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종규 코리안리 사장, 주가하락기 지분 매입 배경은 지난해 3월 이후 50만주 매집…책임경영·오너 일가 지분율↑ '두 마리 토끼'
최은수 기자공개 2019-08-13 08:39:43
이 기사는 2019년 08월 08일 09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원종규 코리안리재보험 대표이사 사장(사진)이 최근 주가 하락기를 틈타 지분율을 높였다. 책임 경영의 일환이라는 설명과 함께 오너십을 강화하고 의결권 확대를 위한 지분을 저가에 매입할 적기라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
코리안리의 최근 주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1년 만에 최저 수준인 7500원대를 기록 중이다. 지난 2016년 말 기준 1만1400원에 달했는데 2017년 초 잠시 부침을 반복하다 줄곧 하락세다.
원 사장이 12만주에 가까운 물량을 장내매수했던 지난 7월 26일에도 코리안리는 52주 기준 신저가(7980원)를 경신했었다. 코리안리는 올 상반기 역대 최대치의 실적을 거둘 것으로 전망되나 주가는 줄곧 내리막이다.
◇3연임 후 50만주 매집...지분율 꾸준히 확대
CEO가 주가 방어를 위해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은 대표적인 책임경영 사례다. 원 사장은 약 30억원의 사재를 출연해 지분을 사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코리안리 지분을 보유해 받은 배당과 지난해 연봉(약 8억5000만원) 등을 고려해도 적지 않은 규모다.
원 사장은 1959년생으로 고 원혁희 명예회장의 5남매(종인·종익·영·종규·계영) 중 넷째다. 원 사장은 1986년 코리안리재보험에 해상부 사원으로 입사했다. 지난 2011년 전무로 승진하기까지 △뉴욕사무소장 △ 경리부장 △ 해상담당 상무대우 △ 경리·해상보험손사 상무를 두루 거쳤다. 원 사장은 전무로 재직하며 리스크관리를 총괄하는 등 코리안리 업무 전반을 파악했고 2013년 6월 입사 28년 만에 CEO에 올랐다. 지난해 3월 3연임에 성공했다.
앞서 원 사장은 지난 2018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8만8000여주를 장내매수해 지분율을 기존 3.50%에서 3.57%로 높였었다. 원 사장이 CEO 3연임에 성공한 뒤 얼마 지나지 않은 때다. 원 사장은 당시 지분 매입을 통해 모친인 장인순 여사(원 명예회장 배우자, 지분율 5.72%)에 이은 지분율을 확보했다. 지난 2002년 장남 원종익 코리안리 고문이 지분율에서 앞선 지 약 16년 만이다. 원 사장이 2018년 3연임 성공 후 매집한 주식은 50만주에 달한다.
◇오너일가 22.90%보유…모친 이어 지분율 최대
2019년 8월 기준 최대주주인 장 여사와 원 사장을 제외한 코리안리 주요주주는 장남 원종익 고문(3.52%), 차남 원영(3.48%), 장녀 원종인(0.64%), 차녀 원계영(0.52%), 보험업계 원로 이필규 이사(2.25%) 순으로 구성됐다. 이필규 이사는 코리안리 오너일가와 외척 관계인데 원 명예회장이 코리안리 지분을 처음 인수할 때부터 동행하는 등 친분이 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필규 이사를 포함한 코리안리 오너 일가의 지분율 총합은 22.90%다. 타 오너 보험사와 달리 지분이 오너 개인에 집중돼 있지 않은 점이 특기할 만하다. 교보생명은 2019년 1분기 기준 신창재 회장을 포함한 특수관계인의 지분율은 36.91%로 이중 신 회장이 33.78%를 보유 중이다. 현대해상은 정몽윤 회장이 21.90%의 지분을 갖고 있다.
코리안리 주요주주의 이같은 지분 구조는 고 원 명예회장이 생전 소유와 경영의 분리를 추구한 경영철학 때문으로 분석된다. 더불어 주주명부에 등록된 원 명예회장 슬하 5남매의 사이가 돈독해 경영권을 놓고 분쟁을 벌이지 않은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에선 원 회장이 3연임을 즈음해 지분 매입을 시작했고 이달 소폭에 그쳤던 지분율 격차를 크게 벌린 점이 상징하는 바에 주목한다.
|
보험업계 고위관계자는 "자칫 회사 안팎에서 지분율 차이를 두고 발생할 수 있는 불필요한 잡음을 없애면서 오너경영인으로서의 확고한 지위를 재확인하고자 하는 측면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기관투자가 중에서는 국민연금이 6월28일 기준 지분율이 10.32%로 가장 높다. 국민연금은 올 1분기 말 기준 1131만여주를 보유하고 있었는데 2분기 들어 약 110만 주를 추가로 매입했다. 이 기간 지분율은 0.92% 상승했다. 신영증권은 약 593만주(4.92%)를 보유한 3대 주주다.
코리안리와 신영증권의 관계는 2007년 만들어졌다. 신영자산운용의 모회사 신영증권과 코리안리가 서로의 백기사를 자청했다. 원주 원씨 종친이라는 인맥에 오너 일가의 지분율이 높지 않은 지배구조의 취약함을 보완하기로 한 의도가 덧붙은 것으로 분석된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최은수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FO Change]고정석 SK가스 신재생에너지실장, 케미칼 재무총괄로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전문성 기업경영·재무 집중… 한층 두터운 BSM 필요
- [2025 대한민국 사외이사 인식 조사]후보는 누가 '천거'할까 사추위·경영진 막강한 입김
- [ROE 분석]농협금융, 반등했지만 '여전히 은행계지주 바닥권'
- [이슈 & 보드]롯데지주, 바이오로직스 또 베팅 '관세폭풍 두렵잖다'
- [Board Change]'전무 승진' 김성완 애경케미칼 CFO, 사내이사 연임
- 롯데의 '억울함'을 풀어줄 바이오로직스
- [ROE 분석]하나금융, 창사 최대 수익 성과...향후 계획은
- [ROE 분석]우리금융, '팬데믹 후 유일한 두자릿수'…2024년도 '톱'
- [ROE 분석]KB금융, 4대 지주 유일 '3년 연속 상승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