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승부수]덩치 키운 위메이드, 올해는 내실에 '방점'나이트크로우 큰 흥행 거둬, 위믹스 재상장 이뤄내…차입금 감축 전망
황선중 기자공개 2024-01-03 12:48:28
이 기사는 2024년 01월 02일 16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사진)가 올해 신년사에서 경영전략 변화를 예고했다.그동안은 공격적인 확장으로 '덩치키우기'에 힘썼다면, 앞으로는 불필요한 비용지출을 최소화하는 '숨고르기'에 돌입하겠다는 의지를 직접적으로 나타냈다.
그간 다수의 사업에 '성장씨앗'을 뿌려둔 만큼 무리한 투자보다 재충전의 시간을 보내며 수확기를 기다리겠다는 의미로 읽힌다.
◇장현국 대표 "2024년, 내실 다지는 한 해로"
장현국 대표는 2일 신년사에서 "지난 1년은 다사다난이라는 말로는 형용할 수 없을 정도의 도전이 있었고, 어려운 대외환경 속에서도 묵묵히 우리 일을 해나가면서 큰 성과를 이뤄냈다"면서 "2024년은 내실을 다지는 한 해로 만들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내실은 일의 우선순위를 정해 중요한 일에 집중하고 비용효과적으로 할 때 다질 수 있다"라고 했다. 앞으로는 위메이드가 추진하고 있는 다수의 사업 중에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는 사업에 집중하겠다는 이야기다.

장 대표가 내실을 강조한 것에 눈길이 쏠리는 이유는 최근 수년간 확장에 주력했기 때문이다. 2년 전인 2022년 신년사에서는 '굿 투 그레이트(Good to Great·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라는 표현까지 사용했을 정도로 공격적인 성장을 추구했다.
다만 올해를 기점으로 내실로 노선을 선회했다는 것은 지금까지의 확장경영 성과에 만족한다는 의미로 여겨진다. 장 대표가 지난해를 돌아보며 "큰 성과를 이뤄냈다"라는 표현을 사용한 점이 설득력을 더한다.
◇지난해 신작 흥행부터 위믹스 재상장까지 '겹경사'
위메이드가 거둔 대표적인 성과는 모바일게임 '나이트크로우' 흥행이다. 지난해 4월 출시 이후 현재까지 국내 인기 모바일게임 상위 5위권에서 떠나지 않고 있다. 장 대표도 올해 신년사에서 "명실상부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게임"이라고 지칭했다.
액토즈소프트와의 오랜 갈등도 해결했다. 양사는 20년 넘게 '미르의전설2·3' 지식재산권(IP)을 두고 다퉜지만 지난해 8월 극적 합의에 성공했다. 법정공방 리스크에서 벗어나면서 미르의전설 IP 사업을 보다 안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게 됐다.
미래 성장동력인 가상화폐 '위믹스' 사업도 안정적인 흐름을 되찾았다. 2022년 하반기 상장폐지 문제에 휘말리면서 예기치 않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최근 국내 5대 가상화폐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 중 4곳에서 재상장을 이뤄냈다.
또한 장 대표는 가상화폐 시장 침체기가 찾아온 상황에서도 위믹스 투자를 아끼지 않았다. 위믹스를 기반으로 '위믹스플레이', '나일', '우나기' 같은 새로운 서비스를 계속해서 선보였다. 손실을 입은 투자자들과도 주기적으로 소통하며 오해를 해소했다.

◇올해 '내실성장' 이뤄낼 수도
올해도 다수의 신작이 출격을 대기하고 있다. 우선 대표작 '나이트크로우'가 위믹스 생태계와 접목돼 글로벌 시장에 뛰어든다. 나이트크로우 글로벌 시장에서 흥행하면 실적 개선을 넘어 자연스럽게 위믹스 생태계에도 활력이 생기게 된다.
또한 최고 수준의 그래픽으로 호평을 받은 모바일게임 '레전드 오브 이미르'를 비롯해 '판타스틱4베이스볼', '미르4 중국', '미르M 중국' 등도 연이어 출시된다. 게임사 실적은 신작이 좌우하는 만큼 내실경영 속에서도 추가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대목이다.
또한 내실경영을 전개한다면 재무구조도 한층 안정화될 것으로 보인다. 위메이드는 공격적인 투자 속에서도 비교적 건전한 재무구조를 유지했다. 최근 5년간 재무건전성 지표인 부채비율이 한 차례도 위험선(200%)을 넘기지 않았다는 점이 상징적이다.
다만 공격적인 투자 탓에 돈 나갈 곳이 늘면서 차입금이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점은 잠재적인 우려 요인으로 꼽혔다. 그만큼 올해 내실경영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차입금 감축일 것으로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LG이노텍·LG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사업화 시동
- [Company Watch]시노펙스, 반도체 필터 성장에 혈액투석 신사업까지 '본궤도'
- [i-point]제이엘케이, 'JLK-LVO' 혁신의료기기 통과
- [i-point]포커스에이아이, 차세대 나라장터 구축유공 표창장 수상
- [thebell interview]"매출 1000억 이어 신사업 두 마리 토끼 잡을 것"
- [Red & Blue]테마 바람 탄 아이스크림에듀, 사업 경쟁력 '재조명'
- 제노스코 '상장 불발' 이후, 오스코텍·메리츠 복잡한 셈법
- [클리니컬 리포트]동아ST의 메타비아, 위고비 빈틈 겨냥 '비만약' 내약성 입증
- 유유제약, 수익성 개선에 쌓이는 현금 '차입 축소' 행보
- 동성제약, 자금조달 '총력' 자사주 매각 이어 20억 유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