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쪼그라드는 외형…시평 유지 '가시밭길' [건설리포트]2008년 이후 1위 회복 못해, 수익성 악화·경쟁사 선전 '부담'
김경태 기자공개 2018-11-02 08:54:46
이 기사는 2018년 11월 01일 14시4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대우건설이 올해 부진한 실적을 거두면서 향후 시공능력평가에서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매출 감소와 매출순이익률 악화로 공사실적평가액과 경영평가액에 악영향이 예상되기 때문이다.대우건설의 외형이 갈수록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고, 경쟁사들이 선전하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 순위 반등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008년 1위 후 순위 하락, 3~4위가 한계
대우건설은 2008년에 삼성물산과 현대건설을 제치고 토건 시평 1위를 차지했다. 공사실적평가액과 기술능력평가액, 신인도평가액에서는 각각 3위, 2위, 3위에 머물렀지만 경영평가액에서 3조9914억원을 기록해 경쟁사들을 따돌리고 시평 1위에 오를 수 있었다.
하지만 대우건설의 영광은 그뿐이었다. 당시 대우건설은 금호아시아나그룹 체제에 있었는데 2009년부터 경영 악화가 시작됐기 때문이다. 2010년에는 별도 당기순손실이 7490억원에 달했다. 이듬해 산업은행으로 주인이 바뀌었다. 3년 연속 추락하면서 2011년에 6위로 최근 10년 내 최저 순위를 기록했다.
그 후 대우건설은 단 한 번도 정상 자리를 밟아보지 못했다. 3위에 올라 순위 상승을 기대하다가도 다시 떨어지기를 반복했다. 작년에도 3위에 올랐지만, 올해 경쟁사 대림산업에게 역전을 허용하면서 4위로 밀려났다.
|
대우건설이 올해 매출 역성장을 기록하면서 향후 시평에서 고전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토건 시평액 중 일반적으로 가장 중요한 항목은 공사실적평가액이다. 대우건설의 경우도 올해 시평액 중 공사실적평가액이 전체의 53%로 비중이 가장 높았다. 공사실적평가액은 '최근 3년간 연차별 가중평균 공사실적×70%'로 집계돼 매출이 줄어들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대우건설의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누적 매출은 8조3452억원으로 5.7% 줄었다. 2010년 후 첫 역성장이다. 증권사마다 조금씩 다르게 전망하고 있기는 하지만, 올해나 내년부터 연간 매출이 10조원대로 급감할 것으로 보고 있다. 2020년에 10조원이 깨지고 9조원대로 주저앉는다는 분석도 있다.
◇순이익률 악화, 경쟁사 선전 '부담'
수익성이 악화된 점도 시평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우건설의 올해 3분기 연결 누적 기준 매출순이익률은 3.2%로 전년 동기보다 1.5%포인트 하락했다. 현재 3분기 별도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대우건설의 연결 실적과 규모가 거의 비슷하다는 점과 올해 상반기 성과를 고려하면 별도 기준으로도 하락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상반기 별도 순이익률은 3.1%로 전년 동기보다 4.6%포인트 하락했다.
매출순이익률은 시평 세부항목 중 경영평가액을 집계하는데 활용되는 지표다. 앞으로도 비슷한 기조가 이어진다면 매출 축소로 인한 공사실적평가액 감소와 맞물려 시평액 증가에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경쟁사가 선전하고 있는 점도 부담이다. 시평 순위는 상대적인 평가이기 때문이다. 올해 대우건설에 이어 5위에 머물렀던 GS건설은 매출과 영업이익 증가를 이뤘다. 당기순이익은 흑자 전환해 마이너스(-)였던 매출순이익율이 정상화 궤도에 올라섰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시데카파트너스, '기사회생' 부릉 100억 투자 추진
- [코스닥 상장사 매물 분석]'분쟁 중 매각' 와이오엠, 이사회 진입 불발시 안전판 마련
- '3호 펀드 조성' VIG얼터너티브크레딧, 2300억 1차 클로징
- '회생 M&A' 신한정밀공업, 주관사로 삼일PwC 낙점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지급 보증' 테스코, 임대료 미지급 점포 구세주될까
- IMM인베, 1.5조 목표 '10호 인프라펀드' 조성 본격화
- [Company Watch]이랜드월드 패션부문, 최대 실적에 재무구조 개선 '덤'
- [코스닥 어닝 서프라이즈]에프엔에스테크, OMM 정밀세정장비 공급 '일등공신'
- [코스닥 주총 돋보기]다산솔루에타, 새 대표에 '신사업 전문가' 선임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이마트 중심 '오프라인 유통채널' 부활 총력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
- [thebell interview]김종윤 비버웍스 대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경쟁력 확고"
- 비버웍스, 시장 격변 넘을 카드 '토털솔루션·인하우스'
- 삼성전자, DX부문 공백 최소화 관건
- 삼성 준감위, 원숙연 위원 연임 '체제 안정' 추구
- '영원한 1등' 꿈꾼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 별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