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트24, 수익구조 '투트랙'으로 가나 베인앤컴퍼니 컨설팅 의뢰…미니스톱 인수, 로열티방식 선회 효과
박상희 기자공개 2018-10-29 13:23:00
이 기사는 2018년 10월 26일 15:58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편의점 미니스톱 인수전에 뛰어든 이마트24의 수익구조 변화에 관심이 쏠린다. 미니스톱을 인수하면 가맹점주로부터 매출 규모에 연동되는 가맹수수료(로열티)를 받고 있는 점포 2500개를 새로 오픈한 효과를 낳는다. 현재 고정 월회비 방식으로는 수익성 개선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마트24로서는 놓칠수 없는 기회다.이마트24는 2016년 말 컨설팅회사인 베인앤컴퍼니에 경영 전략을 의뢰했다. 편의점 사업의 수익구조 등이 핵심 사안이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마트24 관계자는 "월회비 방식으로 점포를 계속 늘려 나가면서 흑자 전환이 가능한지 등을 물어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내 편의점은 본사가 가맹자와 편의점 운영에 관한 가맹계약을 맺는 프랜차이즈 방식이 보편적이다. 본사가 가맹점에게 영업권, 운영 노하우 및 경영기술 등을 제공한다. 상품개발 공급 품질관리 판촉광고 활동 등도 담당한다. 가맹점은 상품판매를 전담하면서 편의점 본사에 일정 수수료를 지급하는 구조다.
BGF리테일(CU)·GS리테일(GS25)·코리아세븐(세븐일레븐) 등 편의점업계 '빅3'는 가맹점주와 프랜차이즈 계약을 맺고 매출이익의 평균 35%를 로열티로 받고 있다. 한국미니스톱(미니스톱)도 마찬가지다. 이에 반해 이마트24는 매출이익 규모에 상관 없이 고정적인 월회비를 받는다.
이는 기존 편의점 업계 사업 전략 및 수익구조와는 이질되는 것이어서 주목을 받았다. 회비가 매출에 연동되지 않기 때문에 점포 수익이 증가해도 프랜차이즈 본사와 이익을 공유하지 않는다. 점주에게는 유리하지만, 본사인 이마트24의 수익성 증가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방식이다. 베인앤컴퍼니에서도 월정액 방식으로는 흑자전환이 어려울 수 있다는 대답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마트24는 컨설팅 결과와 상관 없이 월회비 방식을 밀어부쳤다. 이마트에서 이마트24를 인수하면서부터 월정액 방식을 공표했기 때문에 중간에 계약 방식을 바꾸기에는 위험부담이 컸다. 후발주자이기 때문에 빠른 점포 확대를 위해서는 기존 업계와 차별화되는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도 있었다.
이마트24의 예상대로 '무(無) 로열티' 정책은 점포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이마트24는 최근 점포 수가 3400개를 돌파했다. 4월 시작된 로열티 방식으로 계약을 맺은 곳은 30여 곳에 불과하다. 이마트24와 계약을 원하는 점주가 월회비 방식을 더 선호한다는 방증이다.
이마트24 관계자는 "경쟁사와 가맹회비 계약을 맺었던 점주들은 월회비 방식을 생소해하는 측면이 있어 3월 말 로열티 방식으로 계약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놨다"면서 "실제로 로열티 계약을 맺는 가맹점주는 많지 않다"고 말했다.
월회비 방식은 점포 수를 늘리는데 도움이 되지만 수익성 개선 측면에서는 가맹회비를 받는 로열티 방식에 비해 불리하다. 이마트24가 미니스톱 인수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밖에 없는 이유다. 인수한 미니스톱 점포를 대상으로는 가맹회비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니스톱을 인수하면 가맹회비를 받을 수 있는 점포 수가 엄청 늘어난다"면서 "로열티 방식으로 자연스럽게 수익구조 변화를 꾀할 수 있어 흑자전환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모태 2021 1차 정시출자]코로나19에 '핫'해진 비대면 분야, 격전지 예고
- [모태 2021 1차 정시출자]소부장을 잡아라…전통 강호 vs 신생 VC '격돌'
- 한국투자파트너스, 비비씨 자금 회수···IRR 23.4% 확정
- "대주주적격성 통과 어렵네" JT저축은행 매각 지연
- 키움PE 투자후 첫 엑시트 성과 "눈에띄네"
- 금호리조트 인수 희망가, 괴리 큰 이유는
- 우레탄 전문업체 디유티코리아, 투자유치 추진
- '스토리' 앞세운 네이버, 틱톡·스포티파이도 물리쳤다
- 현대·기아차 1차 벤더 신광정공 인수 '3파전'
- 주어진 시간 1년, 신라젠은 '회생'할까
박상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 워치]최정우의 '혁신'은 전임자와 어떻게 다를까
- [CFO 워치]포스코 경영혁신실, 구조조정 저승사자→이노베이터 '미션'
- [CFO 워치]전중선 포스코 부사장, 르네상스형 CFO...그룹 '혁신' 임무
- [CFO 워치]재무 힘실은 포스코 전략기획본부, '컨트롤타워' 역할 강화
- [CFO 워치]포스코 최정우호 2기, 재무라인 수장 빼고 '싹' 바꿨다
- 한온시스템의 '용두사미' 자사주 매입...결과는 '일거양득'
- 포스코기술투자 CEO, 포스코 재무통 연이어 낙점 '배경은'
- [CFO 워치]나란히 승진한 ㈜코오롱 재무라인, 올해 미션은
- [2021 승부수]김승연 회장의 '한화다운 길'이란
- 현대오일뱅크, '탄소중립' 리딩컴퍼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