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SK-CJ 빅딜, 갈 길 많아" IPTV 신규 서비스 행사서 입장 밝혀..C&M 인수전 참여 답변 안해
김경태 기자공개 2015-11-06 08:19:03
이 기사는 2015년 11월 05일 12시0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SK와 CJ의 빅딜로 국내 유료방송산업이 요동치고 있는 가운데 LG유플러스가 IPTV 신규서비스를 내놓으며 대응에 나섰다. 행사에서 LG유플러스는 앞으로 SKT의 인수합병(M&A)이 넘어야 할 산이 많다고 지적했다.안성준 LG유플러스 컨버지드홈사업부장(전무)은 SK와 CJ의 빅딜에 대해 "합병이 된다는 전제 하에 어떻게 시장이 재편될 것인지 판단하는 것은 빠르다고 본다"면서 "이번 SKT의 인수는 미래창조과학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의 승인을 받아야 되고 변경허가를 득해야 하는 등 갈 길이 많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케이블은 권역단위이고 IPTV는 전국단위의 허가를 받는데, 이 두 사업을 동일 법인에서 하는 것이 맞는 가 의문을 가지고 있다"면서 "'그럼 대기업이 방송까지 다하네'라고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SKT의 무선시장에서의 절대적 지위가 전이되는 것이 공정한가 의문"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열린 신규서비스 론칭행사에서 C&M 인수전과 관련한 질문이 나왔지만 답변하지 않았다. 앞서 SKT는 2일 오전 이사회를 개최하고 CJ오쇼핑이 보유한 CJ헬로비전 지분 30%를 5000억 원에 인수하기로 결의하자 관련 업계는 이목은 M&A시장에 이미 매물로 나와있는 C&M에 집중됐다.
C&M의 새 주인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유료방송시장이 다시 한번 재편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번 SK와 CJ의 빅딜로 인해 SK그룹군의 유료방송 시장 점유율은 단번에 26%로 뛰어올라 KT그룹군의 29.2%와 대등하게 되지만, 경쟁사가 C&M을 인수하면 시장 판도는 또다시 요동치게 된다.
CJ헬로비전 매각이 발표된 후 시장에선 이번 딜로 인해 C&M 매각에 암운이 드리워지게 됐다는 부정적 전망이 먼저 나왔었다. C&M의 잠재 인수후보로 꼽히던 SK그룹과 CJ그룹을 후보군에서 잃게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가 오히려 C&M 매각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을 내놔 눈길을 끌었다. 이번 딜을 계기로 유료방송시장 재편 움직임이 본격화된 만큼 그간 C&M 인수전을 관망해 온 업체들이 위기의식을 느끼고 C&M 인수를 적극 검토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