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인수금융 독주체제 강화하겠다" [thebell interview] 김정록 우리은행 IB그룹 상무
손현지 기자공개 2019-04-05 10:50:25
이 기사는 2019년 04월 03일 08시3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지주사 전환으로 터닝포인트를 맞은 만큼 그룹간 협업체계를 강화해 인수금융 독주체제를 이어가겠다."갓 출범한 우리금융지주가 올해 인수합병(M&A) 인수금융(Loan) 강자 지위를 굳건히 한다. 비이자수익원 확보 차원에서 투자금융(IB)부문에 무게를 둔 가운데 우리은행이 두각을 드러냈던 리파이낸싱(자금재조달) 주선에 특히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우리은행은 작년에도 총 14건의 M&A 인수금융을 주선하며 우수한 성과를 달성했다.
|
김 상무는 그동안 영업 전선에서 IB 업무를 간접적으로 경험해온 인물이다. 특히 지분투자 등 출자 관련해서 노하우가 많다. 지난 1988년 우리은행에 입한한 뒤 △재무기획부 부부장 △서대문영업본부 부부장 △서울대입구역지점 지점장 △성균관대학교지점 지점장 △선릉금융센터 금융센터장 △종로영업본부 본부장 △송파영업본부 본부장 등을 역임했다. 그의 풍부한 영업점 현장경험은 올해 초 출범한 우리금융지주의 IB그룹을 이끌기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됐다.
김 상무는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 겸 우리은행장 또한 그룹 IB에 거는 기대가 크다"며 "작년 은행 IB에서 2200억원 정도 순이익을 냈는데, 올해 그룹간 협업체제를 강화해 작년 보다 많은 수익을 창출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말했다.
우리은행은 그동안 M&A 인수금융 시장에서 독주체제를 이어왔다. 지난해 머니투데이 더벨이 집계한 연간 인수금융 리그테이블에서는 은행업권 2위(점유율 8.6%)를 차지했다. 상반기에는 점유율 12.0%를 기록하며 은행업권 1위를 거머쥐기도 했다. 특히 리파이낸싱 부문에서 8450억원의 실적을 쌓으며 은행권 순위 1위의 발판으로 삼았다.
김 상무는 "지난 2016년에는 1조원이 넘는 ING생명 리파이낸싱을 공동주선을 시작으로 라파즈한라시멘트 M&A에서도 단독 주선권을 따낸 바 있다"며 "작년에도 최대주주의 한국투자증권과 키움자산운용, 미래에셋운용 등과의 돈독한 관계를 기반으로 두산공작기계, ING생명 등 대형 리파이낸싱 딜에서 두각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올해 인수금융 1위 청사진을 목표로 IB그룹 전반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지난해 말 인력규모도 기존 60명~70명 수준에서 80명 가까이 늘렸다. 특히 M&A팀을 M&A1팀과 M&A2팀 두개로 분리개편해 힘을 실었다. 중견·중소 사모펀드(PEF) 관련 투자 등 수익다변화를 꾀하기 위해서다.
이번 조직개편에서 눈에 띄는 건 시중은행 최초로 혁신성장금융팀을 신설했다는 점이다. 김 상무는 "혁신성장금융팀은 손 행장의 경영 철학이 담긴 결과물"이라며 "올해 20~25개 벤처기업들을 대상으로 약 200억원 직접 투자, 펀드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통적인 IB업무 영역을 벗어나 부동산 등 대체투자에 대한 비중이 커진데 따라 부동산투자금융팀을 설치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스(PF), 부동산담보부 신디케이션론, 부동산 관련 에쿼티 투자 등 업무 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투자역량을 다변화하기 위해 해외 진출도 염두에 두고 있다. 새로 마련된 글로벌인프라팀은 글로벌 IB데스크 딜 소싱 지원을 강화하고, 해외인프라나 발전·에너지 사업 신디케이션 주선 기회를 모색하는 임무를 띈다. 현재 뉴욕, 런던, 시드니, 싱가폴, 베트남, 인도 등 총 6곳에서 IB데스크를 운영 중인데 시중은행 중에 가장 많다.
김 상무는 "상반기 중으로 독일 프랑크푸르트와 두바이에 IB데스크를 설치할 예정"이라며 "지역별 특색을 감안해 현재 10%인 해외부문 순이익 비중을 30%까지 높일 것"이라고 포부를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국떡, 기업 복지 서비스 '국떡 라면바' 신규 론칭
- 세라젬, 안전보건 국제 표준 인증 'ISO 45001' 획득
- [i-point]TKENS, 전장 램프 제습 모듈 글로벌 공급사 확대
- [캐시플로 모니터]현금흐름 흑자 무신사, 순이익+운전자본 최적화 효과
- [VC 투자기업]자비스앤빌런즈, AI 개인화 서비스 강화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점포 매각대금 수령 '난항', 채무 상환 차질로 이어질까
- [캐시플로 모니터]더본코리아, 실적호조에도 순현금유출 까닭은
- [롯데칠성 해외사업 점검]바틀링·직수출 투트랙 전략…종착점은 '롯데 브랜드'
- [정용진 회장 취임 1년]'CJ·알리바바' 신세계 이커머스 살릴 동아줄 될까
- [선진뷰티사이언스는 지금]R&D로 쌓은 수출 경쟁력,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 안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