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2020년 04월 17일 07시53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유료방송 업계가 연일 시끌벅적하다. 업계 1, 2위가 연달아 인수·합병되는 빅딜이 6개월이 채 안 지난 시점에서 'M&A전 2라운드'를 맞았다.이번 라운드에서 특히 시선이 쏠리는 곳은 KT다. 유료방송 합산 점유율 1위인 KT는 1라운드에서 비운의 주인공이었다. 케이블TV 점유율 3위 딜라이브 인수를 적극 타진했으나점유율 상한을 정해놓은 합산규제 탓에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그러나 올해는 상황이 다르다. 규제가 일몰되면서 이론적으로 유료방송 업체 M&A를 할 수 있다.
KT는 재무 구조도 건실하다. 지난해말 현금 및 현금성 자산(별도 기준)은 1조3283억원으로 이통3사 중 가장 많고 부채비율 역시 약 115%로 준수하다. 현재 매물로 나와있는 딜라이브나 현대HCN을 노려보기에 큰 무리가 없는 수준이다.
주요 언론들은 줄기차게 KT를 도발해왔다. 격차를 좁혀오는 경쟁사들의 점유율 수치 변화를 지속 상기시켰고 KT가 곧 따라잡힐 수 있다는 위기론도 꺼냈다. 화끈하게 베팅하는 경쟁사에 비해 KT는 너무 조용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1위가 갖는 상징성이 크기 때문에 KT가 자존심상 가만히 있진 않을 것"이라는 업계 관계자들 멘트를 수시로 인용하며 KT를 꼬드겼다.
그럼에도 구현모 KT 신임사장 스탠스는 현재까지 굳건하다. "분위기에 휩쓸려 M&A에 나서진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는 지난달 가진 출입기자단과의 상견례에서 "장기적 전략 측면에서 M&A가 꼭 필요한지 검토하는 과정이 먼저 필요하고 재무 이슈도 고려해야한다"는 신중론을 폈다. 최근 한 행사장에서도 "(관심없다고 한) 입장에 변화없다"고 재차 밝혔다.
M&A는 자존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점유율 순위 쯤 바뀌어도 실리를 취할 수 있다면 괜찮다. 상징성 때문에 1조원에 육박하는 자금을 쓸 순 없다. 가입자 추가 확보를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다는 게 M&A 긍정론의 주된 논리지만 6% 포인트 수준의 점유율 상승으로 드라마틱한 생산 효율성을 얻을 수 있을 지도 의문이다.
이 때문에 "무분별한 외형 확대보단 콘텐츠 차별화로 승부하겠다"는 구 사장 입장에 설득력이 있다. 30년 넘게 KT에서 근무해 온 '내부 출신 CEO'의 진면모가 드러나는 대목이기도 하다. 외부 출신 CEO였다면 공격적인 외형 확대로 존재감을 높이고 싶은 욕구를 뿌리치지 못했을 수 있다. M&A 이슈와 관련한 구 사장의 행보는 앞으로도 쭉 흥미롭게 지켜볼만한 관전 포인트인 듯 하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신성이엔지,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기술 공개
- [코스닥 주총 돋보기]제이앤티씨, 오너 2세 장윤정 CEO 깜짝 데뷔
- [Company Watch]'합병 장기화'에 실적 꺾인 소룩스, 매출원 확보 총력
- [i-point]TKENS, 전장 램프 제습 모듈 글로벌 공급사 확대
- [thebell interview]"LG전자 엑사원 퀄테스트, 엔비디아 넘어 독보적 위치 자신"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지배구조 분석]'승계 완료' 김승재 재영솔루텍 대표, 지배력 확대 '딜레마'
- [Company Watch]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퓨리오사AI 추가 펀딩 참여
- [i-point]제이스코홀딩스, 필리핀 니켈 원광 수송 포트 완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