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주 계열사 성과평가/하나금융]'영업통' 이호성 카드 대표, 순익 개선에 비은행 '1위'함영주 회장이 꼽은 '구원투수', 수익성 반등 성공…'트래블로그' 호평
김서영 기자공개 2024-12-05 12:50:21
[편집자주]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이 그룹임원후보추천위원회에서 내릴 선택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내년 3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어 안정을 추구할 것이란 관측에 무게가 실리지만 그룹 내 리더십 지형도가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대에 미치지 못한 계열사에 대해서는 쇄신 성격의 인선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그룹임추위의 평가 기준이 될 계열사 CEO들의 임기 중 성과를 분석했다.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3일 15시1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이호성 하나카드 대표이사가 올 연말 임기 만료를 앞두고 있다. 함영주 하나금융그룹 회장 2기 체제에 하나카드 대표로 발탁돼 지난 2년간 경영을 이끌었다. 해외여행 특화 카드 '트래블로그' 흥행에 성공하며 카드업계 판도를 바꿨다.이 대표가 이끄는 하나카드는 빠르게 수익성 개선을 이뤄냈다. 그룹에서 손꼽히는 '영업통'답게 하나카드 순이익을 우상향시키는 저력을 보여준 것이다. 올해 9월 말 누적 순이익이 1844억원으로 나타나면서 그룹 내 비은행 계열사 중 순이익 1위 계열사로 치고 올라왔다. 이 대표가 연임에 성공해 함 회장의 신임을 재확인할지 주목된다.
◇함영주 회장과 '닮은꼴' 이호성 대표 연임 도전
이호성 대표(사진)는 함영주 회장과 똑 닮은 이력의 소유자다. 상고 출신에서 영업력 하나로 금융지주 수장에 오른 함 회장처럼 이 대표는 대구중앙상고를 졸업해 하나은행에서 대표적인 '영업통'으로 꼽힌다. 1992년 5월 하나은행에 입행한 그는 중앙기업금융본부, 대기업영업2본부장, 강남서초영업본부장 등을 거쳤다.
2018년 1월 이 대표는 하나은행 중앙영업그룹장에 선임됐다. 이듬해 2019년 부행장으로 승진하며 영남영업그룹장(전무)으로 자리를 옮겼다. 2021년 1월엔 다시 중앙영업그룹장으로 복귀해 강남서초영업본부장을 겸임하며 활약을 이어나갔다. 2022년 1월 함 회장 체제가 시작된 해 영업그룹장에 올랐다.
지난해 1월 이 대표는 하나카드 대표로 선임됐다. 당시 하나카드는 경쟁사와의 실적 경쟁에서 밀리며 부진한 성적표를 받을 때였다. 순이익이 2021년 2505억원에서 2022년 1920억원으로 23.4% 감소했다. 반대로 경쟁사인 우리카드(2%)와 롯데카드(23.1%) 등은 실적이 개선됐다. 한 마디로 함 회장의 '구원투수'인 이 대표는 자신의 주특기인 영업력 발휘에 나섰다.
이 대표의 게임 체인저는 '트래블로그'였다. 하나카드는 지난 2022년 7월 해외여행 특화 상품인 트래블로그를 출시했다. 하나카드를 이 분야에서 업계 1위로 끌어올린 장본인은 바로 이 대표다. 2022년 말 46만명이었던 트래블로그 고객 수는 지난 8월 말 600만명을 돌파했다. 9월 말 해외 체크카드 점유율은 47.5%로 나타났다.
트래블로그의 흥행은 함 회장의 눈에 들었다. 함 회장은 올해 초 신년사에서 트래블로그를 콕 집어 호평을 아끼지 않았다. 함 회장은 "트래블로그는 수수료를 당연히 받아야 한다는 기존 통념을 깨고 편의와 혜택을 극대화했다"라며 "이를 통해 시장 점유율 확대와 고객 수가 증가하는 등 모든 이해관계자가 상생하는 상품"이라고 말했다.
