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亞 무역금융 연계 DLS '불티' 무역업자 등에 큰 인기…연간 8%대 목표수익률 제시
김슬기 기자공개 2017-03-20 15:24:16
이 기사는 2017년 03월 15일 16시0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한금융투자가 아시아 무역금융 대출을 기초로 한 파생결합증권(DLS)을 출시했다. 해당 DLS 상품은 이미 투자자 모집이 끝났을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지난해부터 해외 헤지펀드에 간접 투자하는 일종의 펀드연계 DLS인 '글로벌 아이'를 론칭해 구조화 상품 비즈니스를 확대하고 있다.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투자는 지난 2월 '글로벌아이 무역금융(Trade Finance) DLS'를 처음으로 출시했다. 지난달 20일에 1회 차 DLS 설정이 끝났고 이달 초부터 2회 차 DLS 투자자 모집을 진행, 총 300억 원의 투자금을 모았다. 최소가입금액은 5억 원으로 다른 사모상품에 비해 진입장벽이 높은 편이었다.
이 DLS의 만기는 총 2년이며 목표 수익률은 8%대 초반이다. 기초 자산은 아시아 무역금융에 특화된 운용사인 트랜스아시아 프라이빗 캐피탈(TransAsia Private Capital)의 'TransAsia Trade Finance Fund'다.
펀드가 투자하는 대출채권은 기업들이 수출할 재화를 담보로 제공한 뒤 받게 되는 대출이다. 현재 전 세계 무역규모는 연간 20조 달러 규모 이상으로 성장하고 있다. 해당 펀드는 전체 무역금융시장 중 40% 비중을 차지하는 아시아 무역금융 대출에 주로 투자한다.
신한금융투자는 아시아 무역금융 단기대출이 유망한 투자처라고 판단하고 있다. 신한금융 측은 해당 대출의 경우 30일에서 180일 이내의 단기 대출로 듀레이션이 짧을 뿐 아니라 투자적격등급 채권(IG)보다 낮은 부도율(0.039%)을 기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보험이나 보증, 담보행사 등 이중 보호장치가 있어 안정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신한금융투자 PBS본부에서는 레버리지를 일으켜 투자를 극대화했다. 만약 투자자가 5억 원을 가입하면 펀드에는 2배로 진입해 총 10억 원의 익스포저를 가지게 되는 셈이다.
신한금융투자 PB팀장은 "무역업을 하고 있는 일반법인이나 무역업 종사자의 호감도가 높았던 상품"이라며 "헤지펀드에 담긴 대출채권 70%의 만기가 90일 이내이며 보험, 담보 등으로 이중의 안전장치를 해 둬서 대체투자에 관심이 많은 투자자들이 몰렸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샌즈랩, 지식재산 경영인증 획득… IP 포트폴리오 강화 박차
- [i-point]한컴케어링크, 3년 연속 질병관리청 생산 과제 수행기관 선정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주가만으로도 확실한 환원, 미래투자 차이점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vs 라인메탈]안정적 배당 추구 vs 적극적 주주환원에 '알파'도 기대
- 교보생명, 보장성 비중 축소 속 실적·CSM 동시 감소
- BC카드, 신사업 선전에도 본업 매출 축소
- 푸본현대생명, 환율 변동성에 투자부문 적자
- 코리안리, 보험계약마진 증가… 킥스비율도 우상향
- [저축은행 서민금융 리포트]정책자금대출 경쟁 붙은 지주계, 앞서가는 하나저축
- 현대캐피탈, 본업 경쟁력으로 손익 방어…사옥 매각익 반영
김슬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LS증권 ROE 반등…LS네트웍스 캐시카우 될까
- '개미친구' 키움증권의 화려한 변신
- [도우인시스 IPO]1분기 실적 주춤, 수요예측에 영향 줄까
- [발행사분석]공모채 단골 '한진', 시장선 A0급 대접
- [Policy Radar]회사채 캡티브 영업 검사, 한국·신한증권으로 확대
- 포스코퓨처엠 달라진 유증 환경…뚝 떨어진 수수료율
- KIST·M83, 인공지능 기반 3D 객체 식별 기술 '맞손'
- 4년만에 유상증자 포스코퓨처엠, 키움증권 합류 눈길
- [도우인시스 IPO]이사회로 본 '뉴파워프라즈마·삼성벤처' 동행, 유효기간은
- 미래에셋, 8.5%까지 끌어올린 ROE…목표 달성 가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