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금융 지배구조 점검]BNK, 힘겹게 되찾은 '우등생' 지위②금융지주 '꼴찌' 평가 굴욕 딛고 A+ 회복…제왕적 권한 분산 초점
최필우 기자공개 2022-11-03 07:23:37
[편집자주]
지배구조는 금융사 경쟁력을 가늠하는 주요 잣대 중 하나다. 금융지주의 회장 취임 과정과 이사회 구성 등은 금융당국과 세간의 관심을 받는 이슈다. 상대적으로 주목도가 덜 했던 지방금융들도 회장 임기 만료와 함께 사법 리스크, 주주 변화 등의 이슈가 생기면서 지배구조의 중요성이 재차 부각되고 있다. 더벨은 지방금융 지배구조 변천사와 개선점을 점검해 봤다.
이 기사는 2022년 11월 01일 14:14 thebell 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금융지주는 통상 지배구조 우등생으로 분류되지만 BNK금융지주는 아픈 기억이 있다. 성세환 전 회장 구속 사태로 제왕적 지배구조란 비판을 받으며 낙제점을 받은 바 있다. 구원투수로 등판한 김지완 회장의 임기는 우등생 지위를 회복하는 여정이었다.◇회장 구속 사태로 B+ 추락…'의장·부산은행장' 겸직이 단초
한국ESG기준원(KCGS)에 따르면 BNK금융지주는 2019년, 2020년, 2021년 연속으로 지배구조 등급 A+를 획득했다. 이 기간 A+ 등급을 유지한 지방금융지주는 BNK금융지주가 유일하다.
앞선 시기엔 우수한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2017년 성 전 회장 구속 사태 이후 BNK금융 지배구조 등급은 B+로 추락했다. 같은 시기 지방금융지주인 DGB금융지주(A)와 JB금융지주(A)는 물론 신한금융지주(S), KB금융(A), 하나금융지주(A)와 비교해도 가장 낮은 등급이다. 2018년에는 별도로 집계된 금융회사 지배구조 평가 등급(A+, A 등급만 공개)에서 누락되는 굴욕을 겪었다.
BNK금융 등급 추락은 회장에게 지나치게 큰 권한을 집중한 지배구조 탓이었다. 성 전 회장은 당시 이사회 의장을 맡았다. 사외이사 중에서 의장을 선임한다는 원칙에도 불구 '부득이한 사유'를 내세워 의장을 겸했다. 성 전 회장이 장악한 이사회는 결국 경영진을 견제하는 데 실패했다.
성 전 회장의 부산은행장 겸직에 대한 비판도 나왔다. BNK금융은 초대인 이장호 전 회장 시절부터 회장-은행장 겸직 체제를 당연시했다. 이 전 회장은 성 전 회장에게 부산은행장 자리를 먼저 내줬으나 성 전 회장은 회장 취임 후에도 부산은행장 직함을 유지했다. 성 전 회장이 4개나 되는 공식 직함(BNK금융지주 회장, BNK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부산은행장, 부산은행 이사회 의장)을 가지고 있었던 터라 그의 구속에 따른 파장은 더욱 컸다.
성 전 회장은 이사회 내 회장후보추천위원회에도 이름을 올렸다. 회장 스스로 셀프 추천이 가능한 구조였던 것이다. 회추위마저 성 전 회장 중심으로 운영됐던 탓에 그의 구속과 사임 후 진행된 승계 과정에서 큰 혼란과 진통이 불가피했다.
◇임추위 간섭 차단…사외이사 권한 강화
김 회장은 취임과 함께 지적된 문제점들을 해소했다. 관습을 깨고 회장직 만을 수행하기로 했다. 이 때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이 취임해 권력을 분점했다. 김 전 회장이 외부 출신인 만큼 이사회 입장에서도 권력 분산을 요구하는 데 무리가 없었다.
논란의 중심이었던 이사회 의장 자리도 내려놓았다. 김 회장은 취임 직후 차용규 전 사외이사에게 의장을 맡겼다.
취임 이듬해인 2018년 2월에는 지배구조 내부 규범을 개정해 회장이 임원후보추천위원회에서 빠지도록 했다. 회장은 물론 사외이사 추천에도 손을 떼면서 이사회 독립성을 강화한 것이다. 임추위는 사외이사로만 구성돼 있어 경영진 견제 권한이 한층 강화됐다는 평가다.
BNK금융은 한발 더 나아가 계열사가 독립적으로 임추위를 꾸리도록 했다. 금융그룹 자회사 대표와 임원을 추천하는 임추위는 지주에만 두는 게 보편적이다. 제왕적 지배구조 굴레를 끊기 위한 자구책은 BNK금융 지배구조에 대한 평가를 뒤집기에 충분했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i-point]빛과전자, 70억 전환사채 소각 결정
- [i-point]티로보틱스, '대한민국 MRO 국제컨퍼런스' 참가
- [i-point]FSN, 마이원픽 10월 MAU 전년대비 1000% 증가
- 알테오젠, 첫 ADC SC는 ‘엔허투’…ALT-B4 새 활용법 장착
- 휠라그룹, '적자' 미국법인 결국 수술대로
- [SK스퀘어 밸류업 구상 점검]드림어스, 음원 사업 확대 사활 '플로 AI 기능 강화'
- [글로벌 파이낸스 2024]"농협만의 길 걸으며 차별화된 성장 동력 발굴"
- [다시 뛰는 통신소부장 기업들]'광중계기 원조' 삼지전자, LG유플러스와 30년 인연
- 크라우드웍스, 삼성·현대차 출신 사외이사 영입
- 클로잇-우리에프아이에스, 금융 클라우드 전환 협력
최필우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우리금융, 지주·은행 엇박자 배경엔 '전략·영업' 분리 기조
- 조병규 우리은행장, '기업금융 명가 재건' 1년반 공과는
- 임종룡 회장의 '방 안의 코끼리' 내보내기
- 우리금융, CEO 장기 승계 프로그램 가동…후보군 면면은
- DGB금융, '하이브리드 뱅크' 진화 큰 걸음 내딛었다
- [더벨 리스크매니지먼트 포럼 2024]새로운 형태 리스크 부상, 차별화 된 대응책 모색해야
-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3년차에 순익 최고치 경신 초읽기
- 우리금융, 비이자이익 '퀀텀점프'…수익원 다변화 노력 결실
- 신한금융, 증권 파생거래 손실 불구 '역대급 순이익' 지속
- JB금융, '전매특허' 공동대출 목표액 '1조'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