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제이알운용, 강서 홈플러스 타격없나오는 8월 2800억 차입금 만기도래, 리파이낸싱 가능성 희박 중론
이명관 기자공개 2025-03-19 08:23:26
[편집자주]
'메가푸드마켓' 전환을 통해 반등을 도모하고 있던 홈플러스가 결국 회생 절차를 신청했다. 영업실적 부진이 장기화 되는 가운데 중단기적으로 재무 구조 개선 여력이 크지 않아 신용평가사로부터 등급이 하향 조정된 것이 트리거로 작용했다. 금융 구조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지만 고객들에게 브랜드 신뢰도 타격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더벨은 홈플러스의 영업 현황과 재무 상황, 향후 대응 전략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 기사는 2025년 03월 14일 09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제이알투자운용은 강서 홈플러스를 매입해 운용 중이다. 다만 때아닌 법정관리 소식에 운용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모양새다. 당장 임대료 지급은 문제가 없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차질이 불거질 가능성이 높아서다. 무엇보다 당장 담보대출 만기가 반년여 정도 남았다. 현재 분위기로선 리파이낸싱을 담보하기 어려운 상황이다.1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제이알투자운용이 2017년 인수한 홈플러스 강서점의 담보대출 만기가 오는 8월 10일 도래한다. 앞서 제이알투자운용은 2017년 8월 '제이알제24호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를 비히클로 홈플러스 강서점을 인수했다.
총 인수자금은 3200억원 정도 됐다. 최초 인수했을 때 담보대출 규모는 2310억원 정도였다. 그러다 자산가치가 상승하면서 첫 번째 담보대출 만기일이 도래했을 때 증액해 리파이낸싱에 나섰다. 2022년 8월 단행된 리파이낸싱 이후 총 담보대출 규모는 2840억원으로 불어났다. 그후 지난 2024년 8월 만기가 다시 도래했고, 1년 연장된 상태로 보면 된다.

두 차례에 걸쳐 만기가 연장되는 과정에서 금리는 큰 폭으로 상승했다. 최초 담보대출 당시 금리는 선순위(1829억원) 3.4%, 중순위(482억원) 5.8% 정도였다. 연강 금융비용은 90억원 정도였다.
그후 2022년 첫 번째 리파이낸싱에서 금리가 조정됐고, 5~5.8% 선으로 상승했다. 선순위 금리가 대폭 늘어났고, 총 금융비용도 156억원으로 급증했다. 그리고 지난해 9월 다시 금리가 5.48~7% 수준으로 뛰었다. 다행히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선순위의 이자율이 소폭 상승했고, 금융비용은 163억원으로 소폭 증가했다. 현재 대주단은 NH농협캐피탈을 비롯해 아이엠뱅크, 전북은행, 제주은행 등 다수의 금융기관으로 구성돼 있다.
금융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 3월 4일 홈플러스가 갑자기 회생절차 개시 신청을 하면서 제이알투자운용으로선 악재가 겹쳤다고 보면 된다. 회생절차 개시 신청 이후 제이알투자운용도 곧바로 투자자들에게 위험사실을 고지하기도 했다. "서울회생법원이 홈플러스의 회생절차를 당일 곧바로 결정함에 따라 임대료 매출채권 수취에 불확실성이 생겼다"다고 투자자에게 내용을 밝혔다.
당장 임대료 지급에 자칠이 불거질 가능성이 생겼다는 의미로 보면 된다. 홈플러스의 대외 신인도 하락으로 영업력이 하락하게 되고, 이는 수익성 악화로 이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다. 임대료 조정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 기본적으로 임대료를 배당재원으로 삼고 있다보니 이는 오는 리파이낸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게 시장의 시각이다.
여기서 또 변수는 임대료의 공익채권 포함여부다. 책임임대차 계약에 따라 지급되는 임대료의 경우 공익채권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있다. 공익채권으로 분류되면 회생계획과 무관하게 임대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임대료 지급에 우선순위를 둘 수 있게 되는 셈이다. 다만 회생채권으로 분류되면 우려하는 임대료 미지급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법원의 판단에 따라 갈릴 전망이다.
그럼에도 여전히 홈플러스의 정상화에 대한 물음표가 큰 상황이다보니 금융기관을 유치할만한 유인책이 필요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현재 분위기는 홈플러스가 정상화된다는 전제가 깔리더라도 선뜻 리파이낸싱에 나설 금융기관을 찾기 어려울 실정"이라며 "리파이낸싱을 담보할 만한 반대급부를 운용사가 마련해야 그나마 가능성이 있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어 "여기서 반대급부라고 하면 운용사가 담보를 보충할만한 에퀴티를 추가로 출자하는 것이 한 가지 방안이 될 수 있다"며 "개발이 가능하고 수익성을 담보할만한 사업수지가 나온다면 가능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3조 몸값 반토막' 젠틀몬스터, 구주 거래 밸류 떨어진 이유는
- MBK-영풍 연합, 고려아연 '정기 주총 효력정지' 가처분 낸다
- 한국교통자산운용, 원더모빌리티에 500억 베팅
- '인프라 강자' 스톤피크, 아시아 2호 펀드 조성 추진
- '책임경영 강화' 현승윤 사장, 스톤브릿지캐피탈 지분 25% 확보
- [매니저 프로파일]건축학도에서 기업 해결사로, IMM크레딧 윤주환 전무
- [증권사 생크션 리스크 점검]톱10 중 제재 최다 신한증권, 내부통제로 달라질까
- [Deal Story]동원시스템즈, 계열 실적 안정성 통했다
- [Deal Story]한화호텔앤드리조트 공모채 2배 수요 확보 '완판'
- [Deal Story]한숨돌린 고려아연, 뜨거웠던 시장 반응에 안도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