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운용, '공격적' 인재 영입 나섰다 김전욱 미래에셋 마케팅본부장·윤현종 V&S운용 부사장, 멀티부문 합류
허인혜 기자공개 2020-06-11 07:39:21
이 기사는 2020년 06월 09일 16시1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브이아이자산운용이 멀티전략 부문의 임원들을 연달아 수혈하며 헤지펀드 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 한달 간 박기웅 전 미래에셋자산운용 헤지펀드1본부장과 김전욱 전 미래에셋운용 리테일마케팅본부장, 윤현종 V&S운용 부사장을 영입해 멀티전략 부문을 정비했다. 브이아이운용은 멀티 전략 매니저들의 협업을 유도해 상품 라인업을 채권형에서 알파전략형으로 대폭 확대할 계획이다.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브이아이자산운용이 이달 김전욱 전 미래에셋운용 리테일마케팅 본부장과 윤현종 V&S자산운용 부사장을 본부장급 임원으로 각각 영입했다. 김전욱 상무는 1일부터, 윤현종 이사는 8일부터 브이아이운용에 둥지를 틀었다.
김 상무와 윤 이사를 충원하며 세운 목표는 멀티전략 확립이다. 브이아이운용은 DGB금융그룹의 품을 떠나 뱅커스트릿PE와 홍콩 금융사 VIMAC 컨소시엄을 새 주인으로 맞으며 새 먹거리를 구상하고 있다.
첫 번째 시도가 헤지펀드 부문 확대다. 브이아이운용은 멀티전략투자본부, 멀티전략운용본부, 해외채권운용본부 등 새 헤지펀드 부서를 세팅하고 있다. 기존 헤지펀드 부문은 그대로 운용하며 멀티전략 헤지펀드 상품을 추가한다는 계획이다.

김 상무는 멀티전략투자본부를 이끈다. 멀티전략투자본부에서는 마켓리서치와 투자 전략 수립 등을 전담한다. 김 상무는 미래에셋운용 리테일본부에서 차근히 승진 경로를 밟았다. 2008년 팀장에 오른 뒤 리테일·마케팅부문장으로서 미래에셋운용의 리테일마케팅을 진두지휘해 왔다.
윤 이사는 키움자산운용 헤지펀드 운용본부와 미래에셋대우 글로벌주식운용본부를 거쳐 V&S자산운용 부사장을 지냈다. 브이아이운용에서는 멀티전략운용본부장으로서 박 전무와 멀티전략 펀드 운용을 담당한다. 윤 이사는 "여태껏 브이아이운용이 해오던 펀드를 유지하되 에쿼티 등의 신 전략 펀드를 추가할 예정"이라며 "에쿼티를 주로 다뤄온 만큼 이벤트드리븐이나 차익거래, 또 좋은 내재가치를 지닌 기업을 발굴하는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브이아이운용은 앞서 '스타 매니저' 박기웅 전 미래에셋운용 헤지펀드 1본부장을 영입하며 헤지펀드 부문 신설 본부 총괄을 맡긴 바 있다. 박 전무는 동양종금증권 채권운용팀과 한국자금중개 채권팀에서 경력을 쌓고 2005년 미래에셋운용에 합류했다. 최근까지 미래에셋운용에서 헤지펀드1본부장을 맡아 미래에셋운용의 대표 픽스드인컴형 펀드들을 책임운용했다. 미래에셋스마트Q토탈리턴펀드, 미래에셋스마트Q아비트라지펀드 등이 박 전무의 손을 거쳤다.
브이아이운용은 채권펀드 운용에 정평이 나 있는 박 전무를 필두로 에쿼티 등 다양한 전략에 전문성을 갖춘 인재들을 투입하겠다는 복안을 세웠다. 박 전무와 맞손을 잡은 지 한 달만에 김 상무와 윤 이사를 배치하며 청사진을 구체화했다. 박 전무는 "멀티자산, 멀티전략, 멀티매니저의 '3M' 체제를 구축해 멀티전략 본부간의 적극적인 콜라보레이션을 유도하고자 한다"며 "채권운용본부와 멀티운용·전략본부, 해외채권본부를 부문으로 통합해 융합하는 과정을 맡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브이아이운용은 근시일 내로 해외채권부문 본부장을 영입해 마지막 퍼즐을 채울 계획이다. 이미 굵직한 이력의 인사에 해외채권부문 본부장 자리를 제안해 인사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이처럼 멀티부문 충원에 총력을 다하는 이유는 고객군 확대다. 벤치마크(BM) 추구의 안정적 수익을 원하는 기관투자자 비율이 높았지만 앞으로는 채권과 주식, 환율, 대체투자 등을 융합해 창의적인 전략을 구축해 벤치마크 이상의 쿠폰 수익을 원하는 고객에게 적합한 상품을 출시하겠다는 포부다.
브이아이자산운용은 2018년 대비 투자일임액과 펀드수탁고를 모두 늘리며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다. 펀드 설정액은 지난해 기준 8조6008억원으로 2018년과 비교해 4.18%(3457억원) 확대됐다. 2018년 말 1조5837억원이던 일임계약고는 지난해 말 2조448억원으로 2조원을 돌파했다. 보험과 연기금, 공제회 등 기관투자자들의 고른 선택을 받았다. 뱅커스트릿프라이빗에쿼티 출신의 송인호 대표가 브이아이운용 대표로 부임하며 반년 만에 이룬 성과다. 홍콩계 투자회사 브이아이에셋매니지먼트(VI Asset Management)의 국내 '브이아이금융투자' 설립도 예고됐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오리엔탈정공, 실적·배당 확대 불구 여전한 저평가
- '터널 끝' 적자 대폭 줄인 대선조선, 흑전 기대감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증여세 '2218억' 삼형제의 재원조달 카드는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몸값 높아진 오스탈, 한화그룹 주판 어떻게 튕겼나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김승연, ㈜한화 지분 절반 넘겼다…'장남 승계' 굳히기
- '햇볕 든' 조선사업...HJ중공업, 상선·특수선 고른 성장
- 한화에어로 '상세한' 설명에...주주들 "유증 배경 납득"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영업현금으로 투자금 충당? 한화에어로 "비현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