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호주 윌키크리크 인수 나섰다 인수자문사 선정 예정…미국 피버디의 연산 200만t 탄광 예상가 8000억
박준식 기자공개 2012-04-19 14:46:35
이 기사는 2012년 04월 19일 14시4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전력공사(KEPCO)가 호주의 석탄 광산 윌키 크리크(Wilkie Creek mine) 인수를 본격적으로 검토하기 시작했다.18일 인수합병(M&A) 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최근 내부적으로 윌키 크리크 인수전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이번 주 내에 자문사 선정을 위한 용역제안서(RFP)를 외국계 투자은행(IB)을 위주로 송부할 예정인 것으로 확인됐다.
거래 관계자는 "한국전력이 고심 끝에 이번 딜에 뛰어들기로 했다"며 "한전이 인수전을 완주할지는 아직까지 단언할 수 없지만 대형 은행과 석탄자원 관련 노하우가 있는 하우스들이 자문사 선정 경쟁에 나선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번 딜에는 미국 및 호주계 IB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윌키 크리크 광산은 호주의 퀸스랜드 주(Queensland state)에 위치하고 있다. 이 거래의 매각 측은 미국의 거대 자원 기업 피버디 에너지(Peabody Energy)다. 피버디는 지난 1994년부터 생산이 시작된 윌키 크리크를 지난 2002년에 사들여 운영하고 있다. 매각 측은 윌키 크리크 매각을 통해 5억~7억5000만 달러(약 5700억~8500억 원) 가량의 현금 확보를 기대하고 있다.
|
피버디의 윌키 크리크 매각은 호주에서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UBS가 맡았다. UBS는 올 초 자문사 실사를 끝내고 3월 초부터 매각구조를 확정해 회사 소개서를 한전을 비롯한 잠재 후보들에 배포하고 거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윌키 크리크는 연간 200만 톤 규모의 발전용탄(Thermal coal)을 생산하고 있다. 이 석탄은 브리즈번 항구(the Port of Brisbane)를 거쳐 일본과 대만, 우리나라로 수출되고 있다. 한전은 석탄 화력 발전소의 운용을 위해 윌키 크리크에서 생산된 석탄을 피버디로부터 수입해 활용하면서 이 딜에 관심을 갖게 된 것으로 보인다.
|
이번 거래에는 한전에 앞서 태국의 에너지 기업, PTT가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PTT는 한전과 함께 오는 23일에 있을 구속력 없는 예비 입찰에 경쟁관계로 참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딜에는 한국과 태국 외에 일본과 중국 에너지 기업들도 상당한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010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는 연간 9600만 톤의 유연탄을 수입했고 그 해 7100만 톤을 소비했다. 한전은 지난해 석탄 7400만 톤을 수입했고 오는 2020년 8900만 톤을 수입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한전은 호주를 석탄에 관한 전략 자원 확보 국가로 지정하고 최근 활발한 M&A 계획을 실행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Company Watch]'실적 개선' 화승코퍼레이션, 해외 사업 확대 추진
- [우리기술 사업 돋보기]해상풍력 '첫 트랙 레코드' 눈앞
- [큐라클 리바운드 전략]CU06 '원툴 탈피' 맵틱스 콜라보 '사업화 기회' 늘었다
- [i-point]'아나패스 계열' GCT, 오빅과 개발·공급 의향서 합의
- [소형 콘텐츠사 톺아보기]임영웅의 물고기뮤직, 1인 보폭 축소에 수익 급감
- [상호관세 후폭풍]삼성SDI의 로비스트, 홀랜드&나이트 키맨에 쏠린 눈
- [영상]애경그룹 골프장 이어 모태사업 매각까지?
- [영상] 네이버, 컬리 지분 10%가량 인수 검토하는 배경은
- '몸값 올리기' 여기어때, 하드블록 축소로 이익 키웠다
- [VC ERP 생태계 점검]시장 점유율 1위 '로고스시스템' 품은 쿼타랩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