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드 사무관리업계 '출혈경쟁' 다시 불붙나 자산운용사 이동 조짐에 '덤핑' 수수료 제안
허인혜 기자공개 2022-05-02 08:13:16
이 기사는 2022년 04월 29일 14시25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펀드 사무관리 서비스에 굵직한 입찰건이 연달아 발생하면서 업계의 수수료 경쟁이 다시 시작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새 사무관리 회사를 찾는 운용사들이 '덤핑' 수준의 수수료율을 제안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공모펀드 수수료율을 동결하는 대신 이중사무 보수·신규 펀드 수수료율을 낮추며 물밑 출혈경쟁도 심화되는 분위기다.◇펀드 사무수탁사 교체 이슈에 '낮은 수수료' 전면전
2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자산운용 상장지수펀드(ETF)와 NH아문디자산운용 등이 새로운 사무관리사를 물색 중이다. 두 자산운용사는 이르면 5·6월께 신규 사무관리사와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NH아문디자산운용 등의 입찰 경쟁이 끝나면 업계 평균 사무관리 수수료가 더욱 낮아질 것으로 봤다. NH아문디자산운용이 입찰 제안 안내문으로 가격요소를 가장 중요한 지점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현재 NH아문디운용의 공모펀드 사무관리 평균 보수가 1bp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1bp 아래의 평균 수수료를 받는 사무관리사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신한아이타스의 계약고를 가져간 사무관리사들은 평균 수수료를 낮추거나 동결했다. 국민은행 사무관리부문이 대표적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국민은행 사무관리부문 계약은 사무관리업계 점유율 변동의 첫 단추로 볼 만하다.
국민은행은 한국투자신탁운용에게 '간단 명료한 보수체계'를 제안했다. 기존 펀드의 보수율은 신한아이타스의 사무관리 수수료율을 유지하지만 신규 펀드에 대해서는 규정한 수수료를 부과한다는 이야기다.
부가서비스 수수료는 전면 면제다. 매매 시스템, 자동주문시스템(Fix System) 사용료, 사전(장중) 컴플라이언스, 사후 컴플라이언스, 종합정보 시스템, 법정보고서, 국제투자성과기준(GIPS), 모델포트폴리오(MP) 등도 수수료를 받지 않겠다고 명시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이 국민은행과 사무관리 계약을 이행한 뒤 평균 사무관리 수수료는 낮아졌다. 신한아이타스 사용 시기 1.5bp 수준이었던 평균 보수는 1.4bp로 떨어졌다. 0.1bp의 차이지만 사무관리 수수료가 사실상 제로에 가까웠다는 점을 미뤄보면 눈에 띄는 변화다.
더 중요한 포인트는 이중사무 보수다. 다른 사무관리사에 맡긴 펀드 업무를 주 사무관리사가 이중으로 전담하는 경우 공식 기준가에 사용되지 않는다고 업계 관계자는 전했다. 본래 자산운용사가 충당해야 할 금액이지만 사무관리사가 전담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업계 "사무관리 수수료, 점진적 인상 필요"
업계에서는 몇년 전 신한아이타스의 수수료 정상화 요구가 오히려 역풍을 불렀다고 해석한다. 업무의 특성상 이동이 거의 없는 시장에서 수수료 정상화라는 화두 때문에 계약고를 이전하는 자산운용사가 늘었고 이 때문에 내부경쟁이 치열해졌다는 해석이다.
사무관리업계에 정통한 관계자는 "여전히 사무관리사는 백오피스, 말 그대로 업무를 보조해준다는 역할로 보는 시각이 많기 때문에 반기를 든 것에 괘씸죄를 적용한 자산운용사들이 많았을 것"이라며 "사실상 사무관리업계의 순위는 수년전부터 신한아이타스가 독보적인 1위를, 그 뒤를 따르는 곳들은 도토리 키재기를 하고 있었지만 몇몇 자산운용사의 이전으로 순위에 지각변동이 일었다"고 짚었다.
신한아이타스가 수수료 정상화를 요구할 만한 자격을 갖추기 전 서둘렀다는 평가도 있다. NH아문디자산운용 등 사무관리 서비스를 입찰에 올리거나 이미 변경한 자산운용사에서 시스템과 의사소통 등에 불만을 표출했다는 전언이다.
또 다른 사무관리업계 관계자는 "최근 NH아문디운용 등이 신한아이타스의 계약을 입찰에 올린 이유가 수수료 문제도 있지만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아 내부 직원들의 불만이 고조됐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며 "수수료 인상에는 대의적으로 찬성하지만 무엇이든 값을 올리려면 눈에 띌 만한 품질 향상도 있었어야 한다는 것이 시장의 시각"이라고 전했다.
다만 방식의 차이를 두더라도 수수료 인상은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앞선 관계자는 "사무관리 계약이 수수료율 때문에 이동하고 있다는 인식이 뚜렷한 상황이라 입찰에 참여하는 사무관리사들이 '덤핑' 수준의 수수료율을 제안하고 있다"며 "사무관리업계가 장기적으로 성장하지 못하는 배경도 이같은 출혈경쟁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거래소, 3시간 심사 끝에 제노스코 상장 '미승인' 확정
- 대방건설, '부채비율 80%' 안정적 재무구조 유지
- [상호관세 후폭풍]'90일 유예'에 기업들 일단 안도, 정부 협상 성과에 쏠린 눈
- 에이치알운용, 한투 이어 '신한 PWM' 뚫었다
- KB증권, 2분기 롱숏·메자닌 헤지펀드 '집중'
- "지분 3%로 이사회 흔든다"…얼라인 '전투형 전략'의 정석
- 하나증권, 성장주 중심 라인업 변화
- 우리은행, 가판대 라인업 확대…'해외 AI·반도체' 신뢰 여전
- 하나은행, 라인업 고수 속 'NH필승코리아' 추가
- 리운운용, 메자닌 전문가 모셨다…투자 영역 확대
허인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그룹내 자금 에어로 투입, 투자자 달랠수 있을까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선]경영승계는 차남…오너일가 '못지않은' 박세철 존재감
- '승계 논란' 차단 나선 한화…유상증자 설계도 다시 짰다
- [Red & Blue]유상증자부터 승계까지 '요동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 [조선 기자재 키플레이어]오리엔탈정공, 실적·배당 확대 불구 여전한 저평가
- '터널 끝' 적자 대폭 줄인 대선조선, 흑전 기대감
- [한화그룹 승계 로드맵 점검]증여세 '2218억' 삼형제의 재원조달 카드는
- [방산 체급 키우는 한화그룹]몸값 높아진 오스탈, 한화그룹 주판 어떻게 튕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