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에스네트웍스, 양지사 가산동부지 '지산' 개발 검토 부동산 및 인허가권 포함해 1700억에 인수, 내달 말 거래완료 예정
김경태 기자공개 2019-11-14 11:28:24
이 기사는 2019년 11월 13일 17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부동산디벨로퍼 디에스네트웍스가 양지사가 20년 넘게 보유했던 서울 가산동 부지를 매입했다. 양지사는 개발을 추진하던 중 재무구조 개선을 이유로 디에스네트웍스에 자산을 매각하게 됐다. 디에스네트웍스는 양지사의 개발 계획처럼 해당 부지를 지식산업센터로 탈바꿈시키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양지사, 1990년대 매입 부동산…재무구조 개선 목적 매각
양지사는 이달 18일 이사회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2로 135(가산동 451-1번지)와 가산디지털2로 135(가산동 452-1번지)에 소재한 토지와 건물을 매각하기로 결의했다. 거래 상대방은 각각 디에스네트웍스와 디에스디엔씨다. 매매가는 각각 1012억원, 687억원 총1700억원이다.
양지사는 이사회 결의가 있던 날 매수자들과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우선 계약금으로 양사에게 101억원과 68억원을 받았다. 잔금 911억원과 618억원은 내달 27일 받을 예정이다. 양지사는 내달 20일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해 해당 부동산 매각 건을 결의할 계획이다. 양지사는 부동산을 매각하는 목적으로 '재무구조 개선'을 꼽았다.
해당 부동산은 양지사가 20년 전에 매입한 곳이다. 가산동 451-1번지는 삼성물산이 1975년 8월부터 소유하고 있었다. 그러다 1998년 한국토지공사가 새로운 주인이 됐다. 이듬해 10월 양지사가 한국토지공사와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두 달 뒤 소유권 이전을 완료했다.
가산동 452-1번지의 경우 토지등기부등본에 따르면 1994년 9월 경매에서 낙찰받은 것으로 나온다. 같은 해 12월 소유권을 확보했다. 임시주총에서 안건이 통과되고 내달 말 잔금이 납입되면 2개 필지를 각각 20년, 25년만에 떠나보내게 된다.
|
◇디에스네트웍스, 지식산업센터 개발 검토
양지사 가산동 부지를 인수한 디에스네트웍스는 1981년 설립된 부동산디벨로퍼다. 정재환 회장이 지분 51%를 보유해 최대주주로 있다. 디에스디엔씨는 디에스네트웍스의 자회사다. 디에스네트웍스는 그간 전국 각지에서 다수의 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 디벨로퍼업계 상위권에 자리매김하고 있다. 작년 연결 매출과 영업이익은 1조2566억원, 1409억원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전년보다 각각 30.5%, 9.7% 증가했다.
작년 말 연결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2785억원, 단기금융상품은 58억원이다. 작년 말 분양수익잔액이 2조8650억원이라 올해도 분양수입이 흘러들어왔다는 점을 고려하면 부지 매입대금 마련에는 무리가 없어 보인다. 여기에 금융사와 함께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부담이 크지 않을 수 있다.
사측 관계자에 따르면 가산동 부지에서 지식산업센터를 만들 계획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는 양지사에서 추진했던 개발 방안이다. 양지사는 지난달 말 해당 부지 개발사업과 관련해 금천구청의 건축심의를 받았다. 당시 계획을 보면 가산동 451-1번지에는 지하 5층~지상 20층, 연면적 9만1791㎡의 지식산업센터를 신축한다. 가산동 452-1번지에는 지하 5층~지상 20층, 연면적 6만1489㎡의 지식산업센터를 새롭게 짓는다.
양지사가 상당 부분의 절차를 진행한 상태에서 부동산을 매각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디에스네트웍스는 부동산뿐 아니라 '개발사업 인허가권과 기타 제반 사업권리'까지 양도받게 된다. 건축심의까지 받아 놓은 상태라 양지사의 계획 그대로 사업을 추진한다면, 처음부터 시작하는 개발사업의 경우보다 시간이 단축될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
|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WM 풍향계]리테일 경쟁 격화, 성장 전략 색깔차 'PB vs 센터'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밸류시스템, 수익률 선방…'내러티브 숏' 집중
- [출격 나선 롱숏 운용사]'펀더멘털 롱숏' 구도운용, 라인업 확충 박차
- [Product Tracker]쿼드운용 프로젝트펀드, 루닛 하락에도 웃음짓는 이유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i-point]경남제약, '칼로-나이트 Relax' 출시
- 동진쎄미켐, 3세 '이종호' 경영 전면 등판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삼성전자, DX부문 발빠른 재정비 '노태문 등용'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
- [thebell interview]김종윤 비버웍스 대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경쟁력 확고"
- 비버웍스, 시장 격변 넘을 카드 '토털솔루션·인하우스'
- 삼성전자, DX부문 공백 최소화 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