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거 다 팔았는데"…LH, 추가 자산매각 딜레마 재무위험기관 보고서에 자산 매각 계획 넣어야…대부분 자산 이미 매각
성상우 기자공개 2022-07-11 07:57:07
이 기사는 2022년 07월 08일 14시5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재무위험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자산 매각을 '강제'로 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기재부가 위험기관 선정 회사들에게 비핵심 자산 매각을 권고했기 때문이다. 문제는 종전 부동산 등 대부분 자산을 이미 매각한 상태여서 마땅한 매물을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는 점이다.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H는 '5개년 재정 건전화 계획'안을 준비 중이다. 계획안은 이번달 내로 기획재정부에 제출해야 한다. 지난달 말 부실 공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정한 14곳의 '재무위험기관'에 포함된 데 따른 후속 작업이다. 기재부는 이 계획안에 비핵심자산매각 계획과 신규 투자 규모 조정안, 인력 재배치 방안 등을 담도록 권고했다.
LH가 가장 곤혹스러워하는 항목은 '자산 매각'이다. 지난해 임직원 투기 사태 직후 발표한 경영 혁신안에서 자산 매각 계획을 밝힌 뒤 이미 실행해왔기 때문이다. 최근 삼정KPMG를 매각 주간사 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국내에서 보유 중이던 집단에너지 매각 작업을 시작했다.
매각대상은 LH 집단에너지사업 전체다. 대전서남부와 아산배방·탕정지구를 통합 매각한다 .집단에너지 사업 자산과 부채, 근로자, 지역난방사업권, 계약관계, 관련 권리의무 등 일체를 매각하기로 했다.

공기업들의 대표적인 자산 항목 중 하나인 종전 부동산 역시 LH의 경우 대부분 매각이 완료됐다. 종전 부동산은 수도권에서 혁신도시 등으로 이전해야 하는 공공기관이 수도권에 소유한 건축물과 부지를 말한다. 마지막 남은 종전부동산인 경기지역본부 오리사옥은 아직 매각 대상자를 찾지 못했지만 꾸준히 매각을 시도 중이다.
문제는 비핵심으로 분류되는 자산을 골라 내 매각을 진행 중인데 정부 방침에 따라 이와 별도로 추가 매각 자산을 발굴해야하는 상황이란 점이다. 일단 자산은 많지만 이 중에서 팔만한 자산은 별로 없다는 게 LH 측 입장이다.
지난해 말 재무상태표 기준 LH는 1조3200억원 규모의 유형자산을 보유 중이다. 그 중 토지가 3430억원, 건물이 9360억원 규모다. 이 중 정부보조금과 감가상각누계액을 뺀 장부금액은 각각 3413억원, 7185억원 수준이다.
비유동자산 중 비중이 가장 항목은 투자부동산으로 약 106조원 규모다. 그 중 토지가 6620억원, 건물이 102조원 규모로 있다. 정부보조금 등을 뺀 건물 장부금액은 약 92조원이다. 다만 투자부동산은 대부분 임대주택 사업 관련 자산이라 당장 매각 가능 항목은 아니다.
보유 지분상품 중 비유동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각각 3억9400만원, 660억원 규모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은 대부분 비상장 지분증권이다. STX건설, 경남기업, 삼부토건 등 민간 건설사 지분을 일부 보유 중이지만 전부 수천만원 수준으로 유의미한 액수가 아니다. 200억~300억원 규모로 보유 중인 주택도시보증공사와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지분은 관계사 지분이다. 그밖에 4230억원 규모의 관계사 지분을 보유 중이다.
LH는 이 중에서 추가 매각할 수 있는 자산을 찾아내 이번달 말까지 재정건전화 계획에 포함시켜야 한다.
회사 관계자는 "집단에너지시설 매각은 작년 혁신안에 포함돼 있던 내용이고 재무위험기관 선정에 따라 다른 매각 자산을 새롭게 발굴해야하는 상황"이라며 "매각 금액이 많아봐야 1000억~2000억원 수준이어서 부채비율 개선에 얼마나 영향이 있을 지는 모르겠지만 이행하겠다는 액션은 취해야하는 난감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제이엘케이, ‘메디컬 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최
-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투자자간 셈법 엇갈린다
- 카카오, '11조 몸값'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매각 추진
- [i-point]대동, 우크라이나 농업부와 미래농업 기술 지원 협력 논의
- '위기를 기회로' 탑코미디어, 숏폼 올라탄다
- [thebell interview]임형철 블로코어 대표 “TGV로 글로벌 AI 투자 확대”
- [VC 경영분석]유안타인베, '티키글로벌' 지분법 손실에 '적자 전환'
- [VC 경영분석]성과보수 늘어난 CJ인베, 줄어드는 관리보수 '과제'
- [VC 경영분석]'첫 성과보수' 하나벤처스, 모든 실적 지표 '경신'
- [VC 경영분석]SBVA, '펀딩·투자·회수' 선순환…'당근' 성과 주목
성상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i-point]폴라리스오피스, 서버리스 ‘웹오피스’ GS인증 1등급
- [i-point]신성이엔지, 데이터센터 '액침냉각' 기술 공개
- [코스닥 주총 돋보기]제이앤티씨, 오너 2세 장윤정 CEO 깜짝 데뷔
- [Company Watch]'합병 장기화'에 실적 꺾인 소룩스, 매출원 확보 총력
- [i-point]TKENS, 전장 램프 제습 모듈 글로벌 공급사 확대
- [thebell interview]"LG전자 엑사원 퀄테스트, 엔비디아 넘어 독보적 위치 자신"
- [i-point]해성옵틱스, 갤럭시S25·S26에 카메라 모듈 공급
- [i-point]폴라리스AI파마,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 [지배구조 분석]'승계 완료' 김승재 재영솔루텍 대표, 지배력 확대 '딜레마'
- [Company Watch]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퓨리오사AI 추가 펀딩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