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산업이 사양산업? '한세실업' 보면 성장산업 브랜드없이 의류 OEM·ODM만으로 한 해 1.3조 매출..영업이익률 7.08%
문병선 기자공개 2015-02-23 06:41:00
이 기사는 2015년 02월 16일 14시54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아메리칸이글(AMERICAN EAGLE), 갭(GAP), 홀리스터(HOLLISTER), 유니클로(UNIQLO), 나이키(NIKE), 자라(ZARA) 등 해외 유명 브랜드에 중저가 의류를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또는 제조자디자인생산(ODM) 방식으로 제조해 수출하는 한세실업이 성장을 멈추지 않는다. 한세실업의 실적만 보면 섬유산업은 사양산업이 아니다.16일 한세실업의 작년 연간 실적 자료에 따르면 한세실업은 1조3144억 원의 매출액과 93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7.08%를 기록해 4.83%를 기록했던 직전해에 비해 2%포인트 남짓 좋아졌다.
|
대부분 국내 의류업체가 실적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어 한세실업의 성장세는 눈에 띈다. 2014년초 한세실업이 제시한 연간 매출액은 1조3163억 원이었고 예상 영업이익은 724억 원이었다. 무난히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크게 늘어나 예상을 뛰어 넘는다.
한세실업은 1982년말 니트 수츨전문기업으로 설립된, 토종 섬유 기업이다. 높은 인건비를 피해 일찌감치 해외로 생산기지를 늘렸고 주효했다. 베트남, 인도네시아, 니카라과, 과테말라 등지에서 현지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엔 고부가가치를 안겨주는 R&D 센터 등을 남겨놓았다. 2009년 한세예스24홀딩스와 한세실업, 2개 기업으로 분할을 했다. 최대주주(41.90%)는 지주회사인 한세예스24홀딩스다.
주요 제조 품목은 니트류, 티서츠류, 정장 드레스류, 일반 캐쥬얼류 등이다. 내구성있는 의류나 아웃도어 품목도 일부 제조한다. 워낙 다양한 품목을 제조하다보니 바이어 구성도 다양하다.
갭, 뉴욕앤컴퍼니, DKNY, 랄프로렌, 자라, 카터스, 핑크, 홀리스터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의류 브랜드 업체가 대부분 한세실업의 바이어다. JC페니 등 백화점과 월마트 등 할인점도 한세실업의 바이어다. 단순 하청업체 방식인 OEM 방식의 사업 구조 뿐 아니라 자체적으로 디자인하고 신소재 원단을 개발하는 ODM 방식의 사업구조를 성공적으로 안착시킨 업체로 평가된다. 세계적 의류업체들을 상대로 직접 디자인 한 의류 샘플을 보여주고 바이어를 유치한다.
|
지난해 성장도 신규 바이어를 개척하고 기존 바이어를 상대로 매출을 더 늘린 결과다.
한세실업 관계자는 "실적은 매해 10%씩 꾸준히 성장하는 편이었다"며 "신규 바이어를 개발하고 기존 바이어의 파이를 더 가져오면서 꾸준히 늘려왔다"고 했다. 그는 "국내에서 제조가 더 어려워 섬유산업을 사양산업이라고 하지만 해외에 일찌감치 눈을 돌려 해외를 개척했고 생산을 해외에서 하다보니 인건비도 절감됐다"고 덧붙였다.
한세실업은 여러 보고서를 통해 섬유산업이 사양산업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기도 하다. 한세실업은 "인간 생활의 기본 요소인 의, 식, 주 가운데 하나인 '의'에 해당하는 섬유산업은 사람이 존재하는 한 영원히 수요가 창출되고 소득이 높아지면서 좀 더 고급제품의 수요가 증가한다"며 "신소재 개발 등 단순 의류용 제품의 한계를 뛰어 넘는 첨단기술산업"이라고 강조한다.
업계에서는 의류업계 성장 둔화에도 불구 세아상역, 한솔섬유, 영원무역 등 OEM, ODM 업체의 성장세가 꺾이지 않는 배경으로 높은 기술력과 효율적인 원가관리를 꼽고 있다. 한 관계자는 "고부가가치 기술은 한국에 남기고 인건비가 다량 소요되는 생산기지는 해외에 옮겨 성공할 수 있었다"며 "지속성장이 가능한 산업군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넥슨, '카잔'으로 오랜 숙원 푸나
- [i-point]DS단석, 영남 지역 산불 피해 지원 성금 5000만원 기부
- [Company Watch]율곡, 지정감사 통과 '코스닥 상장 탄력'
- [i-point]엔켐 "美 대중 관세로 반사이익 기대"
- [윤석열 대통령 탄핵]새정부 출범 대응 고심, '무게 실리는' 재계 대관조직
- [석유화학 숨은 강자들]유니드, 오너 3세 이우일 체제 안착…'지분승계'만 남아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오션 지분매입·에어로 유증, 이사회 투명성 지켜졌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회장의 '과감한' 결단, 승계 속도 높였다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중견 철강사 생존전략]'무관세' 종료 美시장…KG스틸USA, 실적유지 가능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