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나항공 M&A]경영 능력 검증한 박세창 사장, 향후 행보는주변에 "회사 어려운데 혼자 도망칠 수 없다" 밝혀, 아시아나IDT 3분기에도 '흑자'
김경태 기자공개 2020-11-18 09:01:06
이 기사는 2020년 11월 17일 15시40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호아시아나그룹 오너 3세 경영자인 박세창 사장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빅딜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그는 마지막까지 주어진 업무를 다하겠다는 자세로 아시아나IDT에서 업무를 지속하고 있다고 전해진다. 아시아나IDT의 수장으로 경영 능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향후 행보에도 관심이 모인다.
박 사장도 부친 못지 않게 아시아나항공에 애착을 갖고 있지만 작년부터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적이 없었다.
1975년 서울생으로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경영대학원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 2002년 7월 아시아나항공 자금팀 차장으로 입사하면서 본격적으로 경영수업을 받기 시작했다. 약 5년 전 방문했던 그의 집무실에는 아시아나항공 직원들이 만든 소박한 액자가 있기도 했다.
올해 9월 아시아나항공의 매각이 무산된 후 채권단 관리에 돌입했다. 아시아나항공으로 그룹 총괄 기능이 옮겨가는 등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영향력은 사실상 단절됐다.
일련의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박 사장은 흔들림 없이 아시아나IDT에 출근하고 있다. 과거부터 그를 알던 주변 인사는 남겨진 그룹 계열사로 이동하는 것을 조언하기도 했다는 전언이다.
한 관계자는 박 사장에게 "그룹으로 돌아가는게 나을텐데 왜 남아있느냐"고 물었다고 한다. 박 사장은 "회사가 어려운데 나 혼자만 도망치듯 떠날 수 없다"고 답했다고 한다.
실제 박 사장은 아시아나IDT에 남아 불편한 상황을 견디고 있다. 아시아나IDT는 현재 매각을 추진 중인 금호리조트의 주주다. 경영진이자 이사회 구성원으로 과거 그룹의 대표적인 자산이 외부 결정에 의해 팔리는 상황을 가까이에서 목도하고 있다.
KDB산업은행 주도로 진행하는 대형항공사(FSC) 통합 절차에서 3단계에 해당하는 아시아나항공 유증 납입일은 내년 6월30일이다. 박 사장의 아시아나IDT 대표이사 임기는 내년 9월10일까지다. 그가 임기를 채운다면 아시아나항공이 한진그룹과 채권단 휘하로 넘어가는 상황을 근거리에서 지켜보게 된다.
채권단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보유한 자회사의 통합 등 정리에 나설 것을 시사했다. 박 사장이 경영해 온 아시아나IDT도 사정권에 있다. 일각에선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기로 하면서 두 회사의 정보기술(IT)서비스 자회사인 아시아나IDT와 한진정보통신도 하나로 통합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재계에서는 박 사장이 아시아나IDT를 통해 경영 능력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향후 행보를 주목하고 있기도 하다. 그가 이끄는 동안 아시아나IDT는 흑자 행진을 기록했다. 아시아나IDT는 지난해 매출 2461억원, 영업이익 114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3분기 누적 62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또 그룹 계열사 외에 외부 일감 확보에도 성과를 냈다. 신사업에서도 마찬가지다. 인공지능(AI)·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중심으로 새로운 기술과 솔루션을 개발했다. 유망 스타트업과의 제휴를 맺는 등 미래 먹거리 발굴에 힘썼다.
재계 관계자는 "경영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위기관리 능력이 좋은 편"이라며 "아시아나IDT 취임 후 회사 규모를 크게 키우는 등 경영 능력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티맵모빌리티는 지금]'계약 유지율 98%' 티맵 API, 물류기업·구급차도 택했다
- [i-point]크라우드웍스, AI 학습용 데이터 구매 플랫폼 오픈
- [i-point]'코드게이트 2025' 국제 해킹 방어대회 본선 진출자 발표
- [i-point]아이티센클로잇, '파트너스 데이' 개최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경영권 프리미엄' 145% 기대 근거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