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사업자 리포트]"메디패스·닥터팔레트 시너지로 J커브 성장할 것"④이은솔 메디블록 공동대표 "빨라야 2025년쯤 IPO 계획 잡을 듯"
원충희 기자공개 2021-07-19 08:05:00
[편집자주]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가상자산 열풍이 전 세계를 휩쓸면서 국내에서도 코인 산업의 생태계가 조성되고 있다. 문제는 국내 당국이 가상자산 공개(ICO)를 유사수신 행위로 간주함에 따라 해외를 통한 우회상장이나 거래소 공개(IEO) 등을 통해 일명 '잡코인'이 대거 거래소에 입성, 난립하고 있다는 점이다. 옥석 가리기가 중요해진 시점에서 더벨은 차별화를 추구하는 국내 코인사업자들의 면면을 살펴봤다.
이 기사는 2021년 07월 16일 08시1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블록체인 기술로 의료정보가 진본임을 인증하면 허위보험금 청구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이은솔 메디블록 공동대표(사진)는 '메디패스' 앱 출시 배경을 이렇게 설명했다. 실손보험을 청구할 때 의료정보는 병원→개인→보험사로 전달된다. 이 과정에서 위·변조가 가능한 점이 허위보험금 문제로 이어진다.
이 대표는 "블록체인 특유의 NFT(Non-Fungible Token) 기술을 이용해 의료정보의 진위를 인증하고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라며 "삼성서울병원과 삼성화재 간에 시범적으로 도입됐던 메디패스는 데이터 손실 없이 곧바로 전산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라고 설명했다.

메디블록은 올해 초만 해도 가입자가 5만명도 안 됐으나 상반기에 10만명이 넘었다. 상승세를 탄 메디블록은 또 다른 카드를 꺼냈다. 개인을 위한 B2C 서비스 메디패스와 달리 병·의원을 위한 B2B 서비스 '닥터팔레트'다. 하반기부터 의원급에 공급되는 닥터팔레트를 메디패스를 연동해 상호 시너지 효과가 키울 계획이다.
이 대표는 "팔레트와 메디패스가 연동되게 만들어 서로 시너지를 일으키면 양 서비스 가입자가 같이 늘어나 J커브 성장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팔레트로 2년쯤 후에 병원급 시장, 2025년경에는 종합병원 시장에 진출하는 게 중장기적 목표"라고 말했다.
메디패스와 닥터팔레트를 선보인 메디블록의 지향점은 환자 중심의 의료정보 플랫폼 구축이다. 환자가 자신의 의료정보를 한눈에 파악함은 물론 필요로 하는 기관에 제공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는 것이다. 이런 시스템이 더 발전하면 환자 개인의 일상적인 의료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교류하는 게 가능해진다.
이 대표는 "그간 의학연구는 임상환자들을 대상으로 했지만 의료정보 플랫폼이 제대로 갖춰지면 환자들의 일상적인 의료데이터를 리얼타임으로 수집해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할 수 있다"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진료법이나 약물개발이 가능하고 이 시장에 제약사 자본 등이 들어와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상자산 '메드(MED, Medi token)'는 이 과정에서 보상으로 주어질 수단이다. 국내에서는 업비트와 코빗 등에 상장돼 있고 최근 비트렉스 글로벌(Bitterex Global)에도 입성했다. 현재 시가총액은 1440억원 정도다.
최근 자본시장에 유동성이 넘치면서 성장 중인 스타트업들은 상장(IPO)을 염두에 두는 게 일반적이다. 다만 이 대표는 메디블록 IPO를 서두르지 않을 생각이다.
그는 "IPO는 급하게 할 생각 없고 프로덕트를 키워 사용자를 좀 더 늘린 다음에 계획을 잡을 것"이라며 "막연하게는 빨라야 2025~2026년 정도에 계획을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어 아직은 계획이 없다는 말이 맞을 듯하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디앤씨미디어, 보다 끈끈해진 넷마블 관계
- [애경그룹 리밸런싱]AK홀딩스, 유동성 압박 속 추가 매각 카드 꺼낼까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경영권 프리미엄' 145% 기대 근거는
- [애경그룹 리밸런싱]매물로 나온 애경산업, 인수 후보군은
- [애경그룹 리밸런싱]애경산업 매각, 유동성 넘어 지배구조 정리 '시그널'
- [오너가 무브먼트]서울식품 서인호, 지배력 확대…오너 4세 등장 '눈길'
- 더본코리아, 생산시설 초과 가동…수요확대 대응 과제
- '버거킹' BKR, 최대 실적에도 치솟은 부채비율 '왜?'
- 훨훨 나는 올리브영, 지분투자 성적표는
- 이수진 야놀자 대표 "글로벌 AI 기업과 협업 확대"
원충희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CAPEX 톺아보기]삼성전자, 반도체 줄고 디스플레이 2배 급증
- [캐시플로 모니터]삼성전자, 하만 회사채 만기 도래 '늘어난 환차손'
- [R&D회계 톺아보기]"결국은 기술" 연구개발비 30조 돌파한 삼성전자
- 네이버 '창업자' 이해진의 오너십
- [Board Change]CJ대한통운, 해외건설협회 전·현직 회장 '배턴 터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메리츠금융, 대손충당금 부담은 어느 정도
- [Board Change]넷마블 이사회 떠난 '친한파' 텐센트 피아오얀리
- [Board Change]카카오, CFO 이사회 합류…다시 세워지는 위상
- [Board Change]삼성카드, 새로운 사내이사 코스로 떠오른 '디지털'
- [Board Change]삼성증권, 이사회 합류한 박경희 부사장…WM 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