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익투자파트너스, 3년만에 미래나노텍 엑시트 착수 150억 CB 투자, 보통주 전환후 매각 118억 회수···남은 보유분 평가액 170억
이명관 기자공개 2021-08-20 07:39:25
이 기사는 2021년 08월 18일 15시1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원익투자파트너스가 '미래나노텍' 투자금 회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올해 들어 미래나노텍의 주가가 꾸준히 상승하자 원익투자파트너스는 엑시트 시기를 저울질해왔다.현재 분위기를 고려하면 2배가 넘는 멀티플로 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추산된다. 미래나노텍은 정보기술(IT) 디스플레이 소재 전문기업이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원익투자파트너스는 미래나노텍 최근 보유 지분 83만4369주(2.94%)를 처분했다. 보유 지분율은 종전 9.47%에서 6.53%로 하락했다. 1주당 가격은 4834원으로 책정됐다.
이번 거래로 원익투자파트너스는 40억원 가량을 회수했다. 이는 미래나노텍에 투자한 총액의 26%에 해당하는 액수다. 앞서 원익투자파트너스는 2018년 12월 투자에 나섰다. 미래노텍이 신규사업을 위해 150억원 규모의 전환사채(CB)를 발행했는데, 이때 원익투자파트너스가 단독으로 참여했다.
원익투자파트너스는 원익뉴그로쓰2018 사모투자합자회사를 통해 CB를 인수했다. 원익투자파트너스는 2018년 2월 총 2000억원 규모로 '원익뉴그로쓰2018PEF'를 결성했다. 산업은행, 성장사다리펀드, 고용보험, 중소기업중앙회,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이 주요 출자자로 참여했다. 모기업인 원익그룹의 몇몇 계열사들도 일부 자금을 보탰다.
원익투자파트너스는 CB 투자 이후 주가 추이를 고려해 자금 회수 시기를 저울질해왔다. 한동안 전환가액을 밑도는 주가 탓에 보통주로의 전환은 없었다. 대신 조기 상환 옵션을 활용 작년 12월 CB 일부를 상환받아 37억원을 회수했다. 그러다 올해 들어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자 CB를 보통주로 전환했다. 미래나노텍의 주가는 한때 장중 5300원을 넘어설 정도로 치솟았다. 작년 말께만 하더라도 주가는 3000원을 밑돌았다.
우선 원익투자파트너스는 보통주 전환을 통해 지난 3월 95만8220주를 확보했다. 이후 한 달 동안 차츰 장내에서 정리했고, 45억원을 회수했다. 평균 단가는 4783원이었다. 나름 성공적인 성과를 낸 모양새였다. 이후 같은달 191만6443주를 추가로 보통주로 전환했다.
이후 주가 추이를 살피다가 지난달 66만9773주를 장내매도해 32억원을 회수했다. 그리고 한 달 후인 최근 다시 한 번 자금 회수에 나선 것이다. 이렇게 원익투자파트너스는 지금까지 118억원을 거둬들였다. 총 투자액의 80%에 해당된다. 남은 지분과 아직 전환하지 않은 CB를 고려하면 배수 이상의 멀티플로 회수 성과를 기록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원익투자파트너스가 보유 중인 보통주의 평가액은 50억원을 상회한다. 여기에 보유 중인 CB를 보통주로 전환했다고 가정할 때 평가액은 120억원 가량된다. 만약 이대로 매각한다고 할 경우 전체 회수총액은 300억원에 육박하게 된다. 원익투자파트너스는 주가 추이를 살피면서 자금 회수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원익투자파트너스 관계자는 "어느 정도 수익이 확보됐다고 판단하고 있다"며 "급하게 정리하기 보다는 일단 주가추이를 살피면서 매각 타이밍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래나노텍은 2002년 8월에 설립된 IT 디스플레이 전문 소재기업이다. LCD 광학필름, 터치패널, 윈도우필름이 주력 제품이다. 2007년 10월 코스닥에 상장했다. 3년 전 원익투자파트너스로부터 투자유치를 받은 이후 꾸준히 외형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매출 추이를 보면 2018년 2781억원, 2019년 2930억원, 지난해 4036억원 등이다. 영업이익도 2018년 39억원에서 지난해 320억원으로 10배 가까이 불어났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이명관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디앤오운용, 첫 딜 '상암 드림타워' 끝내 무산
- '이지스운용' 1대주주 지분 매각, 경영권 딜로 진화?
- 더제이운용, 채널 다양화 기조…아이엠증권 '눈길'
- [Product Tracker]NH프리미어블루 강추한 알테오젠 '쾌조의 스타트'
- 키움투자운용, 삼성운용 출신 '마케터' 영입한다
- 수수료 전쟁 ETF, 결국 당국 '중재'나서나
- [회생절차 밟는 홈플러스]단기채 '100% 변제'의 진실, 핵심은 기간
- 유안타증권, 해외상품 전문가 '100명' 육성한다
- 미래에셋운용, '고위험 ETF' 수수료 인하 검토 배경은
- 글로벌 최초 패시브형 상품…'노후' 솔루션 대안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