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사 체제' 효성 5개사, 수익성·주가 높이기 '분주' 분할 전보다 시총 1조 넘게 감소···유가 악재로 수익성도 둔화
박기수 기자공개 2018-07-24 08:19:47
이 기사는 2018년 07월 20일 16시3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난 6월 지주사 전환을 완료한 ㈜효성이 주가 회복 동력을 찾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효성과 사업회사인 효성티앤씨㈜, 효성첨단소재㈜, 효성중공업㈜, 효성화학㈜ 등 분할된 5개사가 코스피 시장에 재상장됐지만 분할 전 효성에 비해 시가총액이 1조원 이상 하락했다. 여기에 잠정적으로 집계한 계열사별 올해 상반기 수익성이 ㈜효성 시절 각 사업 부문 별 수익성보다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20일 업계에 따르면 이날 종가 기준 ㈜효성을 비롯한 4개 계열사의 시가총액 합계는 3조 3290억원(△㈜효성 6201억원 △효성첨단소재㈜ 7302억원 △효성화학㈜ 5200억원 △효성티앤씨㈜ 9002억원 △효성중공업㈜ 558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주사 전환 전 ㈜효성의 시가총액이 4조 7000억원에 달했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시가총액이 1조 4000억원 가량 감소한 셈이다.
|
업계 관계자는 "지주사 전환 이후 통상적으로 시장에서 주가가 반짝 상승해 많이 팔려고 하기에 주가가 내려가는 경향이 있다"며 "다만 예상했던 것보다 주가가 더 많이 내려가 정상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여기에 유가 상승이라는 악재가 겹쳐 계열사별 상반기 수익성도 지난해 상반기 ㈜효성의 각 사업 부문별 상반기 수익성보다 하락했다.
지난 6월 1일 효성은 지주회사인 ㈜효성과 사업회사인 효성티앤씨㈜, 효성첨단소재㈜, 효성중공업㈜, 효성화학㈜ 등 5개사로 나누는 사업 분할을 단행했다. 기존 복합기업 형태로서 섬유·산업자재·화학·중공업·건설·무역·금융·기타부문으로 사업 구조를 갖추고 있었던 효성은 지주사와 계열사들로 부문별 이합집산을 완료했다.
|
효성티앤씨㈜는 기존 ㈜효성의 섬유와 무역부문이 합쳐졌다. 주요 제품은 스판덱스로 글로벌 시장점유율 30%를 차지하고 있다. 연간 생산량은 23만톤이다. 베트남과 중국, 터키의 연결자회사들이 티앤씨의 자회사로 편입됐다.
투자자 편의를 위해 지난해 상반기와 올해 1~5월 실적을 분할 전 섬유·무역 부문 실적을 효성티앤씨의 실적으로 반영했을 때, 효성티앤씨의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 5978억원, 1156억원이다. 지난해 영업이익 1390억원보다 16.8% 하락했다. 영업이익률도 6.28%에서 4.45%로 낮아졌다.
효성첨단소재㈜는 산업자재부문을 포함한다. 주요 제품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 45%를 차지하고 있는 타이어코드다. 효성은 스판덱스와 타이어코드부문의 글로벌 1위 생산업체다. 올해 4월 베트남 내 자회사에서 1만4400톤의 공장 증설을 완료한 가운데 올해 말까지 같은 규모의 추가 공장 증설이 이뤄진다.
효성티앤씨의 경우와 같은 원리로 집계했을 때 효성첨단소재 역시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률이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하락했다.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 4765억원, 9185억원이었던 효성첨단소재의 지난해 실적은 매출과 영업이익 각각 1조 4532억원, 1299억원이었다. 영업이익률은 8.94%에서 6.22%로 하락했다.
주요 제품으로 PP를 생산하던 화학부문은 그대로 효성화학㈜으로 모습이 바뀌었다. 중공업과 건설부문은 효성중공업㈜가, 금융과 기타 부문 등 지주사업 및 연구개발은 ㈜효성(효성홀딩스)가 맡는다.
효성화학과 효성중공업의 영업이익률은 올해 상반기 각각 5.85%, 4.32%로 지난해 상반기 영업이익률 7.42%, 6.42%보다 각각 1.57%포인트, 2.1%포인트 하락했다. 효성화학의 올해 상반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7762억원, 454억원이다. 효성중공업은 상반기 매출 1조 6445억원, 영업이익 710억원을 기록했다.
|
수익성 하락의 가장 큰 원인은 주요 원자재인 유가 상승으로 분석된다. 유가가 오르는 속도와 원료 상승분이 판가에 반영되는 시차가 존재하기에 제품별 스프레드가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상반기 두바이유의 평균 배럴 당 단가는 68달러로 지난해 상반기 51.47달러보다 약 32.1% 상승했다.
효성티앤씨의 스판덱스, 타이어보강제(타이어코드 등)의 효성첨단소재, PP의 효성화학을 비롯해 효성중공업의 사업 부문의 실적은 모두 유가에 영향을 받는다. PP의 경우 프로판가스를 원료로 하지만 프로판가스 역시 유가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지주사 전환 이후 계열사별로 수익성이 하락했다"며 "주요인은 지난해 상반기에 크게 뛴 유가"라고 설명했다.
㈜효성 관계자는 "유가 상승 등 외부 환경의 악화로 수익성이 일부 저하된 상황"이라며 "주가와 실적 회복을 위해 다각도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박기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오션, 그룹 상장사 중 매출 성장률 '1위'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에어로, TSR 압도적 선두…솔루션 주주는 '근심'
- [Financial Index/한화그룹]한화그룹, 방산·조선 빼면 전부 PBR 0.5배 미만
- [Financial Index/한화그룹]방산·태양광 희비 '극명'…솔루션 ROE 악화 심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잉여현금흐름 '20조' 육박…계열사 대부분 흑자
- [캐시플로 모니터]한화 3형제 가족회사 한화에너지, 가용 현금만 5000억
- [조선업 리포트]한화오션, 든든한 자금줄 산은 덕 현금흐름 '이상무'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순현금만 93조…차입 부담 버거운 호텔신라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전자, 영업익 본 궤도로…수익성 독보적 1위 삼바
- [Financial Index/삼성그룹]삼성重 매출성장 1위, 삼바·삼전도 반등…고민 깊은 S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