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동성 전략마저 마이너스 "비상구가 없다" 불확실성 노리는 오라A펀드 성과 미진
양정우 기자공개 2022-06-21 08:17:21
이 기사는 2022년 06월 20일 15:54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글로벌 자산시장이 급락 추세를 지속하자 국내 헤지펀드 시장에서 변동성 전략(Volatility Trading)을 가진 대표 상품마저 맥을 못 추고 있다. 대형 자산운용사의 간판 라인업도 두 자리 수의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가 수두룩한 실정이다.20일 자산관리(WM)업계에 따르면 오라자산운용의 '오라A 일반사모투자신탁 제1호(오라A, 설정액 137억원)'는 올해 연초 이후 수익률이 마이너스(-) 8% 안팎으로 집계됐다. 2019년 말 설정된 이후 누적 수익률은 75% 수준이다.
오라A 펀드는 토종 헤지펀드 시장에서 유일무이하게 변동성이 알파 수익을 안기는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일단 멀티스트래티지(Multi-Strategy) 전략으로 분류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는 변동성 전략에 힘을 싣고 있다. 롱숏(Long/Short)과 이벤트드리븐(Event Driven) 전략을 활용하면서도 변동성 전략의 비중을 50% 정도로 높게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변동성을 드러내는 대표적 수치는 VIX(Volatility Index)다. 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CBOE)가 S&P 500 지수옵션을 토대로 발표한다. 이 지수와 연동된 거래 상품에 가입하면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질 때 오히려 수익을 얻을 수 있다. 과거 국내 헤지펀드 시장에서는 변동성이 메인 전략인 펀드가 없었으나 오라A 펀드가 새로운 시도를 감행하는 강수를 뒀다.
오라운용은 변동성 전략 모델을 구현하고자 'VKOSPI200' 지수와 실현 변동성 회귀모델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기초자산인 'KOSPI200'의 내재 변동성과 실현 변동성 간의 괴리를 포착하고 수익을 실현하기 위한 시도였다. 변동성 매도 전략에서 델타는 중립, 감마는 마이너스, 세타는 플러스(+), 베가는 마이너스의 포지션을 취한다.
하지만 올들어 오라A 펀드마저 저조한 성적을 거두고 있다. 무엇보다 수익률이 변동성과 정비례하게 연동되는 게 아니라 변동성이 다시 정상 수준으로 복귀하는 회귀 성향에서 수익을 얻도록 설계됐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변동성이 크게 상승한 여건이 수익률을 높일 기회이지만 실제 이익이 실현되는 건 시간이 흘러 변동성이 다시 하락하는 구간이다.

오라A펀드의 경우 장기간 변동성이 하락하는 국면에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 변동성의 등락이 극대화될수록 수익 창출의 기회가 대폭 늘어나는 셈이다. 그러나 올해 주식시장처럼 변동성이 부침없이 상승세를 고수하는 여건에서는 좀처럼 수익 창출이 쉽지 않은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글로벌 주식시장은 변동성 장세가 유지됐고 코스피와 코스닥은 박스권에서 지지부진했다. 이 기간 오라A 펀드는 연초 이후 수익률이 50% 수준에 달하는 성과를 냈다. 누적 수익률은 90%에 달했다. 하지만 변동성 확대의 시기를 지나 경기 침체의 위기가 가시화되자 변동성 전략을 내세운 헤지펀드마저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연초부터 VIX는 널뛰기를 하고 있다. 지난 17일 종가 기준 31.13을 기록해 1년 새 최고치에 근접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1994년 이후 처음으로 0.75%포인트 금리인상이라는 자이언트스텝을 밟았고 S&P 500지수는 지난 1월 고점 대비 24% 가량 하락하면서 완연한 약세장에 진입했다는 진단이 나온다.
WM업계 관계자는 "오라A 펀드는 변동성에 따른 베가 리스크와 주가 변화에 따른 감마 리스크를 고려한 트레이딩 전략을 갖고 있다"며 "변동성의 성질상 본래 트렌드로 다시 회귀할 수밖에 없기에 중장기적으로 수익 창출의 기회를 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인베스트
-
- [증권사 커버리지 지도]LG그룹 '핵심 파트너' 신금투, '힘 빠진' 한투·NH
- 현대차가 품은 포티투닷, VC 엑시트 성적은
- 세종벤처 류준걸 대표 사임 임박, 다담인베 '합병 속도'
- 에스에스아이인베, 스팩 실패 조짐···뼈아픈 두 번의 합병 무산
- 스카이워크, 의료기기업체 '플라즈맵' 잭팟 기대감
- [매니저 프로파일]책임투자로 기업가치 탐구하는 우리운용 김재범 팀장
- 전자책 '리디' 엑시트 시도 S&S인베, 지분매각 철회
- 라이프운용, 상장 가시화 ‘글라세움’ 추가 투자
- [기업형 VC 돋보기]엔베스터, 모기업 성장 방식 따라 M&A 투자 초점
- 팰콘제이파트너스, 반년만에 재차 '시정명령' 받은 이유는
양정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VIP운용 공모하우스 변신]'흥행 수표' 사모재간접, 롱바이어스드 한계 넘을까
- [VIP운용 공모하우스 변신]"타임폴리오 잡자" 스타셀렉션 브레인 화려한 등판
- [인사이드 헤지펀드]신생 사모운용사의 울분, 투자권유 금지에 직격탄
- '강방천-금감원' 충돌, 원더플러스 지배력 강도 '키 포인트'
- [인사이드 헤지펀드]해외투자 환헤지, 고난도 상품 분류 '아이러니'
- 더블유씨피 IPO 연기…'투톱' 헤지펀드 영향은
- [퇴직연금시장 분석]DC형 외형팽창 지속, 선두 국민은행 10조 고수
- 정영채 NH증권 사장의 사모펀드 조언
- 한투전기차&배터리 '엔진 재점화' 덩치 더 키웠다
- 더블유씨피 IPO 흥행할까…대형 헤지펀드도 '예의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