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PMI 포럼]"구조조정 기업 M&A, 은행 네트워크 강화 필요"박상은 EY한영 전무 "매물 출회 조기 파악 중요, 기업구조혁신펀드 등 주목해야"
김경태 기자공개 2022-11-18 08:35:32
이 기사는 2022년 11월 17일 14시32분 thebell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사모펀드(PEF)를 비롯한 투자자 입장에서는 매물로 나올 가능성이 있는 구조조정 기업을 선제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은행 등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기업구조혁신펀드, 기업지원펀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게 필요하다."박상은 EY한영 SaT본부 전무(사진)는 17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개최된 더벨 사모투자포럼(Private Market Investment Forum)에서 이같이 말했다. 박 전무는 '정부 주도 M&A 방향성과 투자 전략'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그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업구조조정이 지연됐지만 최근 국내외 경기 침체를 고려할 때 한계기업(이자보상배율 1미만)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라고 밝혔다. 시점에 관해서는 내년 1분기 말을 분수령으로 지목했다.

박 전무는 "올해 기말 감사끝나면 내년 3월에 감사보고서 제출 이후 은행에서 기업신용위험 평가를 하게 될 것"이라며 "돈맥경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은행에서는 신용위험평가로 옥석가리기를 엄정하게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정부와 채권금융기관이 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기업은 조기에 퇴출시키는 반면 정상화 가능성이 있는 기업에 대한 지원과 신속한 M&A를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재편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했다. 정부에서 개별 기업보다는 해당 산업 전체의 경쟁력 강화 틀 속에서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2019년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 통합 추진, 2020년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빅딜 추진이 대표적인 사례다.
박 전무는 정부와 채권금융기관의 기조를 고려할 때 향후 구조조정 M&A에서 재무적투자자(FI)와 전략적투자자(SI)의 역할이 중요할 것이라 전망했다. 채권금융기관이 구조조정기업의 주식을 오랜 기간 보유하는 것보다는 경영 능력이 있는 주체에게 적시에 매각하는 게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는 구조조정기업의 속도감 있는 정상화를 위해 원매자에 우호적인 조건으로 매물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FI와 SI에 기회라고 설명했다. 박 전무는 "현재 시중은행은 구조조정 기업에 대한 신규자금 지원의 경우 충당금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기피하고 있다"며 "채무조정 등 금융지원을 전제로 신주 인수 방식으로 M&A가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채권금융기관에서 구조조정 기업의 주식을 정리해야 한다는 점에서 향후 수년 내에 빅딜 M&A가 나올 것이라고도 예상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 HMM(옛 현대상선)과 KAI(한국항공우주)를 꼽았다.
그는 "두 기업의 경우 향후 2~3년 내에 매물로 나오지 않을까 예상한다"며 "KAI는 항공산업 재편 때문에 인수자가 많이 나타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두 기업 모두 외국기업이 인수하기 쉽지 않은 매물이기 때문에 국내 기업간 각축이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best clicks
최신뉴스 in 전체기사
-
- 알테오젠 자회사, '개발·유통' 일원화…2인 대표 체제
- [상호관세 후폭풍]포스코·현대제철, 美 중복관세 피했지만…가격전쟁 '본격화'
- [상호관세 후폭풍]핵심산업 리스크 '현실화'...제외품목도 '폭풍전야'
- [상호관세 후폭풍]멕시코 제외, 한숨돌린 자동차 부품사…투자 '예정대로'
- [상호관세 후폭풍]미국산 원유·LNG 수입 확대 '협상 카드'로 주목
- [상호관세 후폭풍]조선업, 미국 제조공백에 '전략적 가치' 부상
- [상호관세 후폭풍]생산량 34% 미국 수출, 타깃 1순위 자동차
- [상호관세 후폭풍]캐즘 장기화 부담이지만…K배터리 현지생산 '가시화'
- [2025 서울모빌리티쇼]무뇨스 현대차 사장 "美 관세에도 가격인상 계획없어"
- [2025 서울모빌리티쇼]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북미 매출목표 유지한다"
김경태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가시적 미국 대응책 아직, 현대차와 다른 행보 눈길
- '삼성 상인' 이재용 회장의 밸런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노태문 직대 체제 관전포인트, 후임자 육성·초연결 완성
- [삼성전자 리더십 재편]'직무대행' 노태문 사장, 대표 선임 유력·가전 통합 과제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조용히 확대한 카오디오 시장 입지, 점프업 꿈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주주 놀래킨 유증, '톱레벨 영업' 통해 진화 나섰다
- [이재용의 차이나 공략 키워드]미국 눈치보다 생존 먼저, 민감한 시기 '정면돌파'
- [이사회 모니터]삼성SDI, 대표·의장 분리 '다음으로'
- '미전실 출신' 문종승 삼성전자 부사장, 공백 메우기 '전면'
- '후퇴 없는' SK하이닉스, 이사회 시스템 '또 전진'