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식 넷마블 네오 대표의 IPO 타이밍 고민 대어 많은 시장 상황상 시기적으로 애매…대내외 상황 맞춰 유동적
성상우 기자공개 2021-04-15 08:16:21
이 기사는 2021년 04월 14일 15시21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넷마블네오의 상장 시기를 놓고 권영식 대표의 고민이 길어지고 있다. 넷마블네오는 넷마블 자회사 중 첫번째 상장 후보로 오른 회사다. 넷마블을 2조클럽에 올려놓은 '리니지2 레볼루션'을 개발한 회사다.메가히트작을 냈지만 안정적인 포트폴리오를 갖춘 후 상장에 돌입하기 위해 수 년을 기다려왔다. 마침내 상장을 위한 준비가 어느정도 됐지만 타이밍이 애매하게 됐다. 크래프톤 등 초대어급 후보가 올해 IPO 시장에 많기 때문이다. 신작 '제2의 나라'가 어느정도 흥행으로 받쳐줄 지도 확실하지 않다.
권 대표는 14일 넷마블네오의 신작 '제2의나라' 쇼케이스가 끝난 뒤 IPO와 관련한 질문을 받고 "아직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는 건 하나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시기적으로 약간 애매하게 됐다"며 "12월 상장은 생각하고 있지 않은데 (신작 일정과 성과 등) 조금만 삐끗하면 스케쥴이 안나올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게다가 올해 굉장히 많은 회사들이 IPO를 준비하고 있어 구체적인 일정은 외부 상황들을 더 지켜봐야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아직 주관사측과 제대로 만나보진 못했다"면서 "(일정과 밸류 등) 구체적인 상장 전략에 대한 논의 역시 일단 주관사와 만나서 이야기를 해봐야 윤곽이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사이클을 감안하면 신작이 초반 흥행에 성공한다고 가정했을 때, 3분기말에서 4분기초에 상장하는 일정이 베스트 시나리오다. 흥행이 입증된 신작 매출이 밸류에이션 과정에 적용됐을 때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신작이 초반 흥행에 실패할 경우 상장 전체 일정은 다시 조정해야될 수도 있다.
상장 준비가 지연없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신작이 흥행에 성공한다하더라도 변수는 또 있다. 올해 IPO 시장에 나오는 대어급 후보사가 많다는 점이다. 당장 올해 2~3분기 중 상장에 나설 것이 유력한 게임사 크래프톤의 경우 30조원 수준의 밸류가 거론된다. 90조원이 거론되는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해 현대엔지니어링 등 증시 입성을 대기 중인 대어급들이 즐비해 있는 상황이다.
보통 같은 해 상장하는 초대어급이 많을 경우 투자 재원이 분산되고, 시장 주목도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다. 권 대표는 본격적인 상장 프로세스 준비와 함께 출시를 앞둔 신작의 초반 흥행세 극대화를 같이 챙겨야하는 입장인 셈이다. 그 둘을 모두 성공시킨다하더라도 외부 상황을 지켜보고 최적의 타이밍 전략을 수립해야한다.
최근 장외시장에서 평가되는 넷마블네오의 시총은 1조5000억원을 넘어섰다. 상장 기대감이 반영돼 최근 상승세가 가파르다. 이는 증권가에서 게임사 밸류를 산정할때 통상적으로 활용하는 상대가치평가법으로 도출한 밸류와 큰 차이가 없는 수치다. 넷마블네오의 지난해 연간 순이익 386억원에 지난해 카카오게임즈 상장 당시 적용된 피어그룹 주가수익비율(PER) 34.9배를 적용하면 1조3471억원이 나온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경영권 프리미엄' 145% 기대 근거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 더본코리아, 생산시설 초과 가동…수요확대 대응 과제
- '버거킹' BKR, 최대 실적에도 치솟은 부채비율 '왜?'
- 훨훨 나는 올리브영, 지분투자 성적표는
- 이수진 야놀자 대표 "글로벌 AI 기업과 협업 확대"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TKENS, 전장 램프 제습 모듈 글로벌 공급사 확대
- [thebell interview]"LG전자 엑사원 퀄테스트, 엔비디아 넘어 독보적 위치 자신"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지배구조 분석]'승계 완료' 김승재 재영솔루텍 대표, 지배력 확대 '딜레마'
- [Company Watch]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퓨리오사AI 추가 펀딩 참여
- [i-point]제이스코홀딩스, 필리핀 니켈 원광 수송 포트 완공
- [i-point]케이웨더, 우리동네 미세먼지 '시간단위' 예보
- [코스닥 주총 돋보기]아티스트스튜디오, 경영진 재편 완료
- [Company Watch]딥노이드, 스미스디텍션 물량 ‘4월 독일 출장’서 가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