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창재 교보생명 회장, 재무건전성 건졌다 [CEO성과평가]신계약·유지율 감소…경쟁력 약화, 자산운용이익률·RBC비율 개선
이장준 기자공개 2020-04-23 13:47:41
이 기사는 2020년 04월 21일 15:17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신창재 교보생명보험 회장(사진)은 2000년 취임 이후 줄곧 CEO를 맡아왔다. 경영권을 놓고 재무적투자자(FI)와 갈등을 빚기도 하나 여전히 생보업계 '빅3'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새 국제회계기준(IFRS17) 도입을 앞두고 재무건전성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건 강점이다. 하지만 지난해 수익성과 성장성 지표는 전반적으로 꺾인 모양새다. 민원 등 고객만족 부문에서도 아쉽다는 평가가 나온다.
◇신계약·유지율 감소세…수익성·성장성 약화

비상장사인 교보생명은 대체로 공시가 불친절하다. 재무지표 가운데 신계약가치와 총환산월납초회료, 유지보험료는 따로 공개하지 않는다. 대신 신계약이나 보험 유지와 관련한 다른 지표를 통해 지난해 성과를 엿볼 수 있다.
신계약 매출은 부진했다. 금감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교보생명의 지난해 신계약금액은 33조2488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34조96억원)보다 2.2% 줄어들었다. 보험계약금액 가운데 신계약금액이 차지하는 비중인 신계약률도 같은 기간 11.05%에서 10.92%로 떨어졌다.
체질 개선을 위해 보장성보험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전환한 영향이 컸다. 지난해 신계약(일반계정) 가운데 보장성보험과 저축성보험은 각각 27조3218억원, 3조3967억원을 기록했다. 1년 새 보장성보험이 2.7% 증가한 반면 저축성보험은 34.9% 감소했다.

지난해 교보생명의 13회차, 25회차 계약유지율은 각각 77.84%, 63.92%를 기록했다. 2018년에는 이 비율이 각각 78.75%, 65.46%였다. 최근 5년간 추이를 봐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자산운용이익률·RBC비율 개선…민원은 매 분기 900건 이상
교보생명의 지난해 수입보험료는 12조4356억원으로 1년 전(12조1683억원)보다 2.2% 증가했다. 증가세는 둔화했지만 순이익 자체는 늘어났다. 전년(4852억원)보다 7.6% 늘어난 5219억원의 순이익을 올렸다.
자산운용을 통해 수익성을 만회한 것으로 파악된다. 보험계약대출, 대체투자 등 리스크 대비 고수익 자산을 늘리는 등 보유수익률 악화를 방어했다. 아울러 지난해 약 3000억원 수준의 채권 매각이익을 냈다.
자산운용이익률은 보험사의 자산 활용 능력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다. 투자에 따른 영업이익을 운용자산으로 나눠 계산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투자를 잘했다는 의미다. 작년 자산운용이익률은 3.95%를 기록했다. 1년 전보다 0.04%포인트 상승했다. 작년말 생보사 평균치(3.5%)를 웃도는 수준이다.
재무건전성 지표인 지급여력(RBC)비율은 2016년 이래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RBC비율이 100%라는 건 한 번에 고객들에게 모든 보험금을 지급할 만큼의 돈을 갖고 있다는 의미다. 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K-ICS)에 대비해 보험사들은 RBC비율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지난해 교보생명의 RBC비율은 338.89%로 업계 6위 수준을 기록했다. 1년 전(311.83%)보다 27.06%포인트 상승했다.

비재무지표 성과는 아쉬웠다. 특히 고객만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민원이 늘어났다. 지난해 민원(자체+대외)은 총 3662건에 달했다. 2015년 이후 가장 많았다. 특히 매 분기 900건 이상의 민원이 올라왔다. 앞서 계약유지율이 떨어진 것과도 연관돼있다는 분석이다.
선행성과지표인 조직순증인원도 소폭 줄었다. 작년 교보생명의 조직순증인원은 3816명으로 1년 새 0.4% 감소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바이오 산업과 투자전략 이해 과정' 개최
- 한수원, 글로벌본드 발행 착수
- 현대캐피탈, 기아K시리즈 구매 고객 대상 프로모션
- [발행사분석]현대코퍼레이션, 사업안정성·고금리 앞세워 완판 도전
- [Weekly Brief]2분기 '최대어' SKIET, 나홀로 수요예측 도전
- [Weekly Brief]롯데케미칼·현대백화점 출격…수요예측 2조 넘는다
- 우리금융캐피탈, 장기CP 발행 대열 합류
- [Deal Story]KB증권, 한달만의 공모채…금리메리트에 몰린 투심
- 푸본현대생명, 최대 645억 사모 후순위채 발행 추진
- [Deal Story]SK종합화학, 공모채 1.25조 수요…강세 발행 유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