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칠성음료, 생산본부 '세대교체'…효율화 '가속' 정용주 상무 역할 '확대'…미래성장TF는 부문으로 승격
김혜중 기자공개 2024-12-12 14:26:25
이 기사는 2024년 12월 11일 14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롯데그룹 2025년 정기인사로 롯데칠성음료에도 연쇄이동이 발생했다. 주류와 음료부문 생산본부가 통합된 이래 변동이 없던 생산본부장 자리에 새롭게 승진한 정용주 상무가 올라섰다. 정 상무의 이동에 따라 공석이 된 생산지원부문에도 신규 승진자인 우태식 상무보를 배치했다. 최근 하이브리드 공장 운영 및 생산 설비 통합 등의 절차가 진행되는 과정 속 승진 임원을 전진 배치하면서 효율화 작업에 속도를 붙일 것으로 전망된다.11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는 최근 임원 보임 인사를 단행했다. 2025 그룹 정기인사를 통해 승진한 정용주 상무가 생산본부장을 맡게 됐다. 정기인사 당시 기존 생산본부장을 맡았던 장학영 전무가 퇴임하면서 해당 자리는 공석이 된 상태였다.

신임 생산본부장인 정용주 상무는 기존 생산지원부문장으로서 장 전무를 보좌해 온 인물이다. 1998년 롯데칠성음료에서 처음 사회생활을 시작했고, 25년이 넘는 기간동안 생산 및 품질 관리 등에서 전문성을 쌓아 왔다. 2020년 상무보로 승진한 지 5년만에 상무로 한 단계 올라섰다. 이번 승진과 함께 경영 보폭도 확대되면서 롯데칠성음료의 생산 역량을 책임지게 됐다.
정 상무의 이동으로 공석이 된 생산지원부문장은 신규 승진 임원인 우태식 상무보가 맡게 됐다. 기존 직책은 생수지원팀장이었고, 이번 보임으로 생산본부로 옮겨 지원 업무를 이어간다. 생산본부의 주요 임원 모두 신규 승진자를 배치하면서 효율화 작업을 가속화해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칠성음료는 수익성 개선을 위한 설비 효율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생산 SKU를 최적화하고 하이브리드생산을 도입, 공장 설비를 통폐합하는 것 등이 골자다. 이에 따라 기존 음료 부문 공장에서는 광주공장이, 주류 부문에서는 충주2공장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해 음료와 주류 제품을 고루 생산하고 있다.
내년 1월에는 비효율 주류 공장을 롯데렌탈에 매각할 예정이다. 매각 대상인 경산공장에 있는 설비는 군산 공장으로 이전되고 총 4개 주류 공장으로 생산량을 충당하게 된다. 2023년 9월부터 연결 재무제표로 편입된 필리핀펩시 내부 공장 역시 효율화 및 선진화가 필요한 상황 속 신규 승진 임원들은 효율화 작업을 통한 수익성 강화라는 과제에 직면한 셈이다.
이번 보임 인사로 생산본부와는 별개로 미래성장TF가 미래성장부문으로 재편됐다. 임시 조직인 TF에서 정식 조직으로 격상했고 부문장은 기존에 TF를 지휘했던 신해모 상무보가 맡는다. 신 상무보 역시 이번 정기인사로 임원 뱃지를 달게 된 인물이다. 미래성장부문은 해외사업 방향성을 수립하고 투자 전략을 검토하고,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데 집중할 예정이다.
롯데칠성음료 관계자는 “정용주 상무는 이번 정기인사로 상무로 승진했고 생산본부장을 맡게 됐다”며 “이에 따라 우태식 상무보가 공석이 된 생산지원부문장으로 배치됐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김혜중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ompany Watch]이랜드월드 패션부문, 최대 실적에 재무구조 개선 '덤'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현대지에프홀딩스 "상표권 사용료 CI 개발이 우선"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농심, 홈플러스에 '최소 100억' 묶였다
- [대상그룹 톺아보기]주춤한 건기식 사업, M&A로 성장 여력 열어둬
- 임정배 대상 대표 "전략적 M&A로 외부 기술 활용"
- [On the move]하림지주, 외부 인재 수혈 '전략기획 역량 보강'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김창수 F&F 회장 "브랜드보다는 플랫폼 구축이 핵심"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유동화증권 상거래채권 인정, 우선변제 계획은 없어
- [주주총회 현장 돋보기]김승환 아모레 대표 "인수합병 가능성 열어둬"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추가 변제 방침, 회생채권 중 남은 상거래채권 규모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