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피탈사 CEO 연임 레이스]박승오 하나캐피탈 대표, 신성장 기틀 마련…연임 가능성은①함영주 회장 '거취' 변수…부진한 경영성과 영향은
김경찬 기자공개 2024-11-04 13:03:05
[편집자주]
주요 캐피탈사 대표들이 대거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캐피탈사들은 부동산PF 리스크로 저조한 실적을 거두면서 반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초임 임기인 대표들도 연임을 예단하기 어렵다. 캐피탈사 대표들의 임기 중 경영 성과와 관행, 지주회장과의 역학관계 등을 들여다보고 연임 가능성을 가늠해 본다.
이 기사는 2024년 10월 31일 09시22분 THE CFO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박승오 하나캐피탈 대표(사진)가 두 번째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실적 부진이 길어지면서 3연임 도전에 난항이 예상된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도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 함 회장의 거취가 큰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박승오 대표는 올해 리스크관리에 집중하면서 중장기 성장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는 데 주력했다. 박 대표는 다이렉트 인프라를 구축하고 신사업에도 진출하며 새로운 성장 기회를 지속 발굴해 오고 있다.
◇실적 부진 딛고 전임 대표 이어 장수 CEO 반열 오를까
박승오 대표는 2022년 하나캐피탈 대표로 부임해 3년째 대표직을 맡고 있다. 지난해 업황 악화로 실적이 부진했으나 자산 성장을 유지하며 연임에 성공했다. 박 대표는 현재 '2+1' 임기를 수행하고 있으며 두 번째 임기는 올해 연말에 만료된다.

박승오 대표 역시 관행에 따르면 연임 가능성이 다소 낮은 편이다. 다소 부진했던 실적도 연임의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하나캐피탈은 올해 순이익이 전년보다 30% 넘게 줄면서 금융지주계열 캐피탈사 중 4위로 내려앉았다. 그룹 내에서는 하나증권과 하나카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면서 실적 기여도가 예년보다 떨어졌다.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했던 수익성도 악화돼 전반적인 경영성과가 부진하다는 평가다.
함영주 회장의 거취도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박승오 대표는 함영주 회장과 오랜기간 손발을 맞추며 두터운 신임을 받아 왔다. 함 회장이 연임에 성공해 지난해와 같이 안정화에 무게를 둔다면 박 대표도 재연임이 가능하다. 다만 함 회장이 두 번째 임기에서는 인적 쇄신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함 회장의 임기는 내년 3월에 만료된다.

◇업황 위기 속 영업전략 전환으로 대응 능력 발휘
박승오 대표는 1993년 하나은행에 입행했다. 여신관리부와 개인여신심사부를 거쳐 중앙영업본부장, 기업사업본부장, 여신그룹장 등을 역임했다. 은행에서의 풍부한 여신 경력을 바탕으로 하나캐피탈 대표로 선임됐다. 은행 영업에서도 굵직한 성과를 거두며 비은행을 강화하려는 그룹 인사 전략과 부합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박승오 대표는 취임 첫해부터 최대 실적을 거두며 괄목할만한 성과를 달성했다. 이듬해부터는 업권이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하면서 아쉬운 경영 성적표를 받았다. 그러나 선제적 리스크관리에 나서며 발 빠른 대응 능력을 보여줬다. 영업적 측면에서도 리테일금융을 다시 강화하고 중소기업대출을 확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에도 주력했다. 부임 후 차세대 전산 시스템 구축 사업에 착수하며 다이렉트 채널을 확보했다. 현재 장기렌터카와 오토리스 판매에 다이렉트를 활용하며 판매 비중을 점차 늘려나가고 있다. 박 대표는 수익 다변화도 꾀했다. 올해는 의료기기 특화 장비나 헬스케어 관련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내다보고 플랫폼 사업 부문을 전략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에이비엘·컴퍼스, 기대보다 낮은 ORR에도 유의성 충족
- 애경산업, 대표 간담회 통해 매각 검토 공식화
- 지아이이노베이션 창업주 장명호, 4년만에 대표 복귀
- [달바글로벌 road to IPO]'콜옵션' 행사 위한 구주매출…'경영권 강화' 진행 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하반기 출범' 안다글로리, 전략 다양화 개시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코웨이 주총 D-3, '표대결' 관전포인트는
- JB운용, '최원철 대표' 꽂힌 CR리츠 4곳 추진
- 삼성증권, '기관전용 PEF 사업' 채비 장기화
- TIGER 미국30년국채커버드콜액티브, 환율 상승에 수익률 부진
김경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여전사경영분석]한투캐피탈, PF 부실 여파 순익 급감…건전성 개선 위안
- [이사회 분석]JB우리캐피탈, 사외이사 재편…금융사 CEO 출신 중용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KB캐피탈, 부동산PF 관리 집중…입출구 전략은
- BNK캐피탈, 비상임이사 선임…지주 경영 참여도 높아지나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JB우리캐피탈, CSS 한도 전략 체계화…외국인 차주 선별 과제
- KB캐피탈, 언론홍보 전문가 합류…내부통제위 달라진 점은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PF 여진에 건전성 부담 지속…거세지는 위험 관리 '압박'
- 김정수 애큐온저축 대표, 올해 최대 실적 정조준…중점 전략은
- [캐피탈업계 신경쟁 체제]산은캐피탈, IB 선도적 지위 목표…신성장동력은 해외여신
- 신한캐피탈, 회계 전문가 사외이사 선임…이사진 변화 최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