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M&A]'사의 표명' 박세창 사장, 금호그룹 복귀하나2년 애정 쏟은 아시아나IDT 잔류 '부담감', 산은과 '껄끄러운 관계' 유지할듯
김경태 기자공개 2020-12-30 09:30:13
이 기사는 2020년 12월 29일 08시09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박세창 아시아나IDT 사장(사진)이 사의를 표했다. 그는 약 2년전 아시아나IDT에 합류한 뒤 채권단 주도로 매각이 진행되는 가운데서도 근무를 계속해왔다. 최근 KDB산업은행·한진그룹 주도의 빅딜 추진과 금호아시아나그룹에 구심점이 부재하다는 점이 사의 배경으로 거론된다.
박 사장은 그룹 전략경영실에서 근무하다 2018년 9월 아시아나IDT 수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그 후 작년부터 채권단 주도로 아시아나항공 매각 작업이 진행되는 가운데서도 업무를 지속했다.
올들어 HDC현대산업개발·미래에셋대우 컨소시엄에 매각이 불발되고, 대한항공과 빅딜이 발표된 뒤에도 마찬가지였다. 재계에서는 그가 아시아나IDT 대표이사 임기 만료일인 내년 9월10일까지 근무를 이어갈 가능성도 제기됐다. 하지만 이번에 사의를 표명하면서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아시아나IDT를 떠날 전망이다.
박 사장이 사의를 밝힌 배경으로는 KDB산업은행과 한진그룹이 추진하는 대형항공사(FSC) 빅딜 작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는 점이 우선적으로 거론된다.
산은과 한진그룹이 전달 16일 빅딜을 발표한 뒤 경영권 분쟁 개입·국유화 논란 등이 불거졌다. 한진칼의 주주인 KCGI가 신주발행금지 가처분 소송을 제기하는 등 반격을 개시했다. 하지만 이달 1일 서울중앙지방법원이 KCGI의 주장을 기각하면서 빅딜 절차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한진그룹은 이달 중순부터 김·장 법률사무소(김앤장), 법무법인 화우와 함께 아시아나항공과 자회사 실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아직 인수합병(M&A)이 완료되지 않았지만 채권단과 한진그룹 입장에서는 의연하게 자리를 지키는 박 사장의 존재 자체가 껄끄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박 사장이 채권단 측의 은연 중 압박을 느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아시아나항공 계열 고위경영자에 따르면 이번 아시아나항공 및 자회사 경영진 인사는 형식적으로 금호아시아나그룹에서 결정하는 형태가 될 전망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채권단이 깊숙히 관여하는 문제다.
금호아시아나그룹에 구심점이 사라졌다는 점도 박 사장의 사의 표명 이유로 꼽힌다. 박삼구 전 회장이 작년초 퇴진하면서 경영 일선에서 물러났다. 그 후 지난달 초 그룹 총괄 기능이 아시아나항공으로 옮겨갔다.
'그룹 총괄'이라는 명칭은 금호아시아나그룹 관계자 사이에서 쓰이는 용어다. 그룹의 중장기 경영 전략, 인수합병(M&A) 등 굵직한 사안을 다루고 그룹의 조타수 역할을 한 곳이다. 이는 기존에 금호산업 전략경영실에서 담당했다. 전략경영실이 해체는 과거의 실패를 인정하고 가겠다는 박 사장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사장이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 복귀하면 어떤 계열사에 적을 둘지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아시아나항공과 그 자회사를 제외하면 금호산업, 금호고속, 금호고속에서 분할된 금호익스프레스가 주요 계열사다.
이중 금호산업은 박 사장이 아시아나IDT로 이동하기 전 몸담았던 곳이다. 남은 계열사 중 규모가 가장 크기도 하다. 올 3분기 누적 연결 매출 1조2809억원, 영업이익 587억원이다. 전년 동기보다 각각 7.8%, 53.7% 증가했다.
금호고속은 금호산업의 모회사로 지배구조 최상단에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금호고속의 최대주주는 박 전 회장으로 지분율은 44.8%다. 박 사장은 2대주주로 지분율은 28.6%다.
다만 박 사장이 그룹으로 복귀한다고 하더라도 산은과 껄끄러운 만남은 계속 감내해야 한다. 금호고속이 사실상 준채권단 관리에 있기 때문이다. 산은은 올 9월 박 전 회장이 보유 중인 금호고속 주식 3만2400주에 최우선 근질권, 60만8692주에 차순위근질권을 설정하고 자금을 지원했다. 박 사장 등 특수관계자 지분 일부도 담보로 잡혔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티맵모빌리티는 지금]'계약 유지율 98%' 티맵 API, 물류기업·구급차도 택했다
- [i-point]크라우드웍스, AI 학습용 데이터 구매 플랫폼 오픈
- [i-point]'코드게이트 2025' 국제 해킹 방어대회 본선 진출자 발표
- [i-point]아이티센클로잇, '파트너스 데이' 개최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경영권 프리미엄' 145% 기대 근거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