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또 유상증자...'이번에는 다르다' 새 항공기 도입 위해 3200억원 모집… 기단 현대화·고정비 절감 선제 투자
강용규 기자공개 2022-08-31 07:30:55
이 기사는 2022년 08월 29일 13시57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제주항공이 ‘또’ 유상증자에 나선다. 최근 2년 동안 3번째 증자다. 다만 앞선 2차례 증자가 재무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이번 증자는 신기종 도입 투자를 위한 것이다.제주항공은 지난 5월 2차례의 영구채 발행으로 자본잠식의 위기를 넘긴 상태다. 코로나19가 엔데믹(풍토병화) 단계로 넘어가면서 막혀 있던 하늘길도 점차 열려가는 분위기다. 이번 증자를 통해 기단을 현대화하면서 사업 경쟁력 강화의 토대를 쌓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제주항공은 11월11일을 납입일로 액면가 1000원의 보통주 2723만4043주를 발행하는 유상증자를 단행한다. 예상 주당 발행가는 1만1750원으로 증자 규모는 3200억원이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차세대 항공기 도입 등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설멍했다.
이에 앞서 제주항공은 납입일 기준으로 2020년 8월 1585억원, 2021년 10월 2066억원의 유상증자를 진행했었다. 2020년부터 3년째 해마다 투자자들에 손을 벌리고 있다. 다만 증자의 성격은 다르다. 앞선 2차례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은 모두 운영자금 및 채무상환자금으로 활용된 반면 올해 조달 자금은 전액 시설투자에 활용된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2/08/29/20220829115923952.jpg)
제주항공은 첫 유상증자 실시 직전인 2020년 2분기 기준으로 자본잠식률 6.5%를 보이며 자본잠식이 시작됐다. 2번째 증자 실시 직전인 2021년 3분기에는 자본총계가 -25억원을 기록하며 완전자본잠식에 빠졌다.
이전과 비교하면 이번 유상증자는 상황이 다르다. 제주항공은 앞서 5월 2차례의 영구채 발행으로 790억원을 조달해 자본을 확충해 뒀다. 올해 2분기 말 기준으로 적자에 따른 결손금 부담을 883억원까지는 감수할 수 있는 상태다.
![](https://image.thebell.co.kr/news/photo/2022/08/29/20220829115700828.jpg)
제주항공은 LCC들 가운데 가장 먼저 항공기를 리스가 아닌 소유의 형태로 도입하기 시작한 항공사다. B737-8 MAX 기종의 도입 역시 기존 리스로 운용하던 B737NG 기종의 순차적 반납과 맞물려 이뤄진다. 이를 통해 기단을 현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스비용 등 고정비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제주항공 측의 설명이다.
세계 각국이 코로나19를 만성 풍토병으로 받아들이는 ‘엔데믹’ 단계에 들어서면서 해외여행의 문턱을 낮추는 추세다. 국내에서도 방역당국이 입국 전 PCR(유전자증폭)검사 의무를 폐지하고 입국 직후 1일 이내의 검사로 대체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제주항공의 이번 증자는 여객 수요의 활성화를 앞두고 본격적으로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준비로 볼 수 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관련기사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2025 기대작 프리뷰]체급 커진 NHN, 북미 개척 닻 올린다
- 삼성·SK, 엔비디아 GTC 2025 발표 참여 '극명 대비'
- [Company Watch]'역대급 실적' 대한전선, 미래 먹거리 공략한다
- [게임사 기초체력 분석]'독보적 성장세' 시프트업, 확 늘어난 유동성
- [i-point]라온시큐어, 2024년 사상 최대 실적 달성
- [여전사경영분석]'순익 2000억 돌파' JB우리캐피탈, 비자동차로 달렸다
- [보험경영분석]신한라이프, 투자손익 급증 힘입어 순이익 5000억 첫 돌파
- [컨콜 Q&A 리뷰]권재중 BNK금융 CFO가 꼽은 ROE 10% 달성 열쇠는
- [은행경영분석]JB금융, '역대 최대 순익에 ROE 13%' 동시 달성
- [은행경영분석]신한지주, 역대 두 번째 실적…아쉬운 자회사 부진
강용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보험경영분석]신한라이프, 투자손익 급증 힘입어 순이익 5000억 첫 돌파
- [보험경영분석]KB손보, 장기보험 성과에 순이익·CSM 동시 개선
- [보험사 생크션 리스크]동양생명, 소비자보호 개선에도 경영개선 과제 지속
- [Sanction Radar]'사기 연루' 의혹 미래에셋금융, 제재 여부·범위에 이목 집중
- 메리츠화재, 지급여력 대폭 개선 비결 '예실차 관리'
- 예보, SGI서울보증 IPO 칼 갈았다
- [2025 금융 Forum]"K-ICS 실효성 지속 개선, 리스크 관리감독 강화하겠다"
- [보험사 생크션 리스크]한화생명, 기관제재 가장 많아...잇단 감시강화 빛 볼까
- [보험사 생크션 리스크]교보생명, 줄어드는 제재...판매정책·감시강화 성과
- [Policy Radar]방카슈랑스 25% 문턱 낮아진다...업계 반응 '제각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