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Watch]삼지전자, 에스에이엠티 '일석삼조' 효과 톡톡배당 수익·실적 개선 효과 거둬, EB 발행으로 운영자금 127억 조달
김형락 기자공개 2021-03-23 09:05:19
이 기사는 2021년 03월 19일 08시0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스닥 상장사 삼지전자가 종속회사 에스에이엠티(SAMT)를 다방면으로 활용하고 있다. 매년 배당 수익을 거두면서, 교환사채(EB)를 발행해 자금조달 지렛대로 썼다. SAMT가 외형 성장을 이끌며 안정적인 실적 기반을 다져주고 있다는 평가다.삼지전자가 SAMT를 품은 뒤 실적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5895억원으로 전년대비 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3% 증가한 481억원로 집계됐다. SAMT가 담당하는 전자부품 유통사업은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에서 각각 78%, 71%를 책임졌다.
코스닥 상장사 SAMT는 삼지전자의 종속회사다. 삼지전자 보유 지분은 49.84%다. 이기남 삼지전자 회장을 정점으로 지배구조를 구축했다. 이 회장은 삼지전자 지분 22.11%를 보유한 최대주주다. 가족, 임원 등 특수관계인을 포함한 지배력은 46.69%에 이른다.
이 회장은 2015년 사업다각화 승부수를 띄웠다. 그해 3월 536억원을 투입해 SAMT 지분 50%를 인수했다. 자산총계 906억원 규모 삼지전자가 자산총계 2434억원 규모 SAMT 경영권을 쥐었다. 투자자산까지 매각해 인수자금을 만들었다.
삼지전자 본업인 통신사업만으로 결실을 내기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2014년 매출은 역성장했고, 3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삼지전자는 이 회장이 1981년 설립한 중계기 제조업체다. 통신사업자의 인프라 구축 계획에 따라 매출이 오르내리는 구조였다.
하지만 SAMT를 종속회사로 들이면서 180도 바뀌었다. 2016년 연결 기준 매출액은 1조원을 넘어섰다. 2015년부터 영업이익률은 2~3%를 유지하고 있다. SAMT가 영위하는 전자부품 유통사업이 중심축으로 자리 잡았다.
배당으로 현금이 유입되는 구조도 정착시켰다. SAMT는 2016년부터 매년 결산 배당을 실시하고 있다. 이 회장이 SAMT 이사회 의장을 겸임하며 배당정책을 수립했다. 지난해 SAMT 결산 배당금 총액은 147억원이다. 50%에 가까운 지분을 보유한 삼지전자가 배당금 총액 절반을 가져간다.
앞으로도 기존 배당성향(배당금/순이익)을 유지할 방침이다. 지난해 결산 배당 기준 SAMT 배당성향은 34%다. SAMT 주요 사업은 삼성 계열사 국내 대리점 영업이다. 삼성전자, 삼성전기 등에서 IT(정보기술) 부품을 공급받아 유통하고 있다. 시장점유율 50%(국내 삼성전자 대리점 매출액 기준)를 가지고 꾸준히 이익을 내고 있다.
SAMT 주식을 자금조달 재원으로도 안배했다. 삼지전자는 2019년 5월 3회차 EB를 발행해 운영자금 127억원을 조달했다. 삼지전자가 보유 중인 SAMT 주식 508만주(주식총수 대비 5.08%)를 교환대상으로 지정했다. 하일랜드2019사모투자합자회사가 EB를 전액 인수했다. 지난해 5월 교환기간에 진입했다. 교환권은 행사하지 않았다.
교환조건은 삼지전자에 유리하다. 3회차 EB 교환가액은 2500원이다. EB 발행 이사회 결의일 전날(2019년 5월 1일) 종가 1840원보다 36% 높은 가격이다. 삼지전자가 매입한 가격(1주당 1340원)보다 비싼 값에 SAMT 주식을 처분하는 셈이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영풍-고려아연 경영권 분쟁]반격 나선 MBK, '순환출자 논란' 칼 뽑았다
- [불 붙는 크립토 제재] 'KYC 리스크' 금융권 넘어 가상자산 시장 덮쳤다
- [SOOP을 움직이는 사람들] '이니시에이터' 최영우 사장, 글로벌·e스포츠 사업 선봉
- [금융지주 경영승계 시스템 변화]신한금융, '리더십센터' 후보풀 '자경위→회추위' 단계별 검증
- [Policy Radar]이복현 금감원장 "일본은행 기준금리 인상 여파 제한적"
- [금융지주 경영승계 시스템 변화]신한금융, 백지화 된 '부회장제' 재추진 가능성은
- [우리금융 인사 풍향계]우리카드 진성원호, 현대카드 출신 임원 영입
- [하나금융 차기 리더는]역대 최고 '순익·주가'…검증된 함영주 회장 연임 택했다
- [중견·중소 보험사는 지금]다시 보험통 맞은 흥국화재, 중간 성적표는
- [CAPEX 톺아보기]LG엔솔 CAPEX 축소..."램프업 속도 서두르지 않을 것"
김형락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슈 & 보드]E1, 오너가 투자 결정 제동 건 이사회
- K배터리와 공학도
- [이슈 & 보드]KT, 안건 통과 문턱은 '상향'…부결 사유는 '비공개'
- [사외이사 전문성 분석]KT, 지배구조 개선 뒤 찾은 미래 기술 전문가
- [사외이사 전문성 분석]SK텔레콤의 선택, 글로벌 AI 경쟁에서 살아남기
- [거버넌스 워치]이마트, 보수 정책 비공개 고수하나
- [Board Match up/배터리 3사]주주 소통 모범은 LG에너지솔루션
- [Board Match up/배터리3사]리스크 관리 정점엔 이사회, 보고 체계는 달라
- [theBoard League Table]체면 세운 롯데이노베이트, 타 계열사는 부진 평가
- [theBoard League Table]네이버, 카카오보다 '한 수 위'…보상체계 돋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