영 HS화성 신임 대표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GS건설, 브릿지론 '2조' 돌파…연내 본PF 전환할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조성한 부사장, 글로벌 경쟁력 강화할 '토목 전문가'
- 허윤홍 GS건설 대표 "선별 수주로 리스크 관리 강화"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김동욱 부사장, 플랜트사업 '외형 성장' 드라이브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남경호 부사장, 건축·주택사업 '혁신' 꾀할 적임자
- [건설사 PF 포트폴리오 점검]코오롱글로벌, 대전 선화3차 본PF 전환에 '안도'
- [이사회 분석]금강공업, '사추위' 통해 신임 사외이사 선임
- [GS건설을 움직이는 사람들]이태승 부사장, 중대재해 예방하는 현장총괄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