◇4분기 연속 순이익 증가, 비은행 계열사 '1위' 탈환
이호성 대표의 영업력을 곧장 실적 성장으로 이어졌다. 이 대표 취임 직전인 2022년 말 연간 순이익은 192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4% 감소했다. 이 대표는 대표 선임 후 처음으로 받은 분기 실적에서 순이익 202억원에 그쳤으나 바로 다음 분기 524억원으로 159.4% 뛰었다.
하나카드의 실적 성장세는 작년 말부터 두드러졌다. 이 대표의 영업력을 증명하듯 4분기 연속 순이익이 증가를 이뤄냈다. 구체적으로 △작년 4분기 437억원 △올해 1분기 535억원 △2분기 631억원 △3분기 678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은 1844억원으로 전년 동기(1274억원) 대비 44.74% 급증했다.
수익성뿐만 아니라 건전성도 개선됐다. 올 3분기 총채권 연체율은 전 분기 대비 0.01%p 하락한 1.82%로 나타났다. 특히현금서비스나 카드론 등 고이율 자산의 연체율이 전 분기와 비교해 눈에 띄게 개선됐다. 자산 건전성이 개선되면서 같은 기간 충당금도 3.8% 줄어든 3848억원을 기록했다.
하나카드의 약진이 이어지자 그룹 내 존재감도 커졌다. 수익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하나금융 비은행 계열사 중 순이익 1위 자리를 꿰찬 것이다. 지난해까지 비은행 계열사 가운데 가장 많은 순이익을 낸 건 하나캐피탈이었다. 그러나 성장세가 주춤하며 올 3분기 누적 순이익 1212억원을 기록하며 1844억원을 올린 하나카드에 선두를 내줬다. 이 대표 연임으로 수익 성장세가 이어갈지 관심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파이낸스
-
- [2025 금융 Forum]"저축은행·상호금융 감독정책, 건전성 지표 연계 강화"
- [2025 금융 Forum]"금융시스템 안정과 금융소비자 신뢰 제고에 집중"
- 부산은행, 케이뱅크와 맞손…수도권 전략 JB 따라간다
- 페퍼저축은행 이사회서 빠진 그룹 '창업자'
- [SBI캐피탈은 지금]출범 2년 만에 '플러스' 전환…비우호적 환경 속 선전 비결은
- [보험사 생크션 리스크]한화생명, 기관제재 가장 많아...잇단 감시강화 빛 볼까
- [중견·중소 보험사는 지금]IFRS17로 수혜 누린 흥국화재…당국 가이드라인 영향은
- [금융지주 경영승계 시스템 변화]우리금융, 계열사 CEO 검증 '석세션 프로그램' 실효성은
- iM캐피탈, '은행 출신' 이창우 전무 선임 배경은
- [보험사 생크션 리스크]교보생명, 줄어드는 제재...판매정책·감시강화 성과
김서영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벨로퍼 리포트]SK디앤디, 차입구조 단기화 속 부채비율 개선한다
- [상장 리츠 리포트]'순익 껑충' 롯데리츠, 배당 여력 커진다
- HL디앤아이한라, 차입금 리파이낸싱 '순항'
- [PF Radar]코오롱글로벌, '김해 공동주택' 준공 앞두고 만기 연장
- [건설사 CFO 성과 분석]맹주국 자이에스앤디 본부장, 재무 안정화 이어갈까
- [CFO Change]한신공영, 신임 경영기획실장에 김정훈 전무 '낙점'
- [thebell note]건설사 숨겨진 신년 키워드 '생존'
- [CFO Change]자이에스앤디, GS건설 출신 맹주국 본부장 선임
- 자이에스앤디, CSO 신설…배성환 신임 본부장 낙점
- [신동아건설 법정관리]워크아웃 대신 기업회생 택한 까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