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bell

전체기사

'순혈주의' 깬 하나저축은행, 첫 외부출신 CEO [금융 人사이드]오화경 전 아주캐피탈 사장, 대표이사 내정…아주저축銀 경영개선 주역

원충희 기자공개 2018-03-06 10:14:26

이 기사는 2018년 03월 06일 08시48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큰 기대를 하지 않았는데 뜻밖에 선임됐습니다."

오화경3
오화경 하나저축은행 대표 내정자(사진)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자신의 선임을 '뜻밖의 일'이라고 표현했다. 하나저축은행은 지난 5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와 이사회를 열어 그를 대표이사 후보로 선정했다. 오 내정자는 이달 말 열릴 주주총회에서 승인 받으면 2012년 2월 하나저축은행 출범 이후 첫 외부출신 CEO가 된다.

오 내정자의 낙점은 다소 의외로 여겨질 수 있다. 그럴만한 것이 은행지주 계열 저축은행은 계열은행 출신 임원들이 최고경영자(CEO)로 내려오는 게 관행이다. 조병제, 박재호, 정수진, 황종섭 등 하나저축은행 전·현직 CEO들은 모두 하나은행 출신이다.

금융지주사 한 관계자는 "은행지주그룹은 순혈주의 경향이 있어 비은행 계열사에도 은행출신을 내려 보내는 일이 다반사"라고 말했다. 실제로 KB·신한·NH저축은행 등 타 은행지주 계열 저축은행 대표들은 모두 계열은행 출신이다.

이와 달리 HSBC은행 개인금융부 본부장, 기업금융부 전무, 아주저축은행 대표, 아주캐피탈 대표 등을 거친 오 내정자는 하나금융과 연이 없는 인물이다. 이번 하나저축은행 CEO 후보리스트에도 서치펌(헤드헌터)의 추천으로 들어갔다. 황종섭 하나저축은행 현 대표 역시 후보리스트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외부출신이 현직 CEO와 경쟁해서 대표이사로 낙점될 만큼 인선에 공정성이 있다는 의미"라며 "오 내정자는 외국계은행과 저축은행에서 기업금융과 소비자금융을 두루 거쳐 전문성을 쌓은 것이 큰 점수를 받았다는 얘기가 있다"고 전했다.

하나금융그룹 안팎에서는 오화경 대표 내정자의 아주저축은행 CEO 경력을 눈여겨봤다는 전언이다. 아주저축은행은 지난 2012년 2월 아주캐피탈이 인수한 옛 하나로저축은행이 전신이다. 경영부실 탓에 2010년 4월 저축은행중앙회로 소유권이 넘어갔다가 아주그룹으로 편입됐다. 당시 아주캐피탈 부사장이던 오 내정자는 아주저축은행 첫 대표이사로 부임하면서 경영개선을 진두지휘했다.

그는 부실자산을 정리하고 기업금융에 쏠린 대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수익성 제고를 위한 개인신용대출, 중수익으로 안전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리테일(소매) 담보대출, 저수익이지만 리스크가 낮은 중소기업대출의 비중을 각각 30%, 30%, 40%로 재구성했다. 일명 3-3-4룰이다. 덕분에 아주저축은행은 2015년 1월부터 지금까지 흑자행진을 지속할 수 있게 됐다.

그는 저축은행의 수수료 비즈니스(Fee-Biz) 강화를 적극 추진한 CEO로도 유명하다. 아주저축은행 대표이사로 재임할 당시 예대마진에 의존하는 경영환경을 타개하기 위해 비이자수익 확대를 추구했다. 임직원들의 방카슈랑스 자격 취득을 비롯해 AFPK(개인재무설계사), CFP(국제공인재무설계사) 등 자산관리, 재무설계에 적합한 자격증 취득을 장려했다. 이에 따라 여신전문직과 준법·감사업무를 제외한 영업인력의 90% 이상이 방카슈랑스 판매자격 취득교육을 수료했다.

아주저축은행 관계자는 "오화경 대표 재임시절 영업점 기능을 자산관리 업무가 가능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려 했다"며 "고객과의 접점을 넓혀 저변을 확대하고 교차판매(X-sell)를 시도하면서 궁극적으로는 자산관리 특화 영업점을 추구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점포의 주 업무였던 입·출금은 현재 인터넷 등 비대면채널로 빠르게 넘어가고 있어 영업점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결국 자산관리 중심으로 방향을 전환해야 하는데 오 대표는 선제적으로 그런 방향을 추진했던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더벨 서비스 문의

02-724-4102

유료 서비스 안내
주)더벨 주소서울시 종로구 청계천로 41 영풍빌딩 4층, 5층, 6층대표/발행인성화용 편집인김용관 등록번호서울아00483
등록년월일2007.12.27 / 제호 : 더벨(thebell) 발행년월일2007.12.30청소년보호관리책임자황철
문의TEL : 02-724-4100 / FAX : 02-724-4109서비스 문의 및 PC 초기화TEL : 02-724-4102기술 및 장애문의TEL : 02-724-4159

더벨의 모든 기사(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 전재 및 복사와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thebell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