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핸들러' 미래산업, 달러 강세에 '환차익' 눈길 중국 시장 반도체 수요 감소, 전년비 매출·영업익 줄어…원가 절감·환율 상승 덕 순이익 개선
신상윤 기자공개 2022-08-16 17:31:46
이 기사는 2022년 08월 16일 17시26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테스트 핸들러 전문기업 '미래산업'이 외형 성장엔 주춤했지만 원가 절감 및 환율 상승 효과에 힘입어 순이익 개선에 성공했다.유가증권 상장사 미래산업은 올해 상반기(연결 기준) 매출액 250억원, 영업이익 4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5.38%, 영업이익은 9.69% 줄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18.2% 개선된 97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요 시장인 중국 내 코로나19 재확산 및 반도체 수요 감소 영향으로 주력 제품인 테스트 핸들러의 공급이 줄은 것으로 풀이된다. 테스트 핸들러는 공정을 마친 반도체 성능이나 불량 등을 검사하기 위한 장비다. 테스터와 연결해 반도체 소자를 검사하고 결과에 맞춰 등급별로 분류한다.
이에 미래산업은 매출원가 절감에 집중했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올해 상반기 미래산업 매출총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7%로 증가한 98억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순이익 측면에선 달러 강세에 힘입어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달러 강세 속 부품 사업을 중심으로 환차익을 거뒀다는 설명이다. 미래산업이 올해 상반기 환차익으로 거둔 수익은 전년동기대비 138% 증가한 19억원 규모다.
선종업 미래산업 대표는 "비용 효율화로 원가 절감뿐 아니라 달러 강세 등 환율 효과를 봤다"며 "핸들러 대기 수요가 상당한 만큼 대외 악재가 해소되면 매출 회복 등 개선 가능성은 크다"고 말했다. 이어 "수익성 개선을 위해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와 자본 지출 축소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신상윤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지에이이노더스, 위축된 경영 여건…투자로 활로 모색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이사회, 기타비상무·사외이사 추가 구성
- [전문건설업 경쟁력 분석]일신석재, 경쟁력 원천 '포천 석산'에도 업황 탓 고전
- 현대건설, 수익성 8% 목표…TSR 주주환원 첫 도입
-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 "에너지 트랜지션 리더 도약"
- 고덕 유보라 더 크레스트, 평택 반도체 훈풍 속 입주
- [건설부동산 줌人]'김한영호' 한국종합기술, 신재생에너지 강화 낙점
- DB그룹, DB월드에 부동산 개발 역량 결집한다
- 현대건설, 뉴에너지사업부 핀셋 조직개편
- [건설부동산 줌人]동아지질, '해외통' 정경수 신임 대표 선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