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낙스이텍, 턴어라운드 전략은 중국 전기차 업체 공급 계약 협상 중..중·대형 배터리 비중 확대 계획
이명관 기자공개 2016-06-22 08:54:18
이 기사는 2016년 06월 16일 15시5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JKL파트너스와 퀸테사인베스트먼트는 삼성SDI에 편중된 매출 구조의 다양화를 통해 파나이스텍의 수익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기차 시장 확대의 주요 역할을 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 판로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턴어라운드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파낙스이텍은 중국 전기차 베터리 제조사와 공급계약 체결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파낙스이텍은 중국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천진에 현지 법인을 설립한 상태다. 법인명은 천진욱성전자유한공사다. 중국 천진 공장은 지난 2011년 하반기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중국 업체들과 공급 계약 체결을 위해 테스팅(testing)을 진행 중인데, 이달 말께 완료될 예정인 것으로 안다"며 "늦어도 내달 중 계약을 맺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파낙스이텍이 테스트하고 있는 부문은 전기차에 쓰이는 중대형 베터리용 전해액이다. 중국을 중심으로 전기차 시장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규모는 지난 2014년 3564억 원에서 올해 1.7조 원, 오는 2020년에는 5.9조 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에서 전기차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정책이 자리잡고 있다. 중국 정부는 갈숙록 심각해지는 대기오염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친환경 자동차에 다양한 혜택을 주고 있다.
전기차의 경우 구매시 보조금 등 혜택이 크다. 보조금으로 책정된 금액은 최대 6만 위안 수준. 한화로 1000만 원가량 된다. 거기다 세금감면도 혜택도 있는데, 구매세 전액을 면제해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은 중국을 중심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돼 중·대형 배터리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글로벌 전기차 수요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5.6%에 불과 했으나, 2015년 28% 수준으로 확대됐고, 2020년에는 40% 수준까지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파낙스이텍이 중국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 판로를 뚫게 되면 매출액과 수익성 모두 증가할 것이란 예상이다. 현재 파낙스이텍은 삼성SDI를 주 고객사로 두고 있다. 전체 매출에서 90% 가량이 삼성SDI의 몫이다. 이렇다 보니 삼성SDI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 파낙스이텍은 전기차 시장 규모 확대에 발맞춰 소형 배터리에 편중된 제품 포트폴리오도 손볼 예정이다. 현재 파낙스이텍이 생산하는 전해액 중 80%가 소형용이고, 나머지 20%가 중·대형이다. 향후 중·대형 배터리의 비중을 5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윤석열 대통령 탄핵]금융지주, 불확실성 해소로 밸류업 탄력받나
- [윤석열 대통령 탄핵]원화, 단기 강세 흐름…변동성 확대 '촉각'
- [윤석열 대통령 탄핵]동력 잃은 금융 정책…백지화 가능성도
- [여전사경영분석]롯데캐피탈, 총자산 다시 늘었다…수익성도 방어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자산 84% 수도권 쏠림…M&A 구조조정 대상 '속출'
- [캐피탈사 리스크 관리 모니터]신한캐피탈, 한도 관리 세분화…PF 중심 고위험 자산 초점
- 63주년 맞은 캠코, 후임 사장 임명은 안갯속
- [보험사 CSM 점검]교보생명, 신계약 비슷한데 잔액은 증가…보수적 가정 빛났다
- [thebell note]관 출신 사외이사를 향한 시선
- [금융권 AI윤리 현주소]NH농협은행, 리스크 관리 체계 '완비'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