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상환 축소, ELS 발행량 '숨고르기' [ELS Monthly]전월대비 18% 발행 감소, 쿠폰금리 '하락'…최대발행사 한국증권
최필우 기자공개 2019-07-03 08:01:58
이 기사는 2019년 07월 01일 10시5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주가연계증권(ELS) 발행량이 두달 연속 하락했다. 지난해 지수 하락으로 조기상환이 밀렸던 물량이 대부분 상환에 성공하면서 상환액이 줄었고 발행량도 숨고르기에 들어갔다.1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ELS 발행량은 7조9659억원이다. 전월 대비 1조7442억원(18%) 감소했다. 발행잔액은 76조1022억원으로 1조359억원(1.4%) 늘었다.
|
ELS 발행이 줄고 있는 것은 상환 규모가 줄어든 여파다. 월별 상환액은 지난 4월 10조9956억원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지난 5월(8조5787억원)과 지난달(7조2683억원) 두달 연속으로 줄었다. 상환 금액이 줄다보니 신규 발행도 자연스럽게 감소했다.
지난 3월부터 급증했던 상환액이 제자리를 찾아 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해 코스피200, 홍콩H지수(HSCEI) 급락 여파로 ELS 조기상환이 대거 지연됐으나 이 물량은 최근들어 대부분 상환된 것으로 파악된다. 올해 주요 기초자산 가격이 발행 6개월차, 12개월차, 18개월차를 맞는 ELS의 상환 배리어를 충족시키는 데 무리가 없는 수준을 유지한 덕이다.
여기에 쿠폰 금리가 전년 대비 절반 수준까지 하락하면서 신규 발행이 증가할 만한 요인이 줄었다. 최근 시중 지수형 ELS 쿠폰 금리는 4~5% 수준이다. 8~9%까지 올랐던 전년과 비교하면 투자 매력도가 떨어진다. 전년 대비 증시 변동성이 축소된 영향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작년 한해 동안 조기상환이 밀렸던 물량이 지난 2분기 잇따라 상환되면서 신규 발행도 증가했던 것"이라며 "여전히 재투자를 선택하는 투자자들이 있지만 조기상환 규모가 줄면서 신규 발행도 감소했다"고 말했다.
지난달 가장 큰 규모로 ELS를 발행한 증권사는 한국투자증권이었다. 한국투자증권은 1조4075억원을 발행했다. 이어 KB증권(1조3992억원), 삼성증권(1조3748억원), 미래에셋대우(1조1493억원) 순이었다.
지수별 발행규모를 보면 HSCEI 활용이 가장 많았다. HSCEI 기초 ELS는 5조935억원이었다. 전월 대비 2조270억원(28.5%) 줄었음에도 다른 지수를 앞섰다. 이어 유로스톡스50(4조8155억원), S&P500(4조7349억원), 니케이225(2조8525억원), 코스피200(2조459억원) 순으로 활용이 많았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신테카바이오 "동물실험 단계적 폐지 수혜 기대"
- [변곡점 맞은 해운업]'퀀텀점프' 현대LNG해운, 선대 확장효과 '톡톡'
- [중간지주 배당수익 분석]HD한국조선해양 수익원천 자회사 '금융→조선' 이동
- [상호관세 후폭풍]트럼프의 '90일 유예·애플 지목', 삼성전자 득실은
- '반년 장고' 거래소, 제노스코 상장심위 개최 '미승인' 가닥
- [시큐리티 컴퍼니 리포트]수산아이앤티, 무차입 경영 비결 '16년 흑자'
- AIA생명, 실적-자본적정성 '양날의 검' 된 환율 변동
- [지방 저축은행은 지금]IBK저축, 영업권·총량 규제에 발목 잡힌 '서민금융'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정상혁 행장 역점 사업 'RM One Team' 평가항목 신설
- [금융사 KPI 점검/신한은행]신규 유치 고객 '주거래 확대' 방점 찍었다
- [상호관세 후폭풍]RWA 조이는 금융지주, 비은행 반등 멀어지나
- [상호관세 후폭풍]금융지주, '환율 급등' 밸류업 프로그램 영향은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신설' 내부통제위, 감사위와 위원 중첩 못피했다
- [금융지주 이사회 시스템 점검]'각양각색' 의장 선임 키워드, '여성·연장자·선임자' 중시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 '엇갈린 희비' 출자 전략 영향은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우리은행, 해외 법인장 인사 '성과주의 도입' 효과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신한카자흐, 2년 연속 '퀀텀점프' 성장 지속가능성 입증
- [thebell note]김기홍 JB금융 회장 '연봉킹 등극' 함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