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호텔앤드리조트, '푸드테크 강화' 미래 먹거리 육성 2021년 F&B 분할 후 추가 볼트온, 한화로보틱스와 시너지 ‘관건’
변세영 기자공개 2024-04-24 08:00:38
이 기사는 2024년 04월 22일 10시1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연회·식음 사업부문을 한화푸드테크(옛 더테이스터블)에 넘겨 전문적인 관리에 나선다. 최근 ‘식음료(F&B) 솔루션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하는 등 푸드테크 사업을 본격적으로 키우는 과정에서 파생된 행보로 분석된다.22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연회·식음 관련 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해 100% 자회사인 한화푸드테크(옛 더테이스터블)에 흡수·합병시키기로 결정했다. 한화푸드테크와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연회·식음 관련 사업부문이 각각 1:0 비율로 합병하는 형태다.
이번 물적분할은 2021년 F&B사업부를 물적분할한 이후 추가적인 조치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2021년 7월 식음(63파빌리온), 연회(63그랜드볼룸), 중식레스토랑(도원스타일·티원·백리향), 컨벤션(연세플라자) 등 사업부를 분할해 100% 자회사 한화푸드테크(옛 더테이스터블)를 세웠다. 다만 당시 더플라자 호텔의 연회·식음 사업은 넘기지 않고 남겨뒀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더플라자호텔에 위치한 예식장과 연회장 등을 직접 관리·운영해 온 것이다.
이번에 추가적으로 연회·식음 사업을 넘기게 된 배경에는 자회사의 리테일테크 사업을 본격적으로 키우는 동시에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리조트와 호텔, 건물관리(에스테이트) 등 기존 사업 영역에 집중하고자 한 목적으로 분석된다. 실제 한화푸드테크의 당초 사명은 ‘더테이스터블’이었지만 올해 초 법인명을 변경하는 등 첨단 푸드테크 회사로 거듭나기 위한 채비에 나선 상황이다.
실제로 한화푸드테크는 내부에 '식음료(F&B) 솔루션 태스크포스(TF)’를 출범하며 푸드테크 관련 시장조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추가로 올 상반기 판교에 R&D 센터를 출범해 비즈니스 확장에 드라이브를 건다. 이미 부지 선정은 완료된 상태로 입주만 남았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관계자는 “식음료부문을 키우고 사업간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해 연회·식음사업 물적분할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푸드테크 비즈니스는 한화그룹 3남 김동선 부사장이 도맡아서 이끌고 있다. 현재 한화그룹에서는 방산·태양광-금융-유통으로 이어지는 3세 승계구도가 윤곽이 잡혀 있다. 김 부사장은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전략부문장과 갤러리아 신사업전략실장을 겸임하며 ‘리테일’을 맡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화로보틱스와의 시너지도 절대적이다. 한화로보틱스의 협동로봇 비즈니스를 음식 조리나 서빙 등에 활용해 푸드테크를 고도화하는 과정이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는 지난해 10월 200억원을 출자해 한화로보틱스 지분을 32% 획득해 2대주주로 올라섰다. 최대주주는 ㈜한화다. 현재 김동선 부사장은 한화로보틱스 전략담당 임원을 맡아 경영 최일선에 앞장서고 있다. 한화그룹 삼형제 중에 한화로보틱스 경영에 참여하는 인물은 김 부사장이 유일하다.
식음·연회 비즈니스를 넘겨받으며 푸드테크에 힘이 실린 가운데 한화푸드테크와 한화로보틱스가 합병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만약 양사가 합병하면 사업에 한층 탄력이 붙을 수 있을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밖에 합병 시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한화로부터 한화로보틱스 지분을 매입하지 않아도 자연스레 최대주주에 올라설 수 있고, 김 부사장의 비즈니스 영역도 확고해질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LP Radar]산은, 상반기 혁신성장펀드 위탁운용사 7곳 최종 선정
- 씨앤씨인터내셔널, ‘코스모프로프 월드와이드 볼로냐 2025’ 참가 성료
- 이창환 얼라인 대표, 코웨이 자료 놓고 "FCF냐 OCF냐"
- 밸런스히어로, 눈에 띄는 성장세 IPO '청신호'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대표 하우스' 타임폴리오 물만났다…'국장' 집중 모드
- 한국증권, GWM-PB라운지 '투트랙' 전략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메테우스운용, '김정현 운용부문장' 새 대표 낙점
- "리빙트러스트 발족, 하나금융 유언대용신탁 명망 잇는다"
- JB운용, '머큐어 앰배서더 홍대' 인수 눈앞
변세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인스파이어 넥스트 스텝]경영난 모회사, 손바뀜 후 투자재개 기대감↑
- [이사회 분석]롯데홈쇼핑의 건기식 도전, 합작법인 키맨은
- 윤상현 CJ ENM 대표 "턴어라운드 성공, 실적 개선 이어갈것"
- 한화갤러리아, ‘프리미엄 음료 베팅’ 글로벌 도모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CJ, '이사회 재편' 허민회 대표는 '미등기'
- [CEO 성과 보수]폰드그룹, '권오일·이순섭 회장' 미등기에도 보수 톱2
- [Company Watch]시몬스 업계 1위 사수, 외형·내실 다 잡았다
- [해외법인 재무분석]'역대급 실적' 코스맥스그룹, 미국법인 BEP 기대감
- CJ제일제당, '역성장 피드앤케어' 수익성 반전 도모
- [KT&G 방경만호 1년]'부동산사업' 브레이크, 본업 경쟁력 '화력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