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손 잡은 MBK, 고려아연 공개매수 베팅 '임박' 작년 한국앤컴퍼니와 다른 구도, 대등한 지분 대결 속 승리 가능성↑
이영호 기자공개 2024-09-12 19:16:22
이 기사는 2024년 09월 12일 19시0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 MBK파트너스가 등판하며 전환점이 발생했다. MBK가 영풍 및 장씨 일가와 손 잡고 경영권 분쟁에 뛰어들었다. 현 갈등을 종식시키기 위해선 MBK의 고려아연 지분 추가 매수가 불가피하다. 공개매수를 통한 추가 지분 매입이 유력해졌다.1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이날 MBK는 고려아연 최대주주인 영풍 및 특수관계인 장씨 일가와 주주 간 계약을 체결하고 의결권을 공동행사한다고 밝혔다. MBK는 영풍 및 장씨 일가와 한 배를 탄 동시에 의결권 공동행사 시 주도권을 쥐었다는 설명이다.
고려아연은 75년간 장씨 일가와 최씨 일가가 공동경영으로 이어온 곳이다. 그러나 두 일가의 경영권 분쟁으로 공동경영은 사실상 파탄 상태다.
현재 양측의 지분 대결 구도는 비등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영풍과 장씨 일가 측은 총 33%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그동안 경영권 갈등을 이어왔던 최씨 일가의 경우 16% 지분을 들고 있다. 최씨 일가는 백기사로 등판한 LG화학과 현대차그룹 등 보유 지분을 포함해 도합 33% 정도 지분을 쥐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양측 지분 다툼이 비등한 상황에서 MBK는 게임체인저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된다. 조 단위 자금력을 보유한 MBK가 지분을 추가 매입할 경우 영풍 및 장씨 일가 쪽으로 지분이 쏠리게 된다. MBK가 지분을 추가 매수 방법으론 공개매수 카드가 유력하게 점쳐진다.
이를 위해 MBK에선 바이아웃 부문 키맨인 김광일 부회장이 직접 나선 것으로 관측된다. 조 단위 바이아웃 펀드 자금력을 감안하면 MBK 측이 과반 지분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다.
MBK가 지난해 말 한국앤컴퍼니 적대적 인수합병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 공개매수 전략을 다시 짰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당시 MBK는 스페셜시츄에이션(SS) 펀드를 동원해 한국앤컴퍼니 지분 취득에 나섰다. 조현식 고문 등 오너일가와 손을 잡고 조현범 한국앤컴퍼니 회장에 맞서는 구도를 연출했다.
그러나 한국앤컴퍼니 주가가 공개매수 전 크게 뛰면서 MBK 공개매수는 수포로 돌아갔다. 애초에 MBK 승산이 떨어진다는 예상이 지배적이었다. 당시 조 회장 측 지분은 42%, MBK와 조 고문 등 진영의 지분은 30% 정도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시가총액 1조원이 넘는 회사에서 12% 정도의 지분 격차는 극복하기 쉽지 않았다.
최씨 일가의 자금력이 제한적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최씨 일가가 대규모 지분 취득에 쓸 수 있는 실탄이 충분하지 않은데다 백기사들의 추가 지분매입 여력 역시 불투명한 것으로 풀이된다. MBK로선 반드시 50% 이상 과반 지분을 확보하지 않더라도 1대 주주 자리에 오르면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영호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대차잔고 상위권' 에코프로비엠, 반전카드는?
- 한진칼 '주총장 등장' 호반, 일부 안건 '이의제기'
- [현대차 대미투자 31조]'셈법 복잡해진' 글로비스, 사업다각화 기회 살릴까
- 공매도 재개 앞두고…UBS "국내 이차전지 섹터 팔아라"
- 'SK' 이름 떼는 SK렌터카 득실은
- B2C 중고차 진출 롯데렌탈, '조용한 행보' 이유는
- [변곡점 맞은 해운업]'호실적' 팬오션, BDI 추세 '관건'
- 수익성 주춤 롯데렌탈, 사업재편 '성장통'
- [2025 thebell 경영전략 Forum]"제조업 부흥 원하는 트럼프, 한국이 파트너 돼야"
- '최대 매출' 대한항공, 조원태 회장 보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