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아픈 손가락 '우지막코리아', 기사회생할까 LG화학 50억원 추가 수혈...적자 규모 눈덩이, 계속기업 불확실성 지적
조은아 기자공개 2021-07-26 14:24:55
이 기사는 2021년 07월 23일 13시4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LG화학이 100% 자회사 우지막코리아에 추가 자금을 지원했다. 우지막코리아는 LG화학이 2018년 자동차소재 분야 진출을 위해 야심차게 인수한 회사다. 인수 직후부터 지금까지 매년 적자를 내면서 LG화학의 아픈 손가락이 됐다.문제는 자금을 지원해도 당장의 실적 악화를 벗어날 마땅한 방안이 없다는 점이다. 자칫 ‘밑빠진 독에 물 붓기’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LG화학은 19일 우지막코리아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50억원을 추가 출자했다. LG화학이 우지막코리아에 자금을 지원한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LG화학은 2019년 우지막코리아 유상증자에 참여해 45억원을 지원했고 지난해에도 두 차례의 유상증자를 통해 245억원을 지원했다.
우지막코리아는 LG화학 품에 안긴 지 3년 만에 모두 340억원에 이르는 자금을 수혈받았다. 특히 지난해에는 대규모 자금을 지원받으면서 재무구조가 큰 폭으로 개선됐다. 2019년 말 부채비율이 499.5%로 500%에 육박했지만 지난해 말 부채비율은 68.8%를 기록했다. 자본이 늘어난 데다 단기차입금을 대거 상환하면서 부채총계가 326억원에서 159억원으로 절반 이상 줄었기 때문이다.
우지막코리아는 자동차와 산업용 기계에 사용되는 페라이트 마그네트을 제조해 판매하는 회사다. 글로벌 부품사인 독일 보쉬와 일본 미쓰비시 등을 주요 고객사로 두고 있다. 2015년에는 전체 매출 가운데 해외에서 나오는 매출이 53%를 기록할 정도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인정받았다.
이를 높이 평가한 LG화학이 미래차 시장 공략을 위해 2018년 9월 우지막코리아 지분 100%를 230억원에 인수했다. 인수가격은 상각전 영입이익(EBITDA) 대비 기업가치(EV) 배수가 30배를 웃돌 정도로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당시 LG화학은 우지막코리아 인수와 비슷한 시기에 미국 자동차용 접착제 회사인 유니실을 인수하면서 자동차소재 사업에 막 드라이브를 걸던 차였다. 2019년 신학철 대표이사 부회장이 취임한 후 조직개편을 통해 자동차소재, IT소재, 산업소재 등 3개 사업부가 포함된 첨단소재부문을 신설했다.

그러나 우지막코리아는 LG화학에 인수된 뒤부터 적자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2018년 적자로 전환한 뒤 매년 순손실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2018년 39억원에서 2019년 71억원으로 적자 규모가 두 배 가까이 확대됐고 지난해에도 순손실 79억원을 냈다.
특히 지난해에는 코로나19 여파로 매출마저 뒷걸음질했다. 2019년 211억원에서 176억원대로 감소했다. 자동차·산업용 기계 등 전방 산업이 실적 부진에 빠지자 동반 침체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LG화학은 지난해 초 EY한영을 매각주관사로 선정하는 등 우지막코리아의 매각절차에 들어갔다. 그러나 실적 악화가 지속됐던 탓에 시장의 반응이 신통치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대규모 자금을 지원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었다. 이번 유상증자 역시 마땅한 타개책을 찾지 못한 데 따른 ‘고육지책’으로 풀이된다.
급한 불은 껐지만 회사의 경쟁력 자체를 놓고 의문은 지속 제기되고 있다. 우지막코리아는 2년 연속 회계감사인으로부터 ‘계속기업 불확실성’을 지적 받았다. 삼덕회계법인은 우지막코리아의 2020년도 감사보고서에서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유의적 의문을 제기할 만한 중요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밝혔다. 2019년에 이어 2년 연속이다. 삼덕회계법인은 “경쟁업체들과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인건비 등 제조원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지금으로선 사실상 실패한 투자에 가깝다는 지적이 나온다. LG화학은 2019년 우지막코리아에 대한 대규모 손상차손도 인식했다. 회수가능금액이 장부가보다 낮다는 이유에서다.
일종의 경영권 프리미엄인 영업권도 0원 처리했다. 230억원에 사들인 우지막코리아의 장부가는 2019년 말 63억원으로 줄어들었다가 지난해 유상증자를 통해 245억원을 추가 지원하면서 현재는 309억원으로 다시 늘어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조은아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흑자 기조 이어간 KB미얀마은행, 웃지 못하는 이유
- [은행권 신지형도]'대형은행' 틈바구니 속, SC제일은행이 선택한 해법은
- 내부통제위원회 구성 마친 4대 금융, 구성 살펴보니
- 우리은행, 폴란드에 주목하는 이유
- [thebell desk]한화 차남의 존재감
- [은행권 신지형도]어느덧 10년 맞은 인터넷전문은행, 시장 판도 변화는
- [금융지주 해외은행 실적 점검]통합 2년차 KB프라삭은행, 희비 엇갈려
- KB금융 부사장 1명으로 줄었다, 배경은
- [은행권 신지형도]김기홍 체제 3기, 전북·광주은행의 전국구 공략법은
- KB금융, 자회사 기타비상무이사 선임 관행 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