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오너가 분쟁]임주현 승부수, 지분 보호예수 그리고 주주친화정책3년간 대주주 주식 예탁 약속…임종윤·종훈 형제에게도 같은 약속 요구
정새임 기자공개 2024-03-24 20:37:28
이 기사는 2024년 03월 24일 20시3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미그룹 장녀 임주현 한미약품 사장이 대주주로서 주주들을 설득하기 위한 강수를 뒀다.한미사이언스 대주주인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이 임종윤·종훈 형제 편에 서자 이들과 주주에게 보내는 호소문이자 승부수다.OCI그룹과 통합 후 3년간 주식 예탁을 통해 한미사이언스 주가 하락의 가장 큰 리스크인 '오버행' 이슈를 막겠다는 약속이다. 통합 후 첫 이사회에서 자사주 취득과 소각을 포함한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개진하겠다고도 했다.
◇주주 향해 재차 사과…주주가치 제고 방안 제시
임주현 사장은 24일 늦은 오후 추가 입장문을 발표했다. 23일 모친 송영숙 회장과 함께 입장문을 낸 하루 뒤 개인적으로 추가 입장을 냈다. 그만큼 절박한 심경인 상황이다.
23일 입장문에서 OCI그룹과의 통합 당위성을 강조하며 주주들의 결집을 호소했다면 이날 입장문은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구체적인 플랜을 주로 담았다.
첫 번째 제안이 오버행 리스크 해소다. 임주현 사장은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주가 하락의 가장 큰 리스크는 가족이 상속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식을 내다 팔거나 담보잡힌 주식이 시장에 나올 수 있다는 이른바 '오버행' 이슈였고 이는 여전히 해결이 되지 않았다"며 "OCI와의 통합이 마무리되면 OCI홀딩스에 요구해 향후 3년간 한미사이언스의 주요 대주주 주식을 처분없이 예탁하겠다"고 제안했다.
임종윤·종훈 사장에게도 같은 약속을 요구했다. 이들이 경영권을 쥐면 조만간 이들의 지분이 프리미엄과 함께 시장에 나올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다.

임 사장은 신동국 회장, 주주들을 향해 다시 한번 호소했다. 신 회장에게는 "그동안 함께 해주신 것에 진심으로 감사드리며 이후 OCI와의 계약 과정에서 서운함을 드렸다면 대주주의 한 사람으로서 사과드린다"면서도 "부디 개인적인 서운한을 뒤로 하고 한미그룹의 미래를 위해 큰 어른으로서 저희를 응원해줄 것을 진심으로 부탁한다"고 간청했다.
신 회장은 임종윤·종훈 형제 편에 선 가장 큰 이유로 현 경영진에 대한 불만을 적시했다. 이에 대한 공개적인 사과로 보인다.
주주들에게도 사과와 함께 적극적인 주주환원 행보를 약속했다. 임 사장은 "현 상황에 대해 주주분들께 진심으로 머리숙여 사과드린다"며 "저희는 중장기 당기순이익 50% 주주환원, 중간배당 도입 등 주주가치 제고방안을 말씀드린 바 있지만 그간의 주가하락으로 주주님들의 손해를 보전하기에 결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반성하고 있다"고 했다.
이어 "이번 주총에서 OCI와의 통합이 마무리되면 첫 이사회에서 어머니와 이우현 OCI홀딩스 회장은 1차적으로 한미사이언스의 자사주 취득과 소각을 포함한 보다 획기적이고 적극적인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중장기 주주환원 정책을 안건으로 올리겠다"고 약속했다.
◇오빠·동생 향해 날선 비판…1조 투자 방안·채무상황 공개 요구
임종윤·종훈 사장을 향해서는 상속세 문제와 한미 연구개발(R&D) 투자에 대한 대안 제시를 촉구하며 날선 비판을 이어나갔다.
임종윤·종훈 형제가 '시총 200조'라는 비현실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1조원의 투자 등 구체적인 계획 없이 주주들을 현혹시키고 있다는 비판이다.
임주현 사장은 "오빠와 동생은 상속세 잔여분 납부에 관한 실질적·구체적인 대안과 자금의 출처를 밝혀달라"며 "이는 오빠가 혹시 현재도 실체가 불투명하고 재무건전성도 의심되는 코리그룹, Dx&Vx를 한미와 합병시키거나 심지어 부정한 자금원을 이용할 수도 있다는 걱정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임종윤 사장이 임주현 사장에게 빌려간 266억원의 대여금 즉시 상환도 요구했다. 임주현 사장은 "익일 대여금 반환 청구소송을 제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불어 임주현 사장은 임종윤 사장이 제시한 '1조원 투자 유치'에 대한 구체적 방안과 현재 채무상황을 주주들 앞에 투명하게 공개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최소한의 구체적 방안 없이 주주들을 현혹한다면 이는 오빠와 동생 뒤에 한미그룹의 경영권을 차지하려는 사모펀드나 불명의 세력이 도사리고 있다는 소문의 반증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며 "오로지 프리미엄을 받고 주식을 매각할 방안만을 추구하는 행동은 멈춰달라"고 비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청약증거금 2조 몰린 쎄크, 공모청약 흥행 '28일 상장'
- [영상/Red&Blue]겹경사 대한항공, 아쉬운 주가
- [i-point]모아라이프플러스, 충북대학교와 공동연구 협약 체결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KT클라우드 ‘AI Foundry' 파트너로 참여
- [i-point]고영, 용인시와 지연역계 진로교육 업무협약
- [i-point]DS단석, 1분기 매출·영업이익 동반 성장
- [피스피스스튜디오 IPO]안정적 지배구조, 공모 부담요소 줄였다
- 한국은행, 관세 전쟁에 손발 묶였다…5월에 쏠리는 눈
- [보험사 CSM 점검]현대해상, 가정 변경 충격 속 뚜렷한 신계약 '질적 성과'
- [8대 카드사 지각변동]신한카드, 굳건한 비카드 강자…롯데·BC 성장세 주목
정새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성숙기 접어든 KDDF, 지원과제 늘리고 투자유치 스퍼트
- [AACR 2025 프리뷰]신약 개발 속도내는 제이인츠바이오, 연구 2건 출격
- [AACR 2025 프리뷰]국내 항암 신약 투톱 유한양행·한미약품, '최다' 기록 쓴다
- [AACR 2025 프리뷰]항암 신약 글로벌 진출 필수 관문, 커지는 K-바이오 존재감
- [이뮨온시아 IPO]의사에서 경영자로, '국산 항암 신약' 비전으로 뭉친 '원팀'
- "BBT-877 적응증 재탐색" 대응 나선 브릿지바이오
- [인투셀 IPO]상장 주관사에 후한 보상, 10% 신주인수권 별도 지급
- 브릿지바이오, 'BBT-877' 유효성 불발…멀어진 기술이전
- [이뮨온시아 IPO]기술이전 기반 시총 2000억 겨냥, 기댈 구석 'IMC-002'
- [thebell note]달라지는 제약사 주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