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4년 02월 26일 07시5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태영 살리기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 아니냐." 지난 15일 강석훈 KDB산업은행 회장과 만난 기자들은 날선 질문을 던졌다. 채권단이 태영건설에 4000억원의 신규 운영자금을 지원하기로 결정한 직후다.정부가 신규자금 투입에 사실상 선을 그어왔는데 자금을 투입하는 저의가 의심스럽다는 뉘앙스였다. 이후 강 회장이 "일반적인 워크아웃 절차"라는 해명을 내놨다. 질문과 해명을 담아 '태영 살리기가 아니다'라는 기사도 쏟아졌다. 그런데 돌이켜보니 의아하다. 태영 살리기가 문제인 걸까.
워크아웃의 대전제는 대주주의 책임 있는 역할이다. 이번 태영건설 워크아웃에선 대주주인 태영그룹(티와이홀딩스)의 충분한 자구노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선 태영그룹 차원의 지원 여력이 필요하다. 워크아웃 개시 전 태영 측이 한 "태영이 살아야 태영건설도 산다"는 말도 이런 맥락이다.
태영 및 대주주만 살리는 지원이라면 분명 문제다. 하지만 태영건설에 대한 신규 자금지원은 대주주의 책임을 토대로 이뤄졌다. 4000억원은 산은이 직접 지원하고 손실이 발생하면 시중은행들이 비율대로 분담하는 방식을 취했다. 채권단에 부담을 떠넘기는 모양새나 조건이 달렸다.
채권단은 신규 자금을 지원하며 조건으로 윤석민 회장의 티와이홀딩스 지분(1282만7810주)과 윤세영 창업 회장 지분(26만6955주), SBS 지분(556만6017주)을 담보로 잡았다. 손실이 발생해도 출혈을 보전할 최소한의 장치가 담보된 셈이다. 대주주의 지분 담보를 통한 자금 지원이므로 워크아웃 절차의 통상 범위를 벗어나지도 않는다.
물론 태영 스스로 기업개선계획이 수립될 때까지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는 게 최고의 시나리오다. 그러나 변수로 인한 어려움은 언제든 발생할 수 있다. 채권단이 '태영그룹 자구계획 발표에 대한 입장문'을 발표할 때 운영자금 마련 노력에도 유동성 부족이 발생하면 대주주 지분 담보를 통해 유동성을 조달하겠다는 단서를 단 이유이기도 하다.
워크아웃의 성공까지 숱한 변수로 인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채권단이 사전에 대비해 모든 단서 조항을 만들 수도 없는 노릇이다. 법적, 절차적 하자가 없다면 변칙적인 지원 방안도 내놓을 수 있다. 이럴 때마다 '살리기'나 '특혜' 등의 시비가 걸린다면 지원하는 채권단으로서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워크아웃이 개시된 현재 가장 중요한 것은 성공적인 결과다.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실패는 비단 한 기업그룹만의 문제가 아니다. 워크아웃 실패로 법정관리에 빠지면 수분양자와 금융회사의 손실은 물론 1000여 곳의 태영건설 협력사의 줄도산 사태가 벌어질 위험성이 있다. 이를 막기 위해서라면 태영 살리기가 대수인가.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제일엠앤에스 시장복귀 여정]거래소에 상폐 이의신청서 제출 '해명절차 착수'
- 현대차, 1분기 미국서 반짝 성장…본게임은 2분기부터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라구나인베·TS인베, 신기술 분야서 문체부와 인연 물꼬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IP직접투자, 카스피안캐피탈 선정…KVIC 첫 인연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이변 없었던 '문화일반', 케이넷투자 2관왕 달성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핑크퐁' 스마트스터디벤처스, 'IP 분야' 재도전 성공
- [모태 2025 1차 정시출자]수출분야, 문화투자 VC 싹쓸이…크릿벤처스 '재수' 성공
- [i-point]신테카바이오, AI슈퍼컴퓨팅 센터 ‘ABSC’ 홈페이지 오픈
- 금호건설, 에코델타시티 아테라 '순항'
- [디아이동일 줌인]동일알루미늄 흡수합병, 경영 효율성 '방점'
이재용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KB라이프, 비우호적 환경 딛고 실적 반등 전환
- [Sanction Radar]분조위,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배상율 80% 결정
- [Sanction Radar]공정위, 은행 LTV 담합 제재 착수…조단위 과징금 전망도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동양생명, 대내외 '충격 민감도' 완화 숙제
- [Policy Radar]금감원, 보험 판매채널 관리·감독 수위 높인다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NH농협생명, 경과조치·보완자본 뺀 손실흡수력은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DB손보, 가정변경 충격 최소화한 수익성
- [Sanction Radar]DB 금융그룹, 내부통제 조직 부실 운영…당국 '경고장'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신한라이프, 안정적 지급여력에도 관리 과제
- [보험사 기본자본 점검]한화생명, 자본구조 개선 '이중